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웨식스 王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웨식스 王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웨식스 에서 넘어옴)

웨식스 王國
Westseaxna r?ce

519年 ~ 927年
9세기의 웨식스
9世紀의 웨식스
政治
政治體制 專制君主制

519年 ~ 534年
688年 ~ 726年
802年 ~ 839年
871年 ~ 899年
899年 ~ 924年
924年 ~ 927年

체르디치 (初代)
이네
에즈베르흐트
앨프레드
에아드웨아르드
애셀스탄 (말대)
王朝 웨식스 王朝
立法府 위테儺藝모트
歷史
 ? 建國 519年
 ?  잉글랜드 로 國號 變更 927年
人文
共通語 古代 英語 (鉏색슨 方言)
데모님 鉏색슨人
經濟
通話 페니
宗敎
國校 앵글로색슨 異敎
(7世紀 以前)
앵글로색슨 基督敎
(7世紀 以後)
기타
現在 國家 잉글랜드 잉글랜드

웨식스 王國 ( 古代 英語 : Westseaxna r?ce 웨스트새惡스나 리체 , 英語 : Kingdom of Wessex ) 또는 鉏색슨 王國 은 519年부터 927年까지 오늘날 잉글랜드 南部에 存在하던 색슨족 國家로, 잉글랜드 王國 의 前身이다.

앵글로색슨 年代記 》는 체르디치 (Cerdic, / ? t? ?ːr d ? t? / )가 웨식스의 첫 番째 王이라고 記錄하고 있다. 웨식스의 初期 歷史를 記錄한 텍스트로는 《앵글로색슨 年代記》와 함께 《鉏색슨 歷代 王位錄》이 있으나 두 記錄은 여러 곳에서 衝突한다. 첸웰흐 洗禮 를 받은 後 웨식스는 基督敎 王國이 되었고 그의 統治 時期에 基督敎가 擴散되었다. 以後 채드왈라 서식스 王國 켄트 王國 . 그리고 아일오브와이트 섬 을 征服하였다. 채드왈라의 後繼者 이네 는 最初로 잉글랜드 法律 의 始原이 되는 律令을 頒布하였고 鉏색슨의 두番째 主敎 를 임명하였다. 그 뒤 王位가 누구에게 이어져 갔는 지는 明確하지 않다.

8世紀 동안 머시아 헤게모니 가 成長함에 따라 웨식스는 그 影響 아래 있었다. 이 무렵 地方 行政의 單位인 샤이어 가 形成되었다. 에그버트 서레이 , 서식스, 켄트, 둠老泥아 , 에식스 , 머시아 等을 征服하였다. 에그버트는 노섬브리아 에도 一定 程度 影響力을 行使하였으나 머시아가 830年 다시 獨立하면서 影響力이 弱化되었다.

애說울프 時期 데姻族 의 侵入이 始作되어 템스江 어귀에 定着하였다. 애說울프는 로마로 巡禮길에 오른 사이 아들 에설발드가 王位를 强奪하자 戰爭을 避하기 위해 國土를 割讓하였다. 以後 애說울프의 네 아들 가운데 막내였던 알프레드 가 王位를 繼承하였다.

871年 데인族이라 불리던 바이킹들이 侵入했을 때 알프레드는 金品을 支給하여 그들을 돌려보냈다. 876年 데姻族이 다시 돌아오자 武力으로 쫓아냈다. 878年 데인族은 알프레드를 서머셋 레벨즈 까지 몰아붙였으나 에딩턴 戰鬪 에서 알프레드에게 大敗하고 退却하였다. 알프레드는 그의 治世 동안 새 法令을 頒布하였고 宮廷으로 學者를 불러 모았으며 艦船의 乾燥를 위한 基金을 마련하는 한便 데인族에 맞서는 防禦 體系인 부르흐 를 構築하였다. 오늘날 잉글랜드 指名에 남아있는 "-버리"(-bury)는 이 때의 痕跡이다. 알프레드의 아들인 臺 에드워드 데姻族이 支配하던 미들랜즈 의 東部와 이스트앵글리아 王國 을 占領하였고 918年 머시아의 王妃였던 그의 누이 애說플레드 가 死亡한 以後 머시아를 統治하였다. 927年 에드워드의 아들 애說스탠 이 노섬브리아를 征服하여 잉글랜드는 最初로 하나의 王國이 되었다. 1016年 덴마크의 크누트 가 잉글랜드를 征服한 뒤 웨식스를 伯爵領으로 삼았지만, 1066年 해럴드 2歲 가 伯爵領을 廢止하고 다시 國王의 直轄地로 삼았다. 卽位 直後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征服 戰爭이 일어나 헤럴드 2歲가 戰死하고 노르만 王朝 가 세워지면서 웨식스는 消滅되었다.

