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클로니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모노클로니우스
化石 範圍:
白堊紀 後期 77?74.8百萬年 前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亞綱: 離宮亞綱
上木: 恐龍上木
목: 兆反目
(未分類): 新鳥盤類
亞目: 各各亞目
河目: 角龍河目
과: 케라톱스과
亞科: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속: 모노클로니우스속 ( Monoclonius )
  • M. crassus Cope, 1876

모노클로니우스( Monoclonius ) ("하나의 뿔"이라는 뜻) 은 白堊紀 後記, 7500萬年에서 7460萬年의 連帶를 가지는 美國 몬태나 週 駐디스江 層과 캐나다 앨버타 週 恐龍公園 層에서 [1] 發見되는 草食性 角龍類 恐龍 의 한 이다. [2]

모노클로니우스는 1876年에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가 명명했다. 後에 모노클로니우스와 닮은 각룡류인 켄트로社友루스 의 保存狀態가 좋은 標本이 發見되면서 分類學的으로 큰 混亂이 일어났다. 只今은 典型的인 모노클로니우스 標本은 많은 境遇 켄트로사우루스와 같은 다른 속의 어린 個體, 或은 牙城體라고 생각된다. 아직도 모노클로니우스라는 俗名 아래 남아있는 標本들은 너무 不完全하거나 너무 未成熟해서 같은 時期 같은 場所에서 發見되는 聖體의 標本과 明確히 짝을 맞추기 힘든 것들이다. 모식종 人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가 딱 이런 境遇다. 따라서 모노클로니우스는 普通 더 硏究가 必要한 醫文明 으로 看做된다. [1]

어원 [ 編輯 ]

모노클로니우스의 復元도

1992年 以前 大部分의 大衆科學 및 科學出版物에서 說明했던 것과는 달리 모노클로니우스라는 이른은 "한 個의 뿔"이라는 意味가 아니며 모노클로니우스의 코 위에 있는 뿔 하나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모노클로니우스는 事實 뿔 달린 恐龍이라는 것이 알려지기 以前에 이름이 붙여졌고, 元來는 "하드로사우루스류"로 看做되었다. 모노클로니우수라는 이름은 "하나의 싹"이라는 뜻으로 "하나"라는 意味의 그리스어 某노스 μ?νο? 와 "싹"이라는 意味으 클로니온 κλων?ον 을 합친 것으로 가까운 關係인 恐龍이자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가 모노클로니우스와 같은 論文에서 報告한 디클로니우스 ("두 個의 싹") 와 比較하여 모노클로니우스의 이빨이 자라는 方式을 가리키는 것이다. 코프는 디클로니우스의 化石을 보고 두 줄의 이빨이 한꺼번에 자라는 것으로 (하나는 다 자란 이빨, 하나는 새로 나기 始作한 이빨) 解釋하고 모노클로니우스는 한 줄의 이빨만이 씹는 面을 構成하며 새로 날 이빨은 元來의 이빨이 빠지고 난 後에 자라난다고 보았다. 이것이 모노클로니우스 이빨의 重要한 特徵인데 이빨 標本은 只今 流失된 狀態지만 이 特徵으로 이빨 標本이 켄트로사우루스아과에 屬하지 않으리라는 點은 거의 確實히 알 수 있다. 아마 하드로사우루스類였을 것이며 失手로 模式標本의 다른 部分들과 함께 관련지어졌을 것이다. [3]

歷史 [ 編輯 ]

코프의 最初 發見 [ 編輯 ]

