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임조칭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임조칭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임조칭제 (臨朝稱制)는 皇帝 (皇帝)의 禮法 上 或은 血緣 上 어머니인 皇太后 (皇太后)가 皇帝가 政務를 主管할 수 없는 有故時에 皇帝를 代身하여 政治를 主管하는 行爲를 가리킨다. 臨眺(臨朝)나 稱帝(稱制), 垂簾聽政 (垂簾聽政), 淸淨 (聽政), 권동處分軍局社 (權同處分軍國事) 等으로도 表記하는데 實質的인 內容은 같다.

意味 [ 編輯 ]

臨眺稱帝를 글字 그대로 分析해보면, 皇帝의 母后 (母后)인 皇太后가 政治를 主管할 수 없는 狀態에 있는 皇帝를 代身하여 照會 (朝會)에 나와 자리하고 皇太后 自身이 내리는 命令을 秦始皇 (秦始皇) 以來로 皇帝가 내리는 命令을 意味하는 (制)라고 일컫는다는 意味이다. 다만 칭(稱) 者의 境遇에는 앞서 말한 일컫다는 意味 以外에도 저울질한다는 意味를 통해 皇帝의 命令과 皇太后의 命令이 同級이다라는 解釋도 可能할 듯하다.

歷史 [ 編輯 ]

秦나라 의 統一 以前 [ 編輯 ]

臨眺稱帝의 始作은 後漢書 (後漢書) 皇后奇 (皇后紀)에 依據하면, 全國 陳 (戰國 秦)에서 소왕 (昭王)의 어머니인 美太後 (?太后:宣太後라고도 函)가 처음 始作하였다. 그 다음은 呂不韋 (呂不韋), 盧애 (??)와의 私通으로 有名한 秦始皇의 어머니 第太後 (帝太后)가 임조칭제하였다. 以外의 境遇도 存在했으리라고 여겨지지만 文獻의 不在로 因해, 한나라 建國 以前의 임조칭제는 두 茶禮만을 알 수 있다.

傳한 (前漢)과 後漢 (後漢) [ 編輯 ]

告祭餘皇后 (高帝呂皇后) [ 編輯 ]

前漢을 建國한 漢高祖 (漢高祖) 劉邦(劉邦)의 敵後(嫡后)였다. 乳房이 죽고 아들인 혜제 (惠帝)가 卽位하자 皇太后가 되었다. 오래지않아 혜제가 죽자 혜제의 後宮 所生을 皇后 張氏(張氏)의 아들로 稱하여 皇帝로 卽位시켰는데, 그의 나이가 어렸으므로 林조칭제하였다. 周知하듯이 高祖의 後宮들과 이들의 所生들을 殺害하였고, 政治的으로는 親가인 呂氏(呂氏) 一族을 重用하여 前例를 어기고 諸侯王 (諸侯王)으로 봉하는 等 많은 弊端을 일으켰다. 그女가 病으로 죽고, 呂氏 一族은 周鉢 (周勃)과 陳平 (陳平) 等의 謀議를 통해 모두 除去되었다. 以後 光武帝 (光武帝) 때에 論議를 통해 高祖의 嫡妻 地位에서 廢黜되고 問題 (文帝)의 어머니인 박태후(薄太后)가 그 地位를 代身하게 되었다.

효원王皇后 (孝元王皇后) [ 編輯 ]

원제 (元帝)의 敵後이다. 아들인 성제 (成帝)가 卽位하자 皇太后가 되었다. 聖祭가 이미 長成하였으므로 林조칭제하지는 않았으나 外戚에 對한 前例에 따라 그女의 아버지 王금 (王禁)과 王氏 一族은 富貴해지고 政治에 介入하게 되었다. 하지만 聖祭가 後嗣 없이 죽음으로, 성제의 異腹同生인 哀帝 (哀帝)가 卽位하게 되었다. 哀帝의 卽位로 太皇太后 (太皇太后)가 되었으나 哀帝의 親할머니 不太後 (傅太后)와 生母 呈戱 (丁姬)가 同格으로 尊崇되고 夫氏 一族과 鄭氏 一族도 政治에 介入하게 됨으로써 政治的인 地位에 危機가 招來되었다. 아울러 예법적으로도 太皇太后에 맞먹는 제태太後 (帝太太后)라는 稱號가 不太后에게 주어지는 일도 있었다. 하지만 哀帝 亦是 後嗣가 없이 죽게되자 中産王(中山王) 酉峯(劉奉)을 擁立하니 이 사람이 前漢의 마지막 皇帝가 되는 平帝 (平帝)인데 卽位時의 나이가 9歲에 不過하였다. 그래서 그女가 形式上으로는 皇太后로서 直接 林조칭제하였지만, 實質的으로는 조카인 王莽 (王莽)에게 情事를 모두 委任함으로써 前漢의 滅亡을 招來하였다. 그女는 王莽이 (新)을 建國한 뒤에도 生存하여 信實文某太皇太后(新室文母太皇太后)라는 稱號를 얻기도 하였다. 王莽이 簒奪하면서 玉璽 傳國璽 (傳國璽)를 찾자, 이에 火를 내며 집어던져서 傳國璽의 모퉁이 한 쪽이 부서진 逸話가 있다.

