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우즈베크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우즈베크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우즈벡어 에서 넘어옴)

우즈베크어
O?zbekcha, O?zbek tili
?збекча, ?збек тили
使用 國家 우즈베키스탄의 기 우즈베키스탄 및 周邊 國家들
使用 地域 中央아시아
言語 人口 約 3,400萬 名 (2021年)
文字 로마字 , 키릴 , 페르시아 文字 (아프가니스탄)
言語 系統 튀르크語族
  카를루크語派
   우즈베크어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우즈베키스탄의 기 우즈베키스탄
言語 富豪
ISO 639-1 uz
ISO 639-2 uzb
ISO 639-3 多數:
uzb  ? 우즈베크어(一般)
uzn  ? 北우즈베크어
uzs  ? 남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 ( O?zbekcha, O?zbek tili / ?збекча, ?збек тили [oz?bekt??æ; oz?bek t??l?] )는 우즈베키스탄 公用語 이다. 古代 튀르크어 를 보면 페르시아語 와 特히 東(東)이란 遊牧民 系列의 스키타이語에 影響을 받은 言語들이 많으며, 이슬람 의 影響으로 아랍語 에 借用한 말들도 많다. 近現代에는 18~19世紀 러시아 帝國 의 征服 活動과 20世紀 蘇聯 의 支配 等으로 러시아語 의 影響을 받은 車用語들도 있다.

튀르크語族 中에서 튀르키예어 다음에는 2位로 人口 話者가 많다.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에서 約 2,700萬 名이 使用하며, 아프가니스탄 에서 約 300 ~ 400萬 名, 中央아시아 의 나머지 地域에서 約 500萬 名이 使用하고 있다.

中世부터 7世紀 中盤부터 中央아시아에 傳播된 이슬람의 影響으로 中央아시아의 튀르크語族들의 言語들은 아랍 文字 로 表記되고 있었으나, 1928年에 우즈베크語 表記에 로마字 가 導入되게 되었다. 1940年 에서 1992年 까지는 키릴 文字 가 公式的인 文字로서 使用되었다. 우즈베키스탄內에서는 蘇聯 崩壞 以後인 1992年부터 導入된 로마字가 公式的으로 使用된다.

우즈베키스탄과 달리 아프가니스탄 은 近代 以後 外部 勢力의 介入이 적었고 政策的 言語 干涉 의 影響을 적게 받았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의 우즈베크어는 19世紀 차가타이語의 形態와 페르시아語 文字 表記를 維持하고 있다. [1]

音韻 [ 編輯 ]

닿소리 [ 編輯 ]

兩脣音 齒音 齒莖音 後齒莖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口蓋垂音 聲門音
비음 m n ŋ
破裂音 / 破擦音 p, b t?, d? t??, ?? k, ? q
摩擦音 ? s, z ? χ, ? h
流音 舌側音 l
彈音 ?
半母音 w~v j

홀소리 [ 編輯 ]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u
中母音 e o
低母音 æ~? ?

文字 [ 編輯 ]

?(譯 아포스트로피)는 獨立 글字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우즈베크어의 新舊 正書法 對照表
아랍 文字 라틴 文字 키릴 文字 라틴 文字 音價( IPA )
~1929 1936~40 1940~92 1992~
?, ? ? ? А а A a /æ/
? B в Б б B b /b/
? D d Д д D d /d?/
? E e Е е E e /e/
? F f Ф ф F f /?/
? G g Г г G g /?/
?,? H h ? ? H h /h/
? I i И и I i /i/
?, ? C c, ? ? Ж ж J j /d?/
? K k К к K k /k'/
? Q q ? ? Q q /q/
? L l Л л L l /l/
? M m М м M m /m/
? N n Н н N n /n/
? A a О о O o /?/
? P p П п P p /p/
? R r Р р R r /r/
?,?,? S s С с S s /s/
?,? T t Т т T t /t?/
? U u У у U u /u/
? V v В в V v /v~w/
? X x Х х X x /χ/
? J j Й й Y y /j/
?,?,?,? Z z З з Z z /z/
? O o ? ? O? o? [2] /o/
? ? ? ? ? G? g? [3] /?/
? ? ? Ш ш Sh sh /?/
? C c Ч ч Ch ch /t?/
?? ? ? Нг нг Ng ng /ŋ/
?, ? ? Ъ ъ ? [4]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송호림; 後嗣무딘, 투이군 (2021). “『바부르나마』의 現代 우즈벡어 및 위구르語 飜譯 比較 硏究 - 語彙意味論的 觀點에서” . 《한국이슬람학회論叢》 31 (3).  
  2. O /?/ 와 區別하기 위해서, ?(譯 아포스트로피)를 利用해 表記한다.
  3. G /g/ 와 區別하기 위해서, ?(譯 아포스트로피)를 利用해 表記한다.
  4. 러시아語의 ъ의 音域 以外에, sh /?/ 와, s?h /sh/ 를 表記上 區別하는 境遇에도 利用된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