모노클로니우스는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가 아가타우마스 폴리오낙스 에 이어 세番째로 명명한 각룡류이다. 1876年 여름, 그 해 6 月에 리틀 빅혼 戰鬪 가 있었던 곳에서 不過 數百 킬로미터밖에 안 떨어진 몬태나주 超우토 카운티의 주디스 江 附近에서 코프와 그의 助手였던 찰스 H. 스턴버그 이 몇몇 化石을 發見했다. 이 化石들은 따로따로 떨어진 骨格 一部로 여러 곳에서 發見되었다. 모두 합치면 긴 코뿔의 基底部, 頭蓋骨 프릴의 一部, 눈 위의 뿔, 세 個의 봉합된 경추 , 薦骨 , 어깨뼈 , 長骨 , 坐骨 , 넙다리뼈 두 個, 정강뼈 , 종아리뼈 , 그리고 앞다리 一部로 발을 除外한 몸體 大部分이 包含되었다. 몬태나를 떠나고 2週 後에 코프는 急히 이 化石들을 記載하고 1876年 10月 30日에 이 標本들을 모식종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 Monoclonius crassus )로 명명하였다. 種名은 라틴語 로 "뚱뚱한 것"이라는 意味다. 아직 각룡류가 뚜렷한 그룹으로 認知되기 前이었기 때문에 코프는 이 化石의 大部分에 對해 確信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코뿔이나 이마 위의 뿔心이 뿔의 一部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다. 頭蓋骨의 프릴 部分은 가슴뼈의 一部로 解釋했고 봉합된 頸椎는 몸의 등쪽 앞部分에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4]

오트니엘 찰스 마쉬 가 1889年에 트리케라톱스 를 報告하고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 標本을 다시 調査하고 트리케라톱스, 모노클로니우스, 그리고 아가타우마스가 비슷한 種類의 恐龍이라는 것을 알아챘다. 같은 해에 코프는 모노클로니우스가 커다란 코뿔 하나와 눈 위의 작은 뿔 두 個, 그리고 넓은 구멍이 있는 마루뼈로 이루어진 커다란 목 部位의 프릴을 가지는 것으로 다시 記載했다. 같은 論文에서 코프는 M. crassus 外에 모노클로니數의 種 세 個를 追加로 명명했다. 첫番째는 짧고 휘어진 코뿔의 뿔審과 두 個의 눈 위 뿔로 構成되었고 1877年에 이미 報告했으나 M. crassus 와 聯關시키지는 않았던 標本 AMNH 3999 에 基盤한 것으로 "뒤로 휘어진 뿔"이라는 意味를 가진 모노클로니우스 레쿠르非코르니스( Monoclonius recurvicornis )였다. [5] 두番째는 스턴버그가 1876年에 몬태나 週 카우 아일랜드에서 發見한 325 mm 길이의 긴 코뿔 標本 AMNH 3989 에 基盤한 모노클로니우스 스페노케루스( Monoclonius sphenocerus )로, "쐐기"라는 意味의 그리스어 스페노스 σ?ην??에서 由來한 "쐐기 模樣의 뿔"이라는 뜻이다. 세番째 種은 AMNH 3988 에 基盤한 모노클루니우스 피수스( Monoclonius fissus ) 로 코프는 이것을 쪼개진 引上骨 이라고 생각했지만 實際로는 翼型骨 (pterygoid)이었다. [6]

1895年에 코프는 財政的인 理由로 自身의 化石 컬렉션 一部를 美國 自然史博物館 에 팔아야 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모노클로니우스 標本들이 包含되어 있었고, 그 結果 모노클로니우스 標本들은 AMNH 標本番號를 가지게 되었다. M. crassus 化石은 AMNH 3998 로 登載되었다. 비록 존 벨 해처가 마쉬와 함께 일했고 코프와 마쉬 사이의 라이벌 關係인 恐龍 化石 戰爭 에서 ' 예일大學 ' 陣營에 있긴 했지만 코프와 마쉬가 죽은 後 해처는 코프의 標本들도 利用하여 角龍類 에 對한 마쉬의 專門論文(monograph)을 마무리지어달라는 要請을 받았다. 해처는 코프의 發掘 方式에 對해 매우 批判的이었다. 코프는 野外調査에서 標本을 鑑定하는 境遇가 거의 없었고 正確한 位置도 남기지 않았으며 한 個體의 標本을 記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部分으로 이루어진 混合 標本을 記載하는 境遇가 많았다. 해처는 M. crassus 模式標本 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다시 調査하고 여러 個體의 部分部分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總模式標本 라는 結論을 내렸다. 따라서 해처는 이 中 하나로 프릴의 위쪽 部分을 構成하는 왼쪽 마루뼈를 後模式標本 으로 採擇했다. 프릴의 옆部分을 이루는 몇 個의 引上骨 은 이 後模式標本과 같은 個體에서 온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았으며 해처는 코프의 눈 위 뿔 (標本番號가 달랐다) 亦是 같은 個體에서 온 것이라고 보지 않았다. 結局 이 論文은 해처 亦是 죽은 後에 리차드 스완 럴 에 依해 1907年에 出版되었다. [7]