歷史 [ 編輯 ]

背景 [ 編輯 ]

紀元前 1600年에서 紀元前 1200年 사이 잉글랜드 南部 地域에 中企 靑銅器 文化 가 있었다. 考古學에서는 이를 "웨식스 文化"라고 부르지만 웨식스 王國과는 아무 關聯이 없다. 그 보다 1千年 前인 後期 新石器 時代 에 이미 에이브버리 스톤헨지 와 같은 遺跡이 샐리스버리 平野 에 建設되어 있었다. 스톤헨지의 境遇 最終 增築은 아마도 靑銅器 時代인 웨식스 文化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 [1]

古代 로마 時期인 祈願後 1世紀 무렵 브리타니아 로마의 屬州 로 編入되었고 웨식스 地域에는 로마의 農場들이 들어섰다. 當時 세워진 主要 都市로는 도체스터 , 윈체스터 와 같은 곳들이 있는데 체스터(-chester)는 라틴語 카스트라(castra)에서 온 말로 兵營을 뜻했다. [2] :46-48 로마 屬州 時期 로만 브리튼 文化가 形成된 웨식스는 比較的 平穩한 곳이었고 도체스터에서 윈체스터와 실체스터 를 거쳐 런던 에 이르는 道路가 놓였다. 360年 以後 로마 帝國이 衰落瑕疵 픽트人 스코트人 들이 하드리아누스 防壁 을 攻擊하였고 367年 防壁을 지키던 兵士들은 敗走하였다. [2] :66-67 브리튼 섬 各地에 흩어져 있던 브리튼人들이 聯合하여 런던을 包圍하였지만, 368年 코메스 테오도시우스 는 브리튼人들의 攻擊을 擊退하고 防壁 以南의 브리타니아를 再建하였다. [3] 388年 마그누스 막시무스 의 死亡 以後 로마는 더 以上 브리타니아 支配를 維持할 수 없었다. 390年代 後半 스틸리코 가 다시 軍士를 派遣하기도 하였으나, 401年 고트族 과의 戰爭이 일어나자 브리타니아의 軍隊를 유럽으로 動員할 수 밖에 없었다. 以後 暫時 동안 다시 軍事가 派遣된 적이 있었지만 指揮官의 死亡으로 持續的인 防禦가 不可能하였다. [4] 이러한 일들로 로마의 주화가 더 以上 通用되지 않게 되자 로마 帝國의 影響力 亦是 멈추게 되었다. [5] [6]

로마의 影響力이 사라진 가운데 앵글로-색슨 移住 가 始作되었다. 비록 當時의 記錄이 앵글족과 색슨족을 區分하지만 오늘날의 視角에서 이 둘은 血緣的으로나 文化的으로 區分되지 않는다. [2] :75-76 410年 以前에 이미 에식스 地域에 앵글로-색슨 傭兵이 로마의 指揮 아래 있었다. [2] :75 5世紀에서 7世紀에 걸쳐 大規模 移住가 이루어졌고 오늘날의 잉글랜드 地域은 漸次 앵글로-색슨化되었다. 앵글로-색슨人들 自體가 유럽의 다양한 地域에 있던 게르만족의 混合 文化였다. 初期 定着地의 考古學的 遺物들은 獨逸 西部에서 스웨덴에 걸친 다양한 文化가 잉글랜드로 건너와 融合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들 가운데는 英語 와 言語學的으로 親緣 關係가 깊은 프리지아어 를 쓰던 프리지아人 들도 있었다. [2] :77 이 過程에서 켈트족 의 一波였던 브리튼人 과 앵글로-색슨 사이에 있었던 關係는 明確하지 않다. 傳統的으로는 앵글로-색슨이 브리튼人들을 몰아내면서 占領하였다는 說이 有力하였으나, 20世紀 以後 둘 사이의 融合 過程을 통해 앵글로-색슨 王國들이 建設되었다고 보는 見解가 優勢하다. 最近에는 다양한 地域의 移住民들이 잉글랜드에 定着하면서 混合 文化가 形成되고 이 過程에서 先住民인 브리튼人들과도 融合되었다고 본다. [7]

