르메트르-톨먼 計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르메트르-톨먼 計量 (Lemaitre-Tolman metric)은 르메트르-톨먼-본디 計量 (Lemaitre-Tolman-Bondi metric) 또는 톨먼 計量 이라고도 하는데, 物理學에서 아인슈타인 腸 方程式의 嚴密해 에 기초하는 로런츠 計量 의 하나이다. 이 해에 依해서 均質 하지 않은 等方性 膨脹 또는 收縮하는 宇宙 가 說明되므로, [1] [2] 宇宙論 에서 宇宙 膨脹 을 모델링하기 위해 標準 프리드만-르메트르-로버트슨-워커 計量 의 代案으로 使用되기도 한다. [3] [4] [5] 또한 宇宙의 加速 膨脹 을 說明하기 위해 物質의 프랙탈 分布를 갖는 宇宙를 모델링하는 데에도 使用되었다. [6]

이 해는 1933年 조르주 르메트르 [7] 와 1934年 리처드 톨먼 에 依해 最初로 救해졌는데, [1] 그 後 1947年 헤르만 본디 에 依해 硏究되었다. [8]

詳細 [ 編輯 ]

그리고 人 動機된 基準系에서 時間 座標 ( 로 設定됨) 亦是 固有 時間 이고, 모든 支店의 時計는 同期化 될 수 있다. 壓力이 0人 먼지와 같은 媒體의 境遇, 먼지 粒子는 測地線을 따라 자유롭게 移動하므로 動機된 프레임은 4가지 速度의 構成 要素 로 되는 공邊 프레임이기도 하다.

腸 方程式의 해는 [9] 아래와 같이,

인데, 여기서 은 半徑이 人 球의 表面的이 이 된다는 意味에서 '半徑' 또는 ' 광도 거리 '이며, 은 라그랑誌안 座標로 解釋되며 그리고 人 條件 下에서

이 된다. 여기서 은 任意의 函數이고 는 物質의 密度이다.

또한 그리고 를 假定하면 이러한 運動 中에 物質 粒子가 交叉하는 境遇가 除外된다. 粒子 各各에는 , 函數 가 주어지고, 그 時間 微分에 依하여 그 運動 法則과 放射 方向의 速度가 주어진다. 위에서 說明한 해의 흥미로운 特徵으로는 의 函數로 都市되면, 範圍에서 圖示된 이러한 函數의 形態가 에서 都市되는 函數의 模樣과 無關하다는 點이다 . 이러한 豫測은 뉴턴의 理論과 明確히 類似하다.

여기서 人 區의 內部 總 質量은

이 되는데, 이 式은 슈바르츠실트 半徑 로 주어진다는 것을 意味한다.

函數 은 積分에 依하여 求할 수도 있는데, 媒介變數 를 가지는 媒介變數 形式으로는 아래의 세 가지의 해,

가 可能한데, 여기서 가 또 다른 任意의 函數로 登場한다. 그러나 우리는 中心 對稱의 物質 分布가 最大 두 가지 函數, 卽 密度 分布와 物質의 지름方向 速度로 說明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이는 세 가지 函數 中에서 單 2個만이 獨立이라는 것을 意味한다. 事實 라그랑誌 座標 을 特別히 選擇하지 않았고 如前히 任意의 變換을 適用할 수 있으므로, 두個의 函數만이 任意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0] 먼지와 같은 媒體의 境遇에는 그리고 獨立的인 이 되는 또다른 해가 있지만, 이러한 해는 有限한 物體의 崩壞에 該當하지는 않는다. [11]

슈바르츠실트 해 [ 編輯 ]

const. 裏面, 가 되고, 따라서 해는 中央에 點 質量이 있는 빈 空間에 該當한다. 追加로 그리고 로 限定하면, 이 해는 르메트르 座標로 表現된 슈바르츠실트 해 로 還元된다.

重力崩壞 [ 編輯 ]

重力 崩壞는 이면서 에 到達하면 發生한다. 일 때는 라그랑주 座標 로 標示되는 物質의 中心點 到達에 該當한다. 가 되면 세 가지의 모든 境遇에서 그 漸近적 擧動은 아래와 같이

로 주어지며, 여기서 처음 두 關係式은 공邊界에서 모든 지름方向의 거리가 無限大에 가까워지는 傾向이 있고 接線 距離가 처럼 0에 接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反面에 세 番째 關係式은 物質 密度가 와 같이 增加함을 보여준다. 常數이어서 모든 物質 粒子의 崩壞 時間이 同一한 특별한 境遇에는, 그 漸近적 擧動은 相異하여,

로 된다.

여기서 接線 거리와 지름 距離 모두 와 같이 0이 되는데, 反面에 物質 密度는 와 같이 增加하게 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

  1. Tolman, Richard C. (1934). “Effect of Inhomogeneity on Cosmological Models” . 《Proc. Natl. Acad. Sci.》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20 (3): 169?76. Bibcode : 1934PNAS...20..169T . doi : 10.1073/pnas.20.3.169 . PMC   1076370 . PMID   16587869 .  
  2. Krasinski, Andrzej (1997). 《 Inhomogeneous Cosmological Models 》 1板.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8180-5 .  
  3. W. D'Arcy Kenworthy; Dan Scolnic; Adam Riess (2019年 4月 24日). “The Local Perspective on the Hubble Tension: Local Structure Does Not Impact Measurement of the Hubble Constant”. 《The Astrophysical Journal》 875 (2): 145. arXiv : 1901.08681 . Bibcode : 2019ApJ...875..145K . doi : 10.3847/1538-4357/ab0ebf .  
  4. Rong-Gen Cai; Jia-Feng Ding; Zong-Kuan Guo; Shao-Jiang Wang; Wang-Wei Yu (2021年 6月 22日). “Do the observational data favor a local void?”. 《Physical Review D》 103 (12): 123539. arXiv : 2012.08292 . Bibcode : 2021PhRvD.103l3539C . doi : 10.1103/PhysRevD.103.123539 .  
  5. Vladimir V. Lukovi?; Balakrishna S. Haridasu; Nicola Vittorio (2019年 11月 4日). “Exploring the evidence for a large local void with supernovae Ia data”.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91 (2). arXiv : 1907.11219 . doi : 10.1093/mnras/stz3070 .  
  6. Leonardo Cosmai; Giuseppe Fanizza; Francesco Sylos Labini; Luciano Pietronero; Luigi Tedesco (2019年 1月 28日). “Fractal universe and cosmic acceleration in a Lemaitre?Tolman?Bondi scenario”.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36 (4): 045007. arXiv : 1810.06318 . Bibcode : 2019CQGra..36d5007C . doi : 10.1088/1361-6382/aae8f7 .  
  7. Lemaitre, G. (1933). “l'Universe en expansion”. 《Annales de la Societe Scientifique de Bruxelles》 53 : 51?85.  
  8. Bondi, Hermann (1947). “Spherically symmetrical models in general relativity”.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07 (5?6): 410?425. Bibcode : 1947MNRAS.107..410B . doi : 10.1093/mnras/107.5-6.410 .  
  9. Landau, L. D. (Ed.). (2013). The classical theory of fields (Vol. 2). Elsevier.
  10. Zel’dovich, Y. B., & Novikov, I. D. (2014). Stars and relativity. Courier Corporation.
  11. Ruban, V. A. (1969). Spherically symmetric T-models i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Soviet Journal of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Physics,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