켄트로사우루스의 登場 [ 編輯 ]

코프의 1889年 論文이 發表된 後, 주디스 江 地層에서 發見된 角龍類 化石이 大部分 모노클로니우스라고 分類되는 雰圍氣였다. 1902年에 로렌스 램에 依해 캐나다에서 最初로 報告된 각룡류에는 頭蓋骨 一部에 基盤한 모노클로니우스의 새 種 세 個가 包含되어 있었다. 이 中 두 種인 모노클로니우스 벨리( Monoclonius belli ) 와 모노클로니우스 카나덴시스 ( Monoclonius canadensis )는 後에 別途의 속에 屬하는 하나의 種인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로 再分類되었다. 세番째 종인 모노클로니우스 다우소니( Monoclonius dawsoni )는 조지 머서 도슨(George Mercer Dawson)의 이름을 딴 것으로 頭蓋骨 一部인 標本 NMC 1173 에 基盤한 것이다. 마루뼈로 構成된 標本 NMC 971 亦是 이 種으로 分類되었다. [8] 19904年에 램은 이 마루뼈가 別個의 속 및 種을 나타낸다고 보고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로 명명했다. [9]

"모노클로니우스 나시코르누스( Monoclonius nasicornus )" 骨格. 現在는 켄트로社友루스 스티라코社友루스 로 分類된다.

찰스 H. 스턴버그가 새로운 標本들을 蒐集해오자, 最小限 램에게는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와는 別途의 속이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 생각은 1914年 바넘 브라운이 論文에서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硏究하면서 코프의 종들 大部分을 棄却하고 M. crassus 하나만 남겨놓으면서 反對에 부딪혔다. 바넘 브라운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마루뼈를 比較하고서 差異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理由는 M. crassus 의 後模式標本이 나이 든 個體의 것으로 浸蝕 때문에 毁損되었기 때문이라고 結論내렸다. 이것은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가 動物耳鳴이며 모노클로니우스가 優先權을 가진다는 意味였다. 같은 論文에서 바넘 브라운은 또 1912年에 發見된 頭蓋骨로 앞쪽으로 굽은 코뿔을 가진 AMNH 5239를 "굽은 것"이라는 意味의 새로운 種, 모노클로니우스 플렉수스 ( Monoclonius flexus ) 로 명명했다. [10] 램은 1915年의 論文 - 세 個의 科를 명명한 角龍類 全體에 對한 리뷰 論文 - M. dawsoni 브라키케라톱스 로, M. sphenocerus 스티라코社友루스 로 옮기면서 브라운에게 應酬했다. 이렇게 되면 M. crassus 만이 모노클로니우스로 남게 되는데 램은 이 標本이 毁損되어 있고 코뿔도 없기 때문에 種을 區分할 만한 特徵이 不足하다고 看做했다. 램은 브라운의 M. flexus 를 켄트로사우루스의 모식종人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 Centrosaurus apertus ) 로 分類하면서 論文을 마친다. [11] 그 다음 回戰은 1917年에 앨버타 注意 켄트로사우루스아과 恐龍을 硏究한 論文에서 브라운이 1914年에 自身이 發見한 完全한 角龍類 骨格 標本 AMNH 5351를 最初로 分析하여 "코에 뿔이 있는"이라는 意味의 모노클로니우스 나시코르누스( Monoclonius nasicornus ) 로 명명하면서 繼續되었다. 같은 論文에서 브라운은 윌리엄 에드먼드 커틀러 (William Edmund Cutler)를 記念하여 머리가 없는 骨格과 皮膚자국이 있는 標本인 AMNH 5427를 또하나의 種인 모노클로니우스 쿠틀레리_ Monoclonius cutleri ) 로 명명하면서 보고하였다. [12]