勿論 앵글로-색슨의 잉글랜드 定着이 평화롭기만 한 것은 아니었다. 後날 수많은 傳說이 덧붙여져 더 以上 實存하였는지조차 確實하지 않은 아서 王 바돈山 戰鬪 에서 앵글로-색슨을 맞아 勝利를 거두었다. [2] :79-80 그러나 繼續되는 앵글로-색슨의 擴張을 막을 수는 없었고 브리튼仁義 領域은 웨일스 로 縮小되었다. 알프래드 大王 時期 作成된 것으로 여겨지는 《 앵글로색슨 年代記 》는 495年 體르디치가 웨식스를 建設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8]

색슨족의 定着 [ 編輯 ]

1611年 존 스피드 의 《색슨 七王國》에 描寫된 체르디치.

웨식스 創建에 對한 가장 重要한 記錄 [9] 人 《 앵글로색슨 年代記 》는 495年 체르디치 킨里치 (Cynric, / ? k ? n ? r ? t? / )가 다섯 隻의 배를 이끌고 웨식스에 當到하였다고 記錄하고 있다. [10] 이 年代記에서는 킨里치를 體르디値의 아들로 적고 있지만 歷代 王位록認 웨식스 크레코다 에서는 킨里치를 體르디値의 孫子로 記錄하고 있다. [11] 上陸地는 햄프셔 南部 沿岸이었다고 傳해진다. [12] 베다 베네라빌리스 는 웨식스에 유트人 이 居住하고 있었으며 색슨人들은 7世紀 後半 채드왈라 의 指揮아래 들어왔다고 記錄하였다. [13] 웨식스에 처음 到來한 색슨人들이 세운 初期 定着地라고 특정할만한 遺跡은 發見되지 않았다 [14]

年代記는 이어서 포트(Port)와 그의 두 아들 비에다, 매글라가 501年 포츠머스 (Portsmouth, 포트의 浦口)에 上陸하여 브리튼人 貴族을 殺害하였다고 적고 있다. [15] 508年 體르디値와 킨里치는 나탄레오드 로 불리는 브리튼人 王과 그의 部下 5千 名을 죽였고 [15] 519年 體르디치가 웨식스의 王이 되었다고 한다. 나탄레오드가 實存 人物인지는 不明確하다. [16] 색슨人들은 오늘날 車퍼드 로 斟酌되는 體르디세스포드를 攻掠하였다. [17] 519年 웨식스는 햄프셔의 아본 江을 넘어 브리튼仁義 牙城이었던 올드 社럼과 배드버리 링즈를 攻擊하였으나 陷落시키지는 못하였다. 以後 웨식스는 브리튼人들과 30年을 期限으로 하는 平和 條約을 締結하였다. 바돈山 戰鬪는 아마도 이즈음의 일일 것이다. 《앵글로색슨 年代記》는 색슨족의 敗北에 對해서는 記錄하지 않았다. [18] 30年 平和條約이 끝난 [19] 530年 무렵 색슨족은 아일오브와이트 를 占領하였다. [15] 534年 킨리치가 體르디値의 뒤를 이어 王位를 繼承하고 26年間 在位하였다고 한다. [15]

