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카스모社友루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카스모社友루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카스모社友루스
化石 範圍:
白堊紀 後期 76.5?75.5百萬年 前

生物 分類 ??
驛: 眞核生物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爬蟲綱
亞綱: 離宮亞綱
下降: 支配爬蟲下降
上木: 恐龍上木
목: 兆反目
(未分類): 新鳥盤類
亞目: 各各亞目
河目: 角龍河目
과: 케라톱스과
亞科: 카스모社友루스亞科
속: 카스모社友루스속
모식종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 Chasmosaurus belli )
(Lambe, 1902)
  •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 카스모社友루스 壘셀리

카스모社友루스 ( Chasmosaurus )는 白堊紀 後記 北아메리카 에 살았던 角龍類 공롱의 한 속이다. 카스모社友루스라는 이름은 '열린 恐龍'이라는 뜻으로 프릴에 있는 커다란 구멍을 가리킨다. 古代 그리스어 로 '열린', '텅 빈' 等의 뜻을 가진 카스마 chasma 와 '도마뱀'을 意味하는 社友로스 sauros 를 組合한 것이다. 몸길이는 5m~8m 程度, 몸무게는 3.5t 程度였던 카스모社友루스는 普通 크기의 角龍이었다. 다른 모든 各龍類들처럼 카스모社友루스 亦是 草食性 이었다. 카스모社友루스는 元來 프로토로사우루스라고 불렸으나 이 이름이 以前에 다른 動物에 依해 쓰였기 때문에 이름이 變更되어야 했다. 카스모社友루스의 標本은 모두 캐나다 앨버타 週 恐龍公園에 位置한 恐龍公園 層에서 發見되었다. C. russelli 는 恐龍公園 層의 下部에서, C. belli 는 中部 및 上部에서 發見되었다. [1]

發見과 種 [ 編輯 ]

G. F. 스턴버그가 C. belli 의 頭蓋骨을 손질하고 있다

1898年에 캐나다 地質調査所의 로렌스 램은 베리 크릭에서 最初의 카스모社友루스 化石 , 목 周圍의 프릴 一部인 마루뼈 로 構成된 완모式標本 NMC 491 을 發見했다. [2] 램은 이것이 새로운 種이라고 생각하고는 있었지만 속은 旣存에 알려진 짧은 프릴을 가진 속인 모노클로니우스 로 볼 수 있다고 생각했다. [2] 램은 이 標本을 가지고 새로운 種인 모노클로니우스 벨리 ( Monoclonius belli )를 명명하였다. [2] 種名은 蒐集家인 월터 벨을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다. [3]

1913年에 C.H. 스턴버그와 그의 아들들이 캐나다 앨버타 注意 恐龍公園 層 中間쯤에서 여러 個의 完全한 "M. belli" 頭蓋骨을 發見했다. [4] 1914年 1月에 램은 이 모든 化石들을 합쳐 別個의 속인 프로吐露社友루스 ( Protorosaurus )를 만들었다.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吐露社友루스 의 祖上이라는 意味다. [5] 하지만 곧 프로토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은 페름기의 爬蟲類 Protorosaurus Meyer, 1836 에 이미 쓰였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램은 이를 代替할 이름인 카스모사우루스를 1914年 2月에 만들어냈다. [2] 이 이름은 그리스어로 "열린" 或은 "나누는"이라는 意味를 가진 카스마 χ?σμα, khasma 로부터 온 것으로 頭蓋骨 프릴의 마루뼈 部分에 커다란 구멍이 있는 것을 가리킨다. 램은 또 스턴버그가 1913年에 發見한 皮膚자국을 包含하여 거의 完全한 骨格을 父母式標本 NMC 2245 로 指定했다. [6]