以後 R.S. 럴이 1933年에 "각룡류의 再檢討 (Revision of the Ceratopsia)"를 出版할 때까지 브라운과 램의 論爭은 여러 해 동안 繼續되었다. 아름다운 揷畵가 包含된 1907年의 專門論文과 달리 럴의 1933年 論文에는 相對的으로 揷畵가 적었지만 當時까지 알려진 모든 角龍類 標本들의 位置를 確認하고 分類를 明確히 하려는 試圖로 有名해졌다. 럴은 앨버타에서 發見된 거의 完全한 骨格 標本인 AMNH 5341 을 報告했다. 이 標本은 現在 YPM 2015 로 예일대학의 피바디 博物館에 獨特한 方式으로 展示되어 있다. 왼쪽 折半은 骨格을 보여주고 있지만 오른쪽 折半은 살아 있는 動物을 復元한 形態로 展示되었고, 모노클로니우스 (켄트로社友루스) 플렉스수 ( Monoclonius (Centrosaurus) flexus ) 로 分類되어 있다. 럴은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노클로니우스의 動物耳鳴이지만 아속으로 볼 수 있을만큼은 差異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모노클로니우스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를 명명했다. [13] 찰스 H. 스턴버그의 아들인 찰스 모트람 스턴버그 는 1938年에 앨버타 州에서 發見되는 모노클로니우스형(形 Monoclonius -type) 化石의 存在를 분명하게 하고 - 1876年 以後로 몬태나에서는 모노클로니우스의 化石이 發見되지 않았다 - 그 差異로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를 確實히 區分할 수 있다고 主張했다. 모노클로니우스형 化石은 켄트로사우루스兄 化石보다 더 이른 時期의 地層에서 發見되며 더 稀貴하므로 모노클로니우스형 化石이 켄트로사우루스兄 化石의 祖上 形態일 可能性이 있다. [14] 1940年에 C.M. 스턴버그는 또 하나의 種인 모노클로니우스 로웨이 ( Monoclonius lowei )를 명명했다. 種名은 1925年에서 1937年의 期間 中 여섯 시즌 동안 앨버타 南部를 가로지르며, 매니토바 사스캐처원 에서 또 다른 業務로 스턴버그의 野外調査를 도운 드럼헬러 出身의 해롤드 로빈슨 로우를 기리기 위해 붙여진 것이다. [15] 럴은 1949年에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 Brachyceratops montanensis )를 모노클로니우스 몬타넨시스( Monoclonius montanensis ) 로 재명명하였지만 이것은 오늘날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16] 1964年에 오스카 쿤이 켄트로社友루스 弄氣로스트리스( Centrosaurus longirostris )를 모노클로니우스 弄氣로스트리스( Monoclonius longirostris )로 재명명했다. [17] 1987年에는 가이 레이히(Guy Leahy) 가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 Styracosaurus albertensis )를 모노클로니우스 알베르텐시스( Monoclonius albertensis )로 재명명했고, [18] 1990年에는 토마스 레만이 亞바케라톱스 라메르視 ( Avaceratops lammersi )를 모노클로니우스 라메르視( Monoclonius lammersi )로 재명명하였다. [19] 이 둘 모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모노클로니우스와 그 종들의 有效性 [ 編輯 ]