그 뒤를 이은 체울린은 581年 王位에 올랐고 漆턴 丘陵地 , 글로스터 , 서머싯 까지 領土를 넓혔다. 체울린은 베다 베네라빌리스가 《 잉글랜드 敎會史 》에서 言及한 일곱 王 가운데 한 名으로 베다는 그를 잉글랜드 南部의 "林페리움"(imperium, 統治者)으로 불렀다. 《앵글로색슨 年代記》는 체울린을 브레트曰다 (Bretwalda, 敗者)로 呼稱한다. 《앵글로색슨 年代記》의 記錄은 種種 眞僞를 疑心받는데 체르디치, 킨里치, 體울린과 같은 이름은 게르만족 의 것이 아니라 當時 잉글랜드의 先住民이었던 브리튼人 이 흔히 使用하던 이름이기 때문이다. [20] 體르디치는 브리튼仁義 채라티코스(Caraticos)에서 온 이름이다. [21] [22] 體르디치는 아마도 브리튼人 系統의 原住民이었고 以後 時代가 흐르면서 漸次 앵글로색슨 化되었을 것이다. [23] [24] [25] 켈트式 이름을 갖은 마지막 웨식스 王은 채드왈라이고 그 以後 君主들은 색슨式 이름으로 불렸다. [26]

基督敎의 到來와 머시아의 興氣 [ 編輯 ]

600年 무렵 잉글랜드와 웨일스에 있었던 王國들

웨식스 歷史에서 確實한 날짜를 꼽을 수 있는 첫番째 事件은 퀴네길스의 宣揚이다. 퀴네길스 는 640年 무렵 非리누스 에게 洗禮 를 받아 基督敎徒가 되었다. [2] :92 非理누스는 鉏색슨의 主敎로 옥스퍼드셔 도체스터에 着座하고 있었다. 퀴네길스는 鉏색슨에서 基督敎 改宗 한 첫番째 王이었지만 이것이 곧 鉏색슨 全體의 改宗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642年 퀴네길스의 뒤를 이어 卽位하였고 아마도 그의 아들이었을 첸왈흐 앵글로색슨 異敎 를 如前히 따랐다. 그러나 첸왈흐 亦是 몇 年 後 洗禮를 받으면서 基督敎는 웨식스의 公式 宗敎가 되었다. 한便 퀴네길스의 大夫는 노섬브리아의 王 오스월드 였으며, 퀴네길스의 洗禮는 아마도 當時 머시아의 王 펜다 가 웨식스를 攻擊하려는 兆朕을 보이자 同盟을 맺는 次元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 [27] 잉글랜드 各地에 基督敎가 傳播됨에 따라 邑落 亦是 敎會를 中心으로 構成되었다. 오늘날 여러 곳의 地名에 남아있는 민스터(minster)는 敎區를 管掌하던 聖堂을 일컫는 말이었다. [2] :95-96

머시아는 나날이 領土를 擴張하면서 웨식스의 領土였던 템즈강과 아본강 流域을 차지하였다. 첸曰흐는 便다의 딸과 結婚하였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破婚하였고 그 뒤 머시아가 다시 侵攻해 왔다. 첸曰흐는 大略 3年 程度 亡命하였다. 確實치 않으나 大略 640年代 後半에서 650年代 初盤으로 推定된다. 첸왈흐의 亡命地는 이스트앵글리아 王國 이었으며 그곳에서 基督敎로 改宗하였다. 亡命에서 돌아온 첸曰흐는 펜多義 後繼者인 울프헤르 의 攻擊에 直面하였지만, 그 亦是 브리튼仁義 領土였던 서머싯을 攻擊하여 領土를 늘렸다. 머시아의 侵攻으로 도체스터의 主敎座를 잃게되자 첸曰흐는 윈체스터 에 두番째 主敎座를 세웠다.