C. russelli , 王立 티렐 博物館

그 以後, 頭蓋骨을 包含하여 카스모社友루스로 分類할 수 있는 化石들이 더 많이 發見되었고 몇몇 追加 들이 카스모社友루스로 命名되었다. [2] 現在 이들 中 一部는 알려진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頭蓋骨들 사이에서 볼 수 있는 形態的 變異로 看做되고, [2] 一部는 有效한 카스모社友루스 種, 或은 다른 속의 種으로 取扱된다. 1933年 바넘 브라운은 피터 카이센을 記念하여 카스모社友루스 카이세니( Chasmosaurus kaiseni )를 명명하였다. 이것은 頭蓋骨 標本인 AMNH 5401 에 基盤한 것으로 눈 위의 뿔들이 매우 길다는 點에서 C. belli 와는 差異가 있다. [7] 이 形態는 토마스 M. 레만이 1990年에 명명한 카스모社友루스 카나덴시스( Chasmosaurus canadensis ) 와 關聯이 있을 수 있다. [8] C. canadensis 는 元來 모노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 Monoclonius canadensis Lambe, 1902)였는데 램이 1915年에 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 로 報告했다. 에오케라톱스와 긴 눈 위의 뿔을 가진 카스모社友루스 카이세니는 現在 暫定的으로 模造케라톱스 의 一種인 것으로 보고 있다. [9] 1933年에 리차드 스완 럴은 1926年에 發見된 特異하게 짧은 주둥이를 가진 頭蓋骨 標本인 ROM 839 (以前에는 ROM 5436)를 "짧은 주둥이를 가진"이라는 意味의 카스모社友루스 브레비로스트리스( Chasmosaurus brevirostris )로 명명했다. [10] 이것은 現在 C. belli 의 動物耳鳴으로 看做된다. [8] 찰스 M. 스턴버그는 1940年에 앨버타 南西部 恐龍公園 層의 下部에서 發見된 NMC 8800 標本을 카스모社友루스 壘셀리( Chasmosaurus russelli )로 명명했다. 種名은 로리스 샤노 러셀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4] [11] 토마스 레만은 1989年에 텍사스 에서 發見된 化石을 카스모社友루스 마리스칼렌시스( Chasmosaurus mariscalensis )로 報告했으나, [12] 現在 이것은 아구자케라톱스 로 再命名되었다. [13] 가장 最近에 報告된 種은 카스모社友루스 이르비넨시스( Chasmosaurus irvinensis )로 2001年에 命名된 것인데, [14] 恐龍公園 層의 最上部에서 發見되었다. 이 鐘은 2010年에 別個의 속인 바街케라톱스 로 再分類되었다. [15]

C. "brevirostris" 의 模式標本이었던 C. belli ROM 5436 의 頭蓋骨이 討論討議 王立 온타리오 博物館에 展示되어 있다.

1987年에 그레고리 S. 폴은 펜타케라톱스 스테른베르기 를 카스모社友루스 스테른베르기( Chasmosaurus sternbergii )로 再分類했으나, [16]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000年에 조지 올셰브스키는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非코르니스 ( Monoclonius recurvicornis Cope, 1889) 化石이 카스모社友루스亞科에 該當하는 것 같다는 理由로 카스모社友루스 레쿠르非코르니스로 再命名으나, [17] 醫文明 으로 看做된다.

現在는 C. belli C. russelli 두 個의 種만이 有效한 것으로 看做된다. 이들은 形態的으로는 差異가 別로 없고 層서 的인 差異가 있다. C. russelli 는 恐龍公園 層의 더 오래된 下部에서 發見되고 C. belli 샹파뉴節 에 該當하는 恐龍公園 層의 中部 [18] 에서 發見되는데 이를 합치면 7650萬年에서 7550萬年 사이의 連帶를 가지게 된다. [4] 완모式標本과 父母式標本 外에 C. belli 의 標本이 追加로 알려져 있다. AMNH 5422, AMNH 5402, ROM 843 (以前에는 ROM 5499), 그리고 NHMUK R4948 等은 모두 頭蓋骨과 骨格 一部이다. C. russelli 도 완모式標本 外에 頭蓋骨 프릴로 構成된 父母式標本 CMN 8803, 프릴 뒷部分인 CMN 41933, 頭蓋骨의 오른쪽 部分인 RTMP 81.19.175, 그리고 1914年에 스턴버그가 發見한 頭蓋骨과 骨格 一部인 CMN 2280 等이 있다.