1990年代에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의 關係는 如前히 論爭 中이었다. 세 가지 可能性이 있었다. 첫番째는 바넘 브라운이 1914年에 결론지었듯이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가 有效한 種이며 켄트로사우루스와 同一한 鐘이라는 것이다. 이 境遇 켄트로사우루스는 모노클로니우스의 動物耳鳴이며 모노클로니우스가 優先權을 가지게 된다. 두番째는 램의 見解대로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가 다른 종들과 區分할 만한 特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다른 標本들과 明確한 關係를 決定할 수 없기 때문에 醫文明 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 境遇 모노클로니우스라는이름은 廢棄되어야 하며 모노클로니우스에 屬한 M. crassus 가 아닌 종들은 - 그 종들 自體가 醫文明 이 아니라면?다른 속으로 再分類되어야 한다. 세番째는 모노클로니우스와 켄트로사우루스가 모두 有效한 이름이라는 것이다. 1990年 以後로 피터 도드슨 이 세番째 見解를 支持했다. 피터 도드슨은 M. crassus 의 後模式標本인 AMNH 3998 이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완모式標本과는 프릴의 가장자리에 매우 얇은 머리뼈를 가지고 있다는 點에서 差異를 보인다고 主張했다. 이것이 但只 個體間의 變異에 依한 差異가 아니라는 點은 M. lowei 亦是 비슷하게 얇은 프릴을 가지고 있다는 點에서 證明될 수 있다고 한다. [20] 하지만 1997年에 스코트 샘슨은 M. crassus 의 後模式標本 및 그와 類似한 모노클로니우스의 모든 標本들을 疑問名으로 看做했다. 뼈의 構造를 볼 때 이들이 모두 어린 個體이거나 牙城체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어떤 境遇에는 聖體가 이미 알려진 鐘일 수도 있는데 다른 境遇에는 聖體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種類일 수도 있다. 따라서 大部分의 켄트로사우루스아과 종들이 個體發生 過程에서 모노클로니우스와 비슷한 形態의 段階를 거친다면 모노클로니우스의 標本들이 왜 그렇게 時間 및 空間的으로 넓은 分布를 가지는지가 說明된다. [21] 1998年에 도드슨과 앨리슨 투마르킨은 뼈의 救助는 該當 鐘에서만 나타나는 類型保存 (pedomorphosis), 卽 聖體가 어린 個體의 特徵을 그대로 保存하는 것으로 說明될 수 있다고 主張했다. 이것은 M. lowei 의 완모式標本人 NMC 8790 이 길이 609 밀리미터로 켄트로사우루스아과의 標本들 中 가장 긴 마루사이뼈 (interparietal bone)를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 證明될 수 있다. 두番째로 긴 마루사이뼈를 가진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標本인 NMC 5429는 545 mm 이므로 NMC 8790 이 아성체일 可能性은 거의 없다. [22] 하지만 2006年 마이클 라이언은 M. lowei 완모視敎本이 例外的으로 큰 牙城體라고 結論내렸다. 프릴 가장자리의 세番째 마루뼈뒷突起 骨片이 막 생기기 始作했고 頭蓋骨의 縫合線이 完全히 닫히기 轉移라는 點 等이 그 理由였다.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는 疑問名으로 取扱된다. [1]

M. lowei 완모式標本

모노클로니우스 크라수스가 醫文明이라는 點에 合意가 이루어져간다는 것은 모노클로니우스에 모식종 M. crassus 만이 包含되며, 몬태나 州의 駐디스江 層에서 發見된 後模式標本 프릴만이 唯一한 標本이라는 意味다. 標本番號 AMNH 3998 人 化石들조차 M. crassus 로 分類될 수 없다. 大部分의 기타 모노클로니우스 鐘들은 다른 속으로 再分類되거나 疑問名으로 看做되어야 한다. 두 種이 如前히 問題가 된다. M. lowei 는 不確實하다. 이것은 크고 좀 눌린 頭蓋骨人 模式標本 兼 唯一한 標本, CMN 8790 에 基盤한 種으로 앨버타 注意 恐龍公園 層에서 發見되었다. C.M. 스턴버그는 이 ㅍ本이 브라키케라톱스 와 類似하다고 指摘했다. M. lowei 는 以前에 M. crassus 와 같은 종이라고 看做되었으나 萬一 M. crassus 의 模式標本이 種을 區分할 수 있는 特徵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M. lowei 亦是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分類할 수 없다. 라이언은 層序를 볼 때 CMN 8790 이 스티라코社友루스 , 아켈로우社友루스 , 或은 에이니오社友루스 의 아성체일 可能性을 提起했다. [1] M. nasicornus 亦是 問題다. 조금 더 오래된 地層에서 發見되었지만 1990年에 도드슨은 M. nasicornus 가 極端的으로 成績이형성 을 보이는 例이며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의 암컷이라고 主張했다. [20] [23] 다른 硏究者들은 M. nasicornus 를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動物耳鳴으로 取扱하거나 [24] 別途의 種인 켄트로社友루스 나시코르누스( Centrosaurus nasicornus )로 보았다. [25] 이것이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의 直接的인 祖上일 것이라는 主張이 있었다. [26]