673年 첸왈흐가 死亡하자 그의 夫人 색스부르흐 가 王位를 이었고, 1年 餘 뒤 색스부르흐 亦是 死亡하여 王位는 傍系인 애스크윈에게 이어졌다. 에스크윈의 祭位 期間 亦是 2年에 不過하였고 王位는 다시 첸왈흐의 종질 첸트윈에게 넘겨졌다. 첸트윈은 브리튼因果 戰鬪에서 勝利를 거두었으나 戰死하였다. 웨식스의 王位는 또 다른 傍系인 채드왈라 로 이어졌다. 채드왈라의 在位 亦是 2年에 不過하였으나 그 時期 웨식스는 서식스, 켄트, 아이瑟오브와이트 等을 占領하였다. 채드왈라는 688年 王位에서 물러나 로마를 巡禮하였으며 그곳에서 敎皇 세르지오 1歲 에게서 洗禮를 받은 뒤 死亡하였다. [28]

채드왈라의 뒤를 이은 웨식스의 王은 이네 였으며 그 亦是 體르디値로 이어지는 血統이었지만 先代 王들보다 더 떨어져 있는 傍系 出身이었다. 이네는 38年間 在位하였는데 웨식스의 君主들 가운데 가장 在位 期間이 긴 王이었다. 이네는 켄트 王國의 것을 參照하여 잉글랜드에서 가장 오래된 律令을 頒布하였고 셔番 에 主敎座를 開設하였다. 末年에 이르자 이네는 先王 채드왈라와 같이 王位에서 물러나 로마로 巡禮하였다. 王位는 또 다시 체르디치 血統의 傍系로 傳해졌다고 하나 以後 새 君主의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8世紀 동안 웨식스는 머시아의 헤게모니 아래에 있었고 웨식스의 王은 머시아의 봉신으로 여겨졌고 머시아는 웨식스의 北쪽 領土 相當數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웨식스가 完全히 머시아에 復屬된 것은 아니었으며 西쪽으로 繼續 領土를 擴張하여 오늘날 데번 地域에 該當하는 둠老泥아 를 征服하였다. 데번은 10世紀까지도 獨自的인 政權을 維持하였으나 事實上 웨식스의 支配를 받았다.(한편 12世紀 英國의 歷史學者 윌리엄 오브 맘즈베리 는 927年까지 웨식스와 데本이 "同等한" 關係에 있었다고 記錄한 바 있다.)

웨식스의 成長과 바이킹의 侵入 [ 編輯 ]

8 - 9世紀 무렵 使用된 鑄貨들. 앵글로색슨과 바이킹은 去來에서 銀塊나 은편을 使用했다.

802年 에그버트 가 웨식스의 王位에 올랐다. 에그버트는 이네의 兄弟였던 剩길리드의 後孫인 카뎃 傍系 血統이었다. 에그버트 以後 王位는 直系로만 이어져 내려가게 되었다. 治世 初期 에그버트는 두 次例의 征服 戰爭을 벌였다. 813年 以前에 둠老泥아 로 불렸던 鉏웨일스 地域蔚 攻擊하였고, 825年에는 갈풀포드를 攻擊하였다. 이 戰爭의 結果 브리튼人들의 領土는 타마江 西쪽 콘월 地域으로 縮小되었고, 웨식스의 봉신이 되었다. [29] 825年에서 826年 사이 웨식스는 머시아의 헤게모니를 攻擊하기 始作하였다. 에그버트가 머시아의 베오른울프 엘렌던 戰鬪 에서 擊退하여 머시아는 서레이, 서식스, 켄트, 에식스에 對한 支配力을 喪失하였다. 이 동안 이스트앵글리아 亦是 머시아의 干涉을 벗어나게 되었다. 829年 에그버트는 머시아를 直接 攻擊하여 위글라프 王 을 追放시켰다. 이로서 에그버트는 브레트曰다 를 稱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狀況은 오래 가지 못했고 830年 머시아로 돌아온 위글라프는 다시 웨식스 支配를 벗어났다. 그러나 웨식스의 領土는 잉글랜드의 南東部를 차지하며 크게 擴張되었다.