特徵 [ 編輯 ]

C. belli 의 復元도

카스모社友루스는 中間 크기의 角龍이다. 2010年에 그레고리 S. 폴은 C. belli 의 몸길이를 4.8 m, 몸무게를 2 톤으로 推定했다. C. russelli 는 4.3 m 의 몸길이에 1.5 톤 程度였을 것으로 보인다. [19] 두 種 間의 差異는 主로 뿔과 프릴의 形態인데, C. russelli 의 頭蓋骨을 除外한 다른 몸 部分은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여러 각룡류들과 마찬가지로 카스모社友루스도 얼굴에 세 個의 뿔이 있다. 하나는 코 위에, 두 個는 눈 위에 位置한다. 두 種 모두 뿔은 相當히 짧지만 C. russelli 는 特히 눈 위의 뿔이 相對的으로 길고 뒤쪽으로 휘어 있다. 카스모社友루스의 프릴은 매우 길고 앞쪽보다 뒤쪽이 더 넓다. 프릴의 높이는 주둥이와 거의 같다. C. belli 의 프릴은 뒤쪽이 V 字 模樣으로 側面은 곧바르다. C. russelli 프릴의 뒤쪽 가장자리는 짧은 U 字 模樣이며 側面은 볼록한 形態이다. [19] 프릴의 側面에는 여섯 個에서 아홉 個의 骨片 (비늘뼈뒷突起) 이 비늘뼈에 連이어 位置하고 있다. 프릴의 귀퉁이에는 두 個의 큰 骨片이 마루뼈에 붙어 있다. C. russelli 의 境遇 바깥쪽의 骨片이 더 크고 C. belli 는 안쪽의 骨片이 더 크다. 뒤쪽 가장자리의 나머지 部分에는 骨片이 없다. 프릴의 마루뼈 部分에는 큰 구멍이 나 있는데, 카스모社友루스라는 속의 이름은 바로 이 마루뼈의 구멍에서 由來한 것이다. 이 구멍은 近緣種들처럼 楕圓形이 아닌, 三角形으로 꼭지點 하나가 프릴의 귀퉁이를 向하고 있다.

재미있게도 C.M. 스턴버그가 發見한 카스모社友루스 標本인 NMC 2245는 皮膚 자국과 함께 發見되었다. [2] 保存된 部位는 오른쪽 엉덩이 附近으로 가로세로 約 1 미터 x 0.5 미터 程度이다. 皮膚에는 작은 비늘들 사이에 큰 비늘들이 가로로 일정한 間隔을 두고 配列되어 있다. [2] 큰 비늘은 지름 55 mm 程度로 다른 큰 비늘과 5~10 cm 程度 떨어져 있다. 비늘은 六角形 乃至 五角形 模樣이므로 다섯 面 乃至 여섯 面을 가지고 있다. 各 面에는 좀 더 작은 비늘이 隣接하여 薔薇꽃 模樣을 하고 있다. 작은 비늘들은 겹쳐 있지 않으면서 볼록하게 튀어나온 지름 1 cm 程度의 크기로 큰 비늘을 完全히 둘러싸고 있다. 큰 비늘들은 多角形의 各 線들에 直角으로 配列된 홈들 때문에 주름진 것처럼 보인다. 큰 비늘은 위에서 아래로 가면서 漸次 작아진다. [20] 皮膚自國 化石으로부터 카스모社友루스 皮膚의 色깔을 알아낼 수는 없었다.

系統發生 [ 編輯 ]

有效한 두 種의 骨格 復元도. C. belli (위) 와 C. russelli (아래). 머리를 除外한 部分들은 同一함.