모노클로니우스 속으로 分類되었던 여러 종들은 大部分 다른 속으로 再分類되거나 疑問名으로 看做된다. 아래 種 目錄은 알파벳 順序대로 羅列되었다.

  • M. albertensis (Lambe, 1913) Leahy, 1987;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 로 再分類
  • M. apertus (Lambe, 1904) Kuhn, 1964;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로 再分類
  • M. belli Lambe, 1902; 카스모社友루스 벨리 로 再分類
  • M. canadensis Lambe, 1902; 에오케라톱스 카나덴시스 로 再分類
  • M. crassus Cope, 1876; 모식종 , 醫文明
  • M. cutleri Brown, 1917;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動物耳鳴
  • M. dawsoni Lambe, 1902;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動物耳鳴
  • M. "fissus" Cope, 1889; 無資格名
  • M. flexus Brown, 1914;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動物耳鳴
  • M. lammersi (Dodson, 1986) Lehman, 1990; = 亞바케라톱스 라메르視 Dodson, 1986; = 亞바케라톱스 라메르小룸( Avaceratops lammersorum ) (Dodson, 1986) Olshevsky, 1991
  • M. longirostris (Sternberg, 1940) Kuhn, 1964;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의 動物耳鳴
  • M. lowei Sternberg, 1940; 醫文明
  • M. montanensis (Gilmore, 1914) Sternberg, 1949; 브라키케라톱스 몬타넨시스 로 再分類
  • M. nasicornus Brown, 1917; 켄트로社友루스 아페르투스, 或은 스티라코社友루스 알베르텐시스의 動物耳鳴. 或은 켄트로社友루스 나시코르누스
  • M. recurvicornis Cope, 1889; 腦머리뼈 , 세 個의 뿔, 그리고 뼈조각 몇 個. 無資格名 或은 疑問名
  • M. sphenoceras Cope, 1890; 코뿔과 殿上樂骨. 無資格名 或은 疑問名

大衆文化 속의 모노클로니우스 [ 編輯 ]

모노클로니우스는 다른 잘 알려진 角龍類 恐龍과 마찬가지로 여러 映畫 및 TV 쇼에 登場했다. 弼 티펫의 1984年 短篇 "先史時代의 짐승 (Prehistoric Beast)"에서 主役을 맡았다. 1985年에는 "先史時代의 짐승"에 使用된 場面이 로버트 게네트의 TV 다큐멘터리 "恐龍! (Dinosaur!)"에 使用되었다. 2011年 4月 6日 티펫스튜디오에서는 유튜브의 公式채널에 디지털로 復元한 "先史時代의 짐승" 을 公開했다. [27]

各州 [ 編輯 ]

