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위구르 카간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위구르 카간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위구르 칸國 에서 넘어옴)

토쿠즈 誤구즈國
????????:??????:????????

 

 

744年 ~ 840年
 

수도 카라발가순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카간
744年 ~ 747年

쿠틀룩 빌게 카간
지리
800年 어림 面積 3,100,000 km 2
人文
公用語 古代 위구르語
民族 위구르人
宗敎
宗敎 摩尼敎

토쿠즈 誤구즈國 ( 위구르語 : ????????:??????:???????? ), 또는 위구르 카간國 위구르族 이 세운 카간國이다. 唐書 에는 回紇 (回紇) 或은 회골 (回?)로 記錄되어 있다. 위구르의 起源은 現在 우루무치이며 우루무치 地域에서 東西의 交易을 統制하는 帝國이었으며, 840年 키르기스人에 依해 滅亡할 때까지 거의 1世紀 동안 中央아시아 중남부의 스텝地帶를 支配하였다. 首都는 카라발가순이다.

歷史 [ 編輯 ]

위구르族은 東突厥 (東突厥, 583~630)의 支配를 받으며 셀렝가강 流域에서 居住해 오다, 744年 東突厥 을 멸망시키고 위구르 帝國을 建設하였다. 위구르 帝國의 建設者는 쿠틀壘그 빌게 카간 (Kutlug Bilge Kagan, 骨力裵羅)으로 알려져 있다. 唐나라를 攻擊하여 唐나라가 朝貢하게 하였으며 東아시아의 大國으로 威勢를 떨쳤다.

832年 傳染病이 휩쓸어서 위구르에게 큰 打擊을 입혔다. 840年 키르기스人에 依해 滅亡하였다. 그러나 一部 위구르族들은 서진(西進)하여 4~5個의 위구르王國을 建設하였다.

對外 關係 [ 編輯 ]

騎馬 民族의 背景을 가진 國家로서는 異例的으로 唐나라와 어느程度 友好關係를 維持하였으나 이것은 위구르 帝國이 唐나라보다 더 剛한 軍事力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唐나라는 위구르와 吐蕃에 朝貢하여 平和協定을 맺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唐나라는 위구르 帝國의 말발굽에 危險에 쳐해 있었기 때문이다. 757年 , 唐朝 안록산의 亂 으로 인하여 危機를 맞게 되었을 때 위구르軍은 首都 長安 까지 進軍하여 안록산의 亂을 鎭壓했지만 그 結果 위구르 軍隊는 長安을 철처히 蹂躪하게 되었고 特히 黨 太宗의 後孫들은 女性까지 包含하여 모두 위구르 地域으로 끌고 가여 唐나라로부터 많은 抗議를 받았다.

反面 티베트 와는 戰爭을 벌이는 等 對立하였다. 위구르는 監修 峽谷을 侵入하여 中國과의 交易을 斷絶시키려는 티베트 帝國에 對해 軍事 行動을 取해 832年 以後에는 이 地域을 完全히 掌握하였다. 突厥界 部族들이 緋緞길의 要衝地에 浸透 定着함으로써 突厥界 言語와 文化가 그 地域에 擴散되는 契機가 되었다. 또한 이로 因해서 키르기스, 쿠틀룩 等의 部族들도 위구르의 宗主權을 認定했고 이로 인해서 위구르는 完璧하게 다른 民族들과 唐나라를 掌握할 수 있었다.

文化 [ 編輯 ]

762年 위구르 카간 뵈귀는 摩尼敎 를 國敎로 받아들이게 되는데, 民族 最初로 宗敎를 갖게 되면서 위구르人들의 宗敎 定着化는 가속되었다. 이러한 影響으로 위구르人들은 先代의 高地(故地)인 山岳地帶로부터 定着을 위해 스텝의 平野地帶로 移動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곳에서 城郭都市를 建設하였다.( 투르판 의 고창성) 위구르人들의 灌漑 農法을 利用한 營農技術이나 뛰어난 프레스코 壁畫의 技法 또한 소그드人 들의 影響을 받아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摩尼敎 는 위구르族의 都市化를 이루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文字도 提供하였다. 그리하여 위구르人들은 스텝 民族 思想 最初로 文學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이 摩尼文字(소그드 文字)는 後에 몽골 帝國 의 初期 記錄에 使用되기도 하였다.

歷代 카간 [ 編輯 ]

  • 1. 回인 加한 (742~747)
  • 2. 갈륵 加한 (747~759)
  • 3. 모우 加한 (759~780)
  • 4. 無衣成功 加한 (780~789)
  • 5. 衷情 加한 (789~790)
  • 6. 六大 加한 (790.3~790.4)
  • 7. 蜂聲 加한 (790~795)
  • 8. 回信 加한 (795~805)
  • 9. 텡그리데 알프 퀼뤽 빌게 카간 (805~808)
  • 10. 補宜 加한 (808~821)
  • 11. 崇德 加한 (821~824)
  • 12. 小禮 加한 (824~833)
  • 13. 창신 加한 (833~839)
  • 14. 壓삽 加한 (839~840)


예니세이 키르기스에게 滅亡하고 西進한 以後

  • 15. 五蓋 加한 (840~846)
  • 16. 알念 加한 (846~848)

이미지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