카스모社友루스는 1915年 램에 依해 角龍類 카스모社友루스亞科 로 分類되었다. [21] 카스모社友루스아과는 普通 카스모社友루스처럼 긴 프릴을 가진다. 그 反面 姊妹그룹인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의 프릴은 짧다. 大部分의 盆地學 敵 分析에서 카스모社友루스는 카스모社友루스亞科 中에서 가장 原始的인 位置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 분지도 는 스코트 샘슨의 2010年 硏究를 따른 것이다. [15]

' 케라톱스과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카스모社友루스亞科  

카스모社友루스

模造케라톱스

아구자케라톱스

右타케라톱스

펜타케라톱스

코아후일라케라톱스

코스모케라톱스

바街케라톱스

안키케라톱스

아르히노케라톱스

誤造케라톱스

에오트리케라톱스

吐露社友루스

네度케라톱스

트리케라톱스

古生物學 [ 編輯 ]

恐龍公園 層의 大型 草食動物을 보여주는 그림. 왼쪽에 있는 것이 C. belli

카스모社友루스와 같이 라라미디아 東쪽 海岸가 棲息地 에 살았던 恐龍으로는 켄트로社友루스 (各龍) 의 여러 종들이 있다. 카스모사우루스가 긴 주둥이와 턱을 가지고 있어서 먹이가 되는 植物 選擇에 좀 더 까다로왔을 것으로 보여 生態地位分割이 있었으리라는 主張이 있다.

캐나다 自然博物館의 C. russelli

프릴과 뿔의 機能은 수수께끼이다. 뿔은 相對的으로 짧고 프릴에는 큰 구멍이 있었기 때문에 防禦用으로 쓰이기에는 適切치 않았을 것이다. 그레고리 폴은 이들이 主로 주둥이로 自身을 防禦했을 것이라고 主張했다. [19] 프릴이 威脅的으로 보이기 위해서, 或은 體溫調節 을 위해서 使用되었을 可能性도 있다. 프릴은 또 밝은 色을 가져 크기를 더 强調하거나 짝짓기를 할 때 誇示用으로 利用되었을 수 있다. 하지만 成績이형성 을 證明하기는 쉽지 않다. 럴은 긴 눈 위의 뿔을 가지고 있는 C. kaiseni 수컷이며 짧은 뿔을 가지고 있는 C. belli 가 암컷이라고 主張했다. [10] 이 主張은 C kaiseni 가 模造케라톱스로 分類될 수 있다는 事實과 矛盾된다. 1927年에 C.M. 스턴버그는 캐나다 自然博物館에 있는 두 個의 骨格 中 작은 것인 NMC 2245 가 수컷이고 큰 標本인 NMC 2280 이 암컷이라고 結論내렸다. [22] 하지만 只今은 이 두 標本이 서로 다른 種에 屬하는 것으로 分類되고 있다.

캐나다의 알버打 州에서 弼 커리 等이 어린 카스모社友루스 벨리를 發見하여 카스모사우루스가 近緣種인 트리케라톱스 와 마찬가지로 어린 個體들을 돌보았다고 主張했다. 어린 카스모社友루스의 몸길이는 1.5m 程度에 나이는 세 살 程度로 보이며 다 자란 카스모社友루스와 비슷한 다리 및 프릴 比率을 보인다. 카스모社友루스는 빨리 움직이는 動物이 아니었으며 어린 個體들度 聖體와 步調를 밪추기 위해 빨리 움직일 必要가 없었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 化石은 앞다리가 發見되지 않은 것을 除外하면 거의 完全한데, 標本이 發見되기 前에 싱크홀에 빠져 사라졌다. 骨格 아래에서 皮膚자국도 發見되어 이 個體가 아마 江을 건너다가 빠져 죽은 後 묻혔음을 나타내 준다. [23]

各州 [ 編輯 ]

