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도 (音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론도 ( 英語 : Rondo , 프랑스語 : Rondeau 롱도 [ * ] )는 主題가 揷入部를 사이에 두고 反復하여 나타나는 形式으로 되어 있는 曲이다.

론도 形式은 바로크 時代의 리토르넬로 形式 에서 發展된 것이다. 嚴密한 意味의 론도 形式은 7個의 部分으로 되어 있어, 'R-E1-R-E2-R-E1-R'의 形態를 이룬다. R은 主題(론도)를, E는 揷入部(에피소드)를 뜻하는 略語이다. 卽 主題는 原則的으로 같은 造成으로 4回 反復되며, 그 사이에 3個의 揷入部가 끼워진다. 이것은 론도 形式이 17世紀의 론도-(A-B-A-C-A-D…A)의 揷入部(B, C, D,…)를 3個로 줄이는 데서 생겼다고 하는 歷史的인 理由에 起因한다. 그러나 이 밖에도 R-E1-R-E2-R이라는 5部分으로 된 론도 形式이 자주 보인다. 앞에 든 7部分으로 된 론도 形式에서는 3個의 揷入部 中에서 맨 처음과 셋째는 大略 같은 材料로 되는 것이 普通이다. 따라서 全體는 E2를 中心으로 하여, 戰後에 對稱的인 兄으로 된다.

론도 形式은 때때로 古典派 소나타 交響曲 , 協奏曲 等의 華奢한 種樂章으로 쓰이는데, 그와 같은 론도의 大部分의 主題는 흐르는 듯한 가벼움과 快活한 性格을 가지고 있고, 大槪는 알레그로 의 템포로 되어 있다. 한 例로 베토벤 의 피아노 소나타 作品 13 《 悲愴 》의 種樂章에서 主題와 各 揷入部의 첫머리를 引用한다. 또, 론도 形式은 흔하지는 않지만 聲樂曲에도 利用되는 境遇가 있다. 그 例示로는 크리스토프 글루크의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케>의 아리아 <에우리디체 없이 어떻게 할까?>가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