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言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온라인 言論 은 인터넷이나 媒體를 통해 新聞이나 放送 等의 定期刊行物을 傳達하는 言論 方式을 일컫는다. 事實 또는 事件에 對한 報道 인터넷 을 통해 生産 및 流布되는 것을 가리키는 用語로 보는 簡略한 正義도 있다. 새로운 類型의 言論 分野로 認識하고 있으며, 需用者의 對象이 온라인 利用 讀者로 限定되는 것이 온라인 言論과 다른 言論과 區分 짓는 가장 重要한 要素이다. 온라인 言論은 인터넷을 '많은 사람들이 여러 經路를 통해 情報에 接近하고 서로 疏通할 수 있도록 하며, 時間과 空間을 同等하게 共有하며 參與가 可能한 플랫폼'이라고 보는 視角에 基盤을 두고 있다.

온라인 言論에 對한 여러 가지 定義 [ 編輯 ]

여기에는 다양한 觀點들이 있다. 롤랜드 月크(Roland. De Wolk)에 따르면 "사람들이 컴퓨터나 다른 類似한 裝置를 통해 읽거나 보고 들을 수 있는 인터넷 特히 월드 와이드웹에 올려진 뉴스와 情報"라고 說明한다.

듀즈(M. Deuze)는 言論人에 依해 生産되는 콘텐츠 領域은 勿論이고 進入 障壁 없이 功績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個人들 사이의 公共的 連繫性(public connetivity) 領域으로 擴張해 說明한다.

그러나 온라인 言論의 領域을 지나치게 廣範圍하게 規定할 境遇 온라인 上에서 流通되는 모든 形態의 情報 交換 卽 온라인이라는 手段을 利用해 情報를 提供하는 餘他의 온라인 情報 提供 서비스와 우리가 通常的으로 생각하고 있는 言論 間의 區分이 曖昧模糊해질 수 있다.

크레이그(Craig)처럼 政治,經濟,社會,文化,時事 等에 關한 報道, 論評 및 輿論 等을 傳播하기 위한 目的으로 인터넷과 같은 假想空間을 活用해 온라인 利用者에게 專門的으로 情報를 提供하는 言論으로 縮小해서 볼 수도 있다.

좀 詳細히 接近하면 온라인 言論은 傳統 言論의 原則에 基盤하고, 公共的인 利益을 다루는 疏通에 根據한 報道, 論評 및 輿論 等을 傳播하기 위한 目的으로 인터넷과 같은 假想空間을 利用해 情報를 提供하는 言論이라고 할 것이다.

다른 名稱 [ 編輯 ]

온라인 言論과 비슷한 意味로 쓰이는 다른 말들로는 '디지털 言論'(가와모토(Kawamoto)에 따르면 컴퓨터를 使用할 줄 아는 需用者에게 뉴스와 情報를 調査하고 生産하고 傳達하기 위해 디지털 技術을 使用하는 것), '인터넷 言論', '웹 言論'(제임스 스토벌(James G. Stovall)) 等이 있다. 이 밖에도 '사이버 言論' 等 수많은 名稱들이 續續 登場하고 있다.

歷史 [ 編輯 ]

김대중 政府 가 美國의 클린턴 行政府의 政治的 슬로건이었던 超高速 情報網( en:information superhighway ) 推進에 影響을 받아 持續的으로 情報 通信 分野를 活性化시키기 위하여 努力한 結果, 大韓民國에서 低廉한 퍼스널 컴퓨터 (PC)의 普及으로 컴퓨터 使用 人口가 急激하게 擴大되고 旣存의 모뎀 接續 方式보다 越等히 뛰어난 速度를 提供하는 케이블 網과 ADSL 網이 導入되었다. 이 過程에서 ISP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業體들은 加入者 誘致를 위하여 競爭的으로 價格을 引下하였고, 이는 超高速 인터넷 使用者가 急激하게 增加하게 하였다. [1]

이러한 인터넷 基盤 市場의 暴發的인 成長, 特히 1998年 發生한 IT 벤처 投資 烈風은 旣存의 主要 日刊紙들이 인터넷 事業에 關心을 보이게 되는 直接的인 契機가 되었다. 인터넷 進出 初期에 日刊紙들은 온라인 情報 提供 事業에 關心이 없었으며, 새로운 言論 媒體로서의 인터넷에 對한 知識과 비전도 없었다. 오히려 인터넷에는 電子 商去來 또는 뉴스 가 아닌 不動産, 就業, 觀光 關聯 情報가 어울린다고 判斷하였다. 따라서 初期 日刊紙 웹사이트는 인터넷 新聞보다는 포털 사이트를 志向하였다. [1] 1992年 시카고 트리뷴 》이 世界 最初의 온라인 新聞을 創刊하고 美國에서 온라인 新聞이 續續 創刊되자, 大韓民國의 新聞社들도 이것에 影響을 받아 1995年 3月에 《中央日報》가 인터넷 서비스를 처음 始作하였고, 뒤이어 《 朝鮮日報 》가 디지털 朝鮮을, 《 東亞日報 》가 마이더스 동아를 創刊하였다. [2]