  1. Ryan, M.J. & Evans, D.C. (2005). 〈Ornithischian dinosaurs〉. 《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Ecosystem Revealed》. In: Currie, P.J. & Koppelhus, E.B. (Eds)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312?348쪽.  
  2. Dodson, Peter; 外. 〈Chasmosaurus〉. 《The Age of Dinosau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110?111쪽. ISBN   0-7853-0443-6 .  
  3. Lambe, L.M., 1902,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Geological Survey of Canada Contributions to Canadian Palaeontology 3 (2): 25-81
  4. Arbour, V. M.; Burns, M. E.; Sissons, R. L. (2009). “A redescription of the ankylosaurid dinosaur Dyoplosaurus acutosquameus Parks, 1924 (Ornithischia: Ankylosauria) and a revision of the genu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29 (4): 1117?1135. doi : 10.1671/039.029.0405 .  
  5. Lambe, L.M., 1914, "On the forelimb of a carnivorous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and a new genus of Ceratopsia from the same horizon, with remarks on the integument of some Cretaceous herbivorous dinosaurs", The Ottawa Naturalist 27 (10): 129-135
  6. Lambe, L.M., 1914, "On Gryposaurus notabilis , a new genus and species of trachodont dinosaur from the Belly River Formation of Alberta, with a description of the skull of Chasmosaurus belli ", The Ottawa Naturalist 27 : 145-155
  7. Brown, B., 1933, "A new longhorned Belly River ceratopsian", American Museum Novitates 669 : 1-3
  8. T.M. Lehman, 1990,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In: K. Carpenter and P. J. Currie (eds.), Dinosaur Systematics: Perspectives and Approach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11-229
  9. Nicholas R. Longrich (2010). “ Mojoceratops perifania , A New Chasmosaurine Ceratopsid from the Late Campanian of Western Canada”. Journal of Paleontology 84 (4): 681?694. doi : 10.1666/09-114.1 .  
  10. Lull, R.S., 1933, A revision of the Ceratopsia or horned dinosaurs .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3 (3): 1-175
  11. Sternberg, C.M., 1940, "Ceratopsidae from Alberta", Journal of Paleontology 14 (5): 468-480
  12. Lehman, T.M., 1989, " Chasmosaurus mariscalensis , sp. nov., a new ceratopsian dinosaur from Texa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9 (2): 137-162
  13. Lucas SG, Sullivan RM, Hunt AP (2006). “Re-evaluation of Pentaceratops and Chasmosaurus (Ornithischia: Ceratopsidae) in the Upper Cretaceous of the Western Interior”. New Mex Mus. Nat. Hist. Sci. Bull. 35 : 367?370.  
  14. R.B. Holmes, C.A. Forster , M.J. Ryan and K.M. Shepherd, 2001, "A new species of Chasmosaurus (Dinosauria: Ceratopsia) from the Dinosaur Park Formation of southern Albert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8 : 1423?1438
  15. Scott D. Sampson, Mark A. Loewen, Andrew A. Farke, Eric M. Roberts, Catherine A. Forster, Joshua A. Smith, and Alan L. Titus (2010). Stepanova, Anna, 編輯. “New Horned Dinosaurs from Utah Provide Evidence for Intracontinental Dinosaur Endemism” . PLoS ONE 5 (9): e12292. doi : 10.1371/journal.pone.0012292 . PMC   2929175 . PMID   20877459 .  
  16. Paul, G.S., 1987, "The science and art of reconstructing the life appearance of dinosaurs and their relatives: a rigorous how-to guide", pp 4-49 in: Dinosaurs Past and Present Volume II ,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17. Olshevsky, G. 2000. An Annotated Checklist of Dinosaur Species by Continent . George Olshevsky, Publications Requiring Research, San Diego, 157 pp
  18. Maidment, S.C.R., and Barrett, P.M., 2011, "A new specimen of Chasmosaurus belli (Ornithischia: Ceratopsidae), a revision of the genus, and the utility of postcrania in the taxonomy and systematics of ceratopsid dinosaur", Zootaxa , 2963 : 1-47
  19.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69-270
  20. Sternberg, C.M., 1925, "Integument of Chasmosaurus belli ", Canadian Field-Naturalist 39 : 108-110
  21. L.M. Lambe, 1915, "On Eoceratops canadensis , gen. nov., with remarks on other genera of Cretaceous horned dinosaurs", Canada Geological Survey Museum Bulletin 12, Geological Series 24: 1-49
  22. Sternberg, C.M., 1927, "Horned dinosaur group in the National Museum of Canada", Canadian Field-Naturalist 41 : 67-73
  23. http://www.nbcnews.com/science/rare-baby-dinosaur-skeleton-unearthed-canada-2D116506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