에그버트 治世 後期인 835年 무렵부터 덴마크 바이킹 이 侵入하기 始作하였다. 간간히 이어지던 바이킹의 侵入은 851年 大規模 侵攻으로 이어졌다. 350隻의 배르 타고 템즈강 어귀에 到着한 데인族은 머시아의 베오르흐트울프 에게 勝利後 웨식스를 攻擊하고자 移動하였다. 그러나 에그버트의 뒤를 이은 애說울프 가 이끄는 軍隊가 아클레어 戰鬪 에서 血戰 끝에 바이킹을 擊退하여 웨식스를 지켰다.

855年에서 856年 사이 애說울프는 로마로 巡禮를 떠났고 그의 長子 애說발드 가 王座에 올랐다. 애說울프는 웨식스로 돌아와 骨肉相爭을 避하기 위해 王國을 分割하였다. 애說發드는 웨식스의 오랜 牙城인 西쪽 領土를 차지하였고 애說울프는 東部의 새 領土를 차지하였다. 에설울프가 死亡하자 東部 웨식스는 그의 다른 아들 애說버트 에게 물려졌고, 애설발드가 死亡하자 웨식스는 애說버트를 君主로 하여 다시 統合되었다. 以後 王座는 애說레드를 거쳐 알프레드 에게 이어지게 되었다. 알프레드는 애說레드의 동생이었으며 애說레드 死亡 當時 애說레드의 아들들이 너무 어려 國政을 맡기 어렵다는 理由를 들어 王位를 차지하였다.

最後의 앵글로색슨 王國 [ 編輯 ]

9世紀 後半의 잉글랜드

865年 잉글랜드를 征服하기 위해 데姻族 指揮官 몇이 聯合하여 大規模 軍事를 모았다. 異敎徒 大軍勢 로 알려진 이 軍隊는 1年 餘에 걸쳐 노섬브리아에서 이스트앵글랜드까지 잉글랜드를 휩쓸었다. 871年에는 스칸디나비아 에서 온 바이킹들로 이루어진 "여름 大軍勢"가 다시 한 番 聯合 攻擊을 試圖하였다. 바이킹들은 웨식스를 굴복시킬 수는 없었으나 웨식스 亦是 莫大한 被害를 입었으며 알프래드는 銀貨를 支拂하고 바이킹들이 웨식스에서 떠나도록 하였다. [30] [31] 以後 몇 年 동안 데인族들은 머시아를 征服하였고 一部는 노섬브리아에 定着하였지만 結局 876年 다시 웨식스에 나타났다. 알프레드는 그 동안 데인族의 侵攻에 對備해 왔기에 1年餘에 걸쳐 防禦하였고 877年 休戰하였다. 데인族은 머시아에 定着地를 만들고 겨울이 지나기를 기다렸다가 878年 다시 웨식스를 攻擊하였다. 급작스런 奇襲으로 알프레드는 미처 防禦線을 構築할 수 없었고 首都를 버리고 서머싯 레벨즈 로 도망가 몸을 숨겼다. 몇 달 동안 軍士를 모은 알프레드는 에딩턴 戰鬪 에서 大勝을 거둬 데姻族을 擊退할 수 있었다. 이로서 데인族은 이스트앵글리아로 물러갔으며 웨식스와 最終的인 從前 條約을 맺었다. 한便 870年代 동안 데인族은 프랑스의 브르타뉴半島 亦是 侵攻하였고 911年 노르망디 에 定着하였다. [32] 이 時期 콘월 에는 王이 없었지만, 알프레드의 諮問이자 셔番의 主敎였던 아세르 는 콘월을 웨식스와 分離된 別個의 王國으로 記錄하고 있다. [33]

879年 다시 한 番 侵攻을 벌이기 위해 바이킹들은 海峽을 건너 템즈강 어귀에 集結하였다. 알프래드는 巨大한 바이킹 軍隊와 홀로 對敵하여야 하는 危機에 處했다. [34] 이 해 알프래드는 劇的으로 統治를 强化하고 웨식스를 防禦하는 한 篇 戰艦을 乾燥하였다. 알프래드는 地方 行政 組織을 防禦 據點인 "부르흐"를 中心으로 再編하였다. 이 防禦 체게는 10世紀 文獻인 《 부르갈 히다게 》(Burghal Hidage, 부르흐 稅金 目錄)에 仔細히 記錄되어 있는데 알프레드 當時 웨식스에는 서른 셋의 부르흐가 要塞化되어 있었다. [35] 부르흐 建設에서 가장 큰 變化를 보인 곳은 웨식스의 首都였던 윈체스터로 城壁 안쪽의 로마時代 道路를 無視하고 새롭게 格子로 區劃된 道路를 닦았다. 當時 道路 建設에서 測量을 위해 66피트 길이의 자를 利用했는데, 이는 웨식스의 標準 度量衡이 되었다. [2] :109