장덕두皇后 (章德竇皇后) [ 編輯 ]

章帝 (章帝)의 敵後이다. 所生이 없어 葬祭의 後宮이었던 양귀인의 所生이 話題 (和帝)로 卽位하자 皇太后가 皇太后가 되었다. 當時 話題가 燃燒하였으므로 林조칭제하였다. 當時 外戚으로 오빠인 두헌 (竇憲)李 大將軍 (大將軍)李 되어 補正 (輔政)하였는데, 두헌과 여러 兄弟들은 權力을 탐하여 反逆을 꾀하다가 摘發되어 주살(誅殺)되었다. 以後 두皇后는 話題가 親庭을 始作하자 臨眺稱帝를 거둘 수 밖에 없었다. 事後 여태후가 嫡妻의 地位에서 廢黜된 考査에 따라 話題의 生母인 양귀인을 尊崇하자는 意見이 있었으나, 自身을 皇帝로 擁立한 皇后의 功勞를 記憶恨 話題에 依해 採擇되지 않았다.

火戱等皇后 (和熹鄧皇后) [ 編輯 ]

話題의 繼後(繼后)이다. 本來 皇后였던 淫荒後(陰皇后)가 投機로 인한 呪術을 부린 罪로 廢黜되자 後宮의 地位에서 皇后가 되었다. 太傅 (太傅) 등우 (鄧禹)의 孫女이자 호강敎委 (護羌校尉) 等勳 (鄧訓)의 딸이었다. 어린 나이부터 女性임에도 不拘하고 女工(女工)보다는 遊學(儒學)에 關心을 보여서, 집안 사람들이 그女를 諸生(諸生;留學을 工夫하는 學生이라는 意味)이라고 불렀다. 話題가 죽고 태어난 지 100日 밖에 안된 喪制 (?帝)가 卽位하니 皇太后가 되어 林조칭제하였다. 喪制는 卽位하고 1年 만에 죽었고, 空席이 된 帝位에 眼眥 (安帝)를 擁立하고 如前히 林조칭제하였다. 그女는 儒學的인 素養을 갖추고 있어서 比較的 德政(德政)을 펼친 便이었다. 外戚들의 跋扈를 恒常 警戒하였고, 財物을 아끼는 等의 훌륭한 措處를 내렸다. 하지만 傳統的으로 皇帝만이 가질 수 있다고 여겨지는 權能을 많이 侵害하기도 하였다. 이를테면, 한나라 皇室의 歷代 皇帝들이 모셔져있는 太廟(太廟)에 對한 祭禮를 太後 本人의 主導로 擧行한 點, 皇太后 名醫의 조서로 赦免令을 發한 點, 自身의 親族인 外戚 等氏一家 뿐아니라 皇族인 柳氏에 對한 統制를 加한 點 等을 들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임조칭제하였던 皇太后들의 典型的인 統治 行爲이다. 等皇后는 約 17年 동안 임조칭제하였는데, 後漢이 存續한 196年의 約 8.67%에 該當하는 긴 時期였다. 事後 등氏 一族은 反逆을 꾀했다는 誣告로 인해 沒落하였다.

안蛇염皇后 (安思閻皇后) [ 編輯 ]

안提議 敵後이다. 所生이 없는데 宮人(宮人) 李氏(李氏)가 아들을 낳아 皇太子가 되자 李氏를 毒殺하고 그 所生을 皇太子에서 廢位시켰다. 等太后가 죽고 안제가 親庭을 始作하자 皇后의 兄弟들이 權勢를 잡게 되었다. 안제가 巡行 길에 갑작스럽게 죽자, 兄弟 및 宦官들과 結託하여 北向後 (北?侯)를 擁立하고 林조칭제하였다. 하지만 北向後는 卽位한지 2百餘 日만에 죽자 다른 어린 皇族을 擁立하여 繼續 林조칭제하고자 하였는데, 太後 一派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重皇門 (中黃門) 손정 (孫程) 等이 謀議하여 廢黜되어 제음王(濟陰王)으로 封해졌던 皇太子를 皇帝로 擁立하여 이들을 몰아내었다. 廉氏 一族은 모두 誅殺되거나 流配갔고, 太后는 別宮으로 옮겨져 幽閉되어 있다가 이듬해에 죽었다.