1998年 패러디 新聞인 《 딴지일보 》가 登場해 한때 人氣를 끌었으나 漸次 諷刺的인 드러지 新聞들은 사라졌고, [2] 2000年 大韓民國 最初의 獨立 온라인 新聞인 《 오마이뉴스 》가 創刊되어 本格的으로 獨立 온라인 新聞이 온라인 저널리즘에 登場하게 되었다. 《오마이뉴스》는 "모든 市民은 記者다"라는 캐치프라이즈를 내걸고 專門 記者 가 作成한 深層 記事와 아마추어 記者( 市民 記者 )가 作成한 記事를 5 對 5로 編輯하는 等 旣存 印刷 新聞과는 다른 저널리즘 類型을 선보였다. [3]

한便 1997年 야후 코리아 포털 서비스 를 처음 始作한 以後 뉴스는 포털의 메인 페이지에 配置되었고 1998年 야후 코리아가 大韓民國에서 最初로 言論社로부터 뉴스를 供給받아 뉴스를 提供하기 始作하였다. 그러나 當時 포털은 뉴스를 主要 서비스로 認識하지 않았으며, 포털을 통해 뉴스 情報를 消費하는 利用者도 많지 않았다. 2001年 12月 基準으로 言論社 사이트와 포털 사이트이 筍利用子 規模를 比較해 보면 조선닷컴은 731萬 名, 韓國아이닷컴은 643萬 名으로 야후 뉴스의 512萬 名, 미디어다음 의 260萬名, 네이버 뉴스의 260萬名보다 큰 規模였다. 따라서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는 旣存 言論社 사이트에 威脅이 되지 않았으며, 포털과 뉴스의 結合이 招來할 威力에 對해 注目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4] [5]

2002年 월드컵 大統領 選擧 를 契機로 인터넷을 통한 情報 利用과 揭示板 活動 等이 急激하게 增加하였다. 이에 포털은 월드컵과 大統領 選擧와 같은 全國民的 關心을 집중시키는 時期에 情報 需要가 急增하는 것을 確認하고 뉴스의 商業的, 서비스的 價値에 關心을 기울이기 始作하였으며, 뉴스 提供 서비스를 다양한 言論社들로부터 情報를 綜合하고 目錄을 보여주는 서비스로 發展시켰다. 2003年 다음은 뉴스의 傳達이라는 旣存의 포털 뉴스 供給 方式을 넘어 뉴스의 取材와 生産, 編輯, 流通에 이르는 全過程을 獨立的으로 遂行하는 미디어 다음을 出帆시켰다. 또한 네이버도 이 時期에 뉴스 서비스를 大大的으로 改編하여 專門的으로 加工된 情報로서 뉴스를 提供하기 始作하였다. [6] 포털 사이트가 뉴스 서비스를 强化한 2002年과 2003年을 起點으로 포털에서의 뉴스 消費量은 旣存 言論社 사이트의 뉴스 消費量을 앞지르기 始作하였다. 特히 포털 뉴스 서비스의 페이지 뷰는 2006年 월드컵을 契機로 다시 急增하였는데, 이는 國民的 關心事의 登場에 따른 迅速한 情報에 對한 要求와 共有된 情報에 基盤한 相互 作用 欲求의 增加가 포털 뉴스의 利用과 緊密하게 聯關된 結果이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영준, 韓國 인터넷 新聞의 發達과 特性에 關한 硏究,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學報 通卷 第7號, 2001年, 11, 12面.
  2. 金裕貞, 조수선, 온라인新聞에 對한 利用者 認識硏究 : 延長地와 代案地의 相異性 論議, 韓國言論學步 47卷 4號, 2003年, 85面.
  3. 두산百科事典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4. 이준용, 문태준, 포털 뉴스의 擡頭와 大衆媒體 뉴스利用, 韓國放送學會, 2007年, 1.2面.
  5. 최민제, 김위근, 포털 사이트 뉴스서비스의 議題設定 機能에 關한 硏究 : 提供된 뉴스와 選好된 뉴스의 特性 差異를 中心으로, 韓國言論學步, 2006年, 440面.
  6. 이준용, 문태준, 앞의 冊, 1.2面.
  7. 이준용, 문태준, 앞의 冊, 3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