알프래드는 法院도 改革하여 法制를 새로 整備하였고, 學問과 敎育을 奬勵하였다. 그는 잉글랜드 全域에서 學者들을 모았고 유럽에서도 招聘하였다. 學者들은 라틴語로 된 텍스트 相當數를 飜譯하였고 《 앵글로색슨 年代記 》가 執筆되었다. 이로 因해 古代 英語 가 文字로 記錄되었다.

데인族의 侵略과 웨식스의 興氣
붉은色: 웨식스 , 粉紅色: 데姻族, 綠色: 브리튼人
871年
886年
897年

데인族은 노섬브리아 王國과 이스트앵글리아 王國을 멸망시켰고 머시아 王國의 折半을 占領 하였다. 남아있는 앵글로색슨 王國은 웨식스와 머시아 뿐이었으나 머시아는 이미 데인族의 影響力 아래 있었다. 데인族의 傀儡였던 國王과 달리 "잉글리시 머시아"를 主張하던 머시아의 애說레드는 알프레드의 딸 애說플래드 와 結婚하여 婚姻 同盟을 맺고 머시아를 되찾고자 하였다. 그 뒤 어떤 過程을 겪었는지 記錄된 바는 없으나 結局 잉글랜드 全域에서 앵글로색슨의 王은 오직 알프레드만이 남게 되었다.

잉글랜드 統合과 웨식스 伯爵領 [ 編輯 ]

10世紀 웨식스의 데인로 正服과 잉글랜드 統合

890年代 以後로도 웨식스와 잉글리시 머시아는 끊임없이 데인族의 攻擊에 시달렸다. 데인로에 定着한 軍士들 뿐만 아니라 바다를 건너온 小規模 데姻族 部隊들이 攻擊해 왔다. 그러나 유럽에서 流入되는 大規模 侵攻은 더 以上 없었기 때문에 웨식스는 거의 大部分의 攻擊을 效果的으로 防禦할 수 있었고 漸次 힘의 均衡錘는 웨식스 쪽으로 기울기 始作했다. 911年 머시아의 애說레드가 死亡하자 알프레드의 딸 애說플래드 는 머시아의 君主가 되었다. 918年 애說플래드가 死亡하자 머시아의 統治權은 알프래드의 長子 에드워드 에게 넘어가게 되었다. 에드워드는 스스로를 잉글랜드의 王으로 稱하였고, 그의 아들 애說스탠 이 노섬브리아를 征服하여 데인로를 소멸시키고 잉글랜드 全體를 統治하는 唯一한 王이 되었다. 애說스탠은 웨식스 王國을 잉글랜드 王國 으로 改編하였다.

애說스탠이 잉글랜드를 統合한 뒤로도 各 地域은 如前히 獨立的인 性向을 보였다. 955年 에드레드 가 嫡統을 남기지 못한 채 死亡하자 王位는 조카인 에드위그 에게 繼承되었는데, 貴族들과 敎會 모두 에드위그를 排斥하였다. 957年 10月 노섬브리아와 머시아의 敎會는 에드레드가 儼然히 웨식스를 統治하고 있음에도 貴族들을 이끌고 애드位그의 동생 에드거 에게 忠誠을 誓約하였다. 959年 에드위그가 死亡하자 에드거가 잉글랜드 全體를 統治하게 되었다.