  1. Ryan, M.J. (2006). " The status of the problematic taxon Monoclonius (Ornithischia: Ceratopsidae) and the recognition of adult-sized dinosaur taxa. "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Abstracts with Programs , 38 (4): 62.
  2. Eberth, D.A. (2005). "The geology." In: Currie, P.J., and Koppelhus, E.B. (eds), 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Ancient Ecosystem Revealed .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54?82.
  3. Creisler, B.S. (September 1992). “Why Monoclonius Cope Was Not Named for Its Horn: The Etymologies of Cope's Dinosaur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Vol. 12, No. 3) 12 (3): 313?317. doi : 10.1080/02724634.1992.10011462 . JSTOR   4523455 .  
  4. E.D. Cope. 1876. "Descriptions of some vertebrate remains from the Fort Union Beds of Montana".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28 : 248-261
  5. Cope, E.D., 1877, "On Reptilian remains from the Dakota Beds of Colorado", Paleontological Bulletin , 26 : 193-197
  6. Cope, E.D., 1889, "The horned Dinosauria of the Laramie", American Naturalist , 23 : 715-717
  7. Hatcher, J.B., Marsh O.C. and Lull, R.S., 1907, The Ceratopsia, Monographs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49 , 198 pages
  8. Lambe, L.M., 1902, "New genera and species from the Belly River Series (mid-Cretaceous)", Geological Survey of Canada Contributions to Canadian Palaeontology 3 (2): 25-81
  9. L.M. Lambe, 1904, "On the squamoso-parietal crest of the horned dinosaurs Centrosaurus apertus and Monoclonius canadensis from the Cretaceous of Alberta",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Canada, series 2 10 (4): 1-9
  10. Brown, B., 1914, "A complete skull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 from the Belly River of Alberta",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 33 : 549?558
  11. L.M. Lambe, 1915, "On Eoceratops canadensis , gen. nov., with remarks on other genera of Cretaceous horned dinosaurs", Canada Geological Survey Museum Bulletin 12 , Geological Series 24 : 1-49
  12. Brown, B., 1917, "A complete skeleton of the horned dinosaur Monoclonius , and description of a second skeleton showing skin impressions",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 35 : 709?716
  13. Lull, R.S., 1933, A revision of the Ceratopsia or horned dinosaurs , Memoirs of the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3 (3): 1-175
  14. Sternberg, C.M., 1938, " Monoclonius from southeastern Alberta compared with Centrosaurus ", Journal of Palaeontology , 12 (3): 284-286
  15. Sternberg, C.M., 1940, "Ceratopsidae from Alberta", Journal of Palaeontology , 14 (5): 468-480
  16. Sternberg, C.M., 1949, "The Edmonton Fauna and description of a New Triceratops from the Upper Edmonton Member: Phylogeny of the Ceratopsidae", Annual Report of the National Museum of Canada, Bulletin 113 : 33-46
  17. Kuhn, O., 1964, Ornithischia: Fossilium Catalogus I, Animalia, pars 105 , 80 pp
  18. Leahy, G.D., 1987, "The gradual extinction of dinosaurs: face or artifact?", In: Currie P.M., and Koster, E.H. (eds) Fourth Symposium on Mesozoic Terrestrial Ecosystems, Short Papers pp. 138-143
  19. Lehman, T.M. 1990. "The ceratopsian subfamily Chasmosaurinae: sexual dimorphism and systematics". In: K. Carpenter and P.J. Currie (eds.), Dinosaur Systematics: Perspectives and Approach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11-229
  20. Dodson, P., 1990, "On the status of the ceratopsids Monoclonius and Centrosaurus ". In: Carpenter, K. and Currie, P.J. (eds.). Dinosaur Systematics: Approaches and Perspectiv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231-243
  21. Sampson, S.D., Ryan, M.J., and Tanke, D.H., 1997, "Craniofacial ontogeny in centrosaurine dinosaurs (Ornithischia: Ceratopsidae): taxonomic and behavioral implication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 121 : 293?337
  22. Tumarkin, A.R. and Dodson, P., 1998, "A heterochronic analysis of enigmatic ceratopsids",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 18 (supplement): 83A
  23. P. Dodson and P.J. Currie, 1990, "Neoceratopsia". In: D.B. Weishampel, H. Osmolska, and P. Dodson (eds.), The Dinosauria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p 593-618
  24. M.J. Ryan and D.C. Evans, 2005, "Ornithischian dinosaurs". In: P.J. Currie and E.B. Koppelhus (eds.), Dinosaur Provincial Park: A Spectacular Ancient Ecosystem Revealed .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pp 312-348
  25. L.S. Russell, 1930, "Upper Cretaceous dinosaur faunas of North America", Proceeding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69 (4): 133-159
  26. Paul, G.S., 2010,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61
  27. Prehistoric Beast digital restoration, as published on April 6, 2011 by the Phil Tippett Studio's official channel in Youtube

追加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