順列量皇后 (順烈梁皇后) [ 編輯 ]

順帝 (順帝)의 敵後이다. 所生이 없어서 순제가 죽고 美人 (美人) 于氏(虞氏)의 蘇生을 擁立하니 이 사람이 바로 衝梯 (沖帝)이다. 衝梯가 年少했으므로 임조칭제하였는데, 衝梯 또한 어린 나이에 죽자 다시 어린 皇族이었던 姪娣 (質帝)를 擁立하여 繼續 林조칭제하였다. 다만 이 時期의 임조칭제부터는 皇太后가 親族을 自身의 執權의 道具로 使用하는 것이 아니라 皇太后가 親族의 執權을 위한 道具가 되었다. 아버지를 이어 補正하게 된 오빠 陽氣 (梁冀)는 權力에 對한 欲求가 至大하여 自身을 跋扈將軍 (跋扈將軍)이라고 비꼰 姪娣를 毒殺하기까지 하였다. 以後 또다시 어린 傍系 皇族이었던 丸劑 (桓帝)를 擁立하고 林조칭제하다가 죽었다. 太後의 死後에도 양기로 위시되는 양氏 一族은 陽氣의 딸을 환제의 皇后로 세워서 政權을 掌握하고 反逆을 꾀하다가 환제의 親衛쿠데타에 依해 모두 肅淸되었고, 양氏 一族은 모두 誅殺되거나 流配가게 되었다.

環事두皇后 (桓思竇皇后) [ 編輯 ]

환제의 두 番째 繼後이다. 환제의 敵後는 順列量皇后의 오빠 陽氣의 딸이었는데 그女가 일찍 죽기도 하였고, 양氏 一族이 反逆을 꾀하다가 沒落하여 事後에 貴人으로 廢位되었다. 以後 환제의 寵愛를 받던 貴人 등氏가 皇后가 되었는데 以後 寵愛가 줄자 怨望하다가 廢位되었는데, 두皇后는 家門이 좋았기에 皇后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寵愛를 받지 못했는데, 환제가 後嗣 없이 죽자 皇太后가 되어 영제 (靈帝)를 擁立하고 林조칭제하였다. 이때는 外戚과 宦官의 對立이 激化된 狀態였는데, 太後의 아버지 大將軍 兜鍪 (竇武)가 淸流 (淸流)의 首長과도 같았던 眞番 (陳蕃)과 함께 宦官 勢力을 肅淸하려다가 이들이 영제를 廢位하려한다고 無辜한 宦官 勢力에 依해 도리어 沒落하게 되었다. 事後 敵後의 자리에서 廢黜하자는 意見이 있었으나 亦是 自身을 皇帝로 擁立한 功을 생각한 영제에 依해 意見은 採擇되지 않았다.

領事河皇后 (靈思何皇后) [ 編輯 ]

영제의 繼後이다. 영제의 敵後였던 송皇后가 寵愛가 없고 後宮들의 謀陷을 받아 廢黜되자, 寒微한 家門이었지만 姿色이 뛰어나서 영제의 寵愛를 받았기에 皇后가 될 수 있었다. 영제가 죽고 自身의 所生이었던 소제 (少帝)가 卽位하자 皇太后가 되어 林조칭제하였다. 하지만 纏帶에 이은 外戚과 宦官의 對立으로 인해, 오빠인 大將軍 하진 (何進)李 宦官 勢力을 一掃하려다가 宮中에서 暗殺되고 뒤이어 童濯 (董卓)李 軍勢를 이끌고 들어와 政權을 掌握하자 아무런 實權을 가질 수 없었다. 게다가 塑劑가 廢位되고 太後 또한 媤어머니 卽, 영제의 生母인 동태후를 잘 모시지 못했다는 理由로 인해 敝笠되었다가 殺害당했다. 實質的으로 林조칭제한 期間은 6個月 남짓으로 厚한 皇太后 임조칭제 期間 中 最短期에 該當한다.

위진南北朝 (魏晉南北朝) 時代 [ 編輯 ]

東進

성제 年間의 유태후가 임조칭제 木製 年間의 강헌저皇后가 임조칭제

北緯

孝文帝 年間의 文明풍太后가 임조칭제 驍名第 年間의 好太后가 임조칭제

唐나라 時代 [ 編輯 ]

임조칭제라는 用語도 보이지만, 垂簾聽政이라는 用語가 처음 文獻史料에 나타났다.

宋나라 (遼金元) 時代 [ 編輯 ]

  • 眞宗의 장헌명宿儒皇后
  • 人種의 者성광헌兆皇后
  • 영종(英宗)의 先人性렬高皇后
  • 新種의 欠성헌숙狀況後
  • 哲宗의 小子성헌맹황후
  • 高宗의 獻誠子렬誤皇后
  • 영종(寧宗)의 孔性人렬量皇后
  • 이종의 社皇后
  • 술율太後
  • 小太後

(明淸) 時代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