1016年 데姻族 出身의 크누트 가 잉글랜드를 侵略였다. 그는 옛 노섬브리아 王國을 根據地로 삼은 後 머시아와 이스트앵글리아 地域을 征服하였지만, 웨식스는 直接 統治하지 않고 伯爵領 으로 認定하였다. 웨식스의 伯爵 고드윈 은 웨식스의 經濟를 발전시키고 政治的 力量을 길렀고 懺悔王 에드워드 가 死亡하자 結局 웨식스의 고드윈의 아들 해럴드 가 王位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헤럴드는 王位에 오르자 마자 노르웨이와 노르망디의 侵攻을 겪어야 했다.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征服 으로 戰爭을 치르던 中 헤이스팅스 戰鬪 에서 헤럴드가 轉寫하여 웨식스 王朝 는 幕을 내리고 노르만 王朝 가 세워지게 되었다. 노르만 王朝는 잉글랜드의 地方 行政을 再編하였고 웨식스는 滅亡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ronzw Age Review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the archaeology of the British and European Bronze Age , The British Museum, 2008
  2. 케네스 O 모건, 寧國寺學會 驛, 옥스퍼드 寧國寺, 2006, 한울아카데미, ISBN 13-9788946036314
  3. Peter Hunter Blair (2003年 7月 17日). 《An Introduction to Anglo-Saxon England》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쪽. ISBN   978-0-521-53777-3 .  
  4. Blair 2003, pp. 2?3
  5. Blair 2003, p. 3
  6. Yorke 1995, p. 11
  7. Heinrich Harke, 'Anglo-Saxon Immigration and Ethnogenesis' , Medieval Archaeology, 2011
  8. Blair 2003, pp. 14?16
  9. Yorke, Barbara (2002年 11月 1日).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 Routledge. 130?131쪽. ISBN   9781134707249 .  
  10. Giles, John Allen (translator) (1914). 《The Anglo-Saxon chronicle》 . G. Bell and Sons, LTD. 9쪽 . 2015年 7月 27日에 確認함 .  
  11. Yorke 2002, pp. 130?131
  12. Yorke 2002, p. 130?131
  13. Yorke, p. 131
  14. Loyn, H. R. (1991). 《Anglo-Saxon England and the Norman Conquest》 2板. 34쪽.  
  15. Giles, p. 9
  16. Yorke 2002, p. 4
  17. Major, p. 11
  18. Major, Albany F. Early Wars of Wessex (1912), pp. 11?20
  19. Major, p. 19
  20. Jackson, Kenneth (1953), Language and History in Early Britain. Edinburgh. pp. 554, 557, 613 and 680.
  21. Parsons, D. (1997) British *Caraticos, Old English Cerdic , Cambrian Medieval Celtic Studies, 33, pp, 1?8.
  22. Koch, J.T., (2006)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ISBN   1-85109-440-7 , pp. 394?395.
  23. Koch, J.T., (2006)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ISBN   1-85109-440-7 , pp. 392?393.
  24. Yorke 1995, pp. 190?191
  25. Myres, J.N.L. (1989) The English Sett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6?147
  26. Yorke, B. (1990), Kings and Kingdoms of Early Anglo-Saxon England, London: Seaby, ISBN   1-85264-027-8 pp. 138?139
  27. D. P. Kirby, The Earliest English Kings, 2002, p.74
  28. Kirby, D. P. (1992), The Earliest English Kings, London: Routledge, ISBN 0-415-09086-5 , p.192
  29. Major, Albany F. Early Wars of Wessex , p.105
  30. “Alfred the Great (849 AD ? 899 AD)” .  
  31. Hooper, Nicholas Hooper; Bennett, Matthew (1996). 《The Cambridge Illustrated Atlas of Warfare: the Middle Ag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23쪽. ISBN   0-521-44049-1 .  
  32. “Celtic Kingdoms of the British Isles: Dumnonii” . 《The History Files》 . 2015年 12月 27日에 確認함 .  
  33. Albert S. Cook, Asser's life of King Alfred, 1906
  34. Sawyer, Peter (2001). 《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the Vikings 》 3板. Oxford: OUP. 57쪽. ISBN   0-19-285434-8 .  
  35. The Burghal Hidage: Alfred's Towns , Alfred the Great website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