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앵글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앵글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앵글로足 에서 넘어옴)

앵글人
Ængle / Engle
Spread of Angles (red) and Saxons (blue) around 500 AD
Spread of Angles (red) and Saxons (blue) around 500   AD
地域
슐레스비히 ( 앙겔른 半島 ), 홀슈타인 , 윌欄半島 , 프리슬란트 , 七王國 ( 잉글랜드 )
言語
古代 英語
( 앵글어 抑揚)
宗敎
本來는 앵글로색슨 信仰 , 以後 基督敎
民族系統
鉏게르만족
近緣民族 색슨人 , 프리지아人 , 유트人
後裔 앵글로색슨人

앵글人 ( 古代 英語 : Ængle , Engle ; 라틴語 : Angli ; 獨逸語 : Angeln )은 로마 以後 時期 그레이트브리튼섬 에 定着한 主要 게르만족 中 하나이다. [1] 이들은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에 여러 王國 들을 세웠으며, 이들의 이름은 잉글랜드 ("앵글人의 땅")라는 地名의 語根이 되었다. 앵글人이 브리튼섬으로 移住하기 前에 記錄을 남긴 타키투스 에 따르면, 앵글人들은 랑고바르드族 , 셈노네스족 와 함께 오늘날 덴마크 南部와 北部 獨逸의 一部인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에 該當하는 슐레스비히 홀슈타인 歷史的 地域 에 居住했다고 한다. [2]

어원 [ 編輯 ]

앵글족의 名稱은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 에서 라틴語化된 形態의 Anglii 로 처음 記錄되었을 것이다. 이들이 本來 居住했던 地域인 앙겔른 半島 (獨逸語로는 앙겔른 , 덴마크語 로는 Angel )의 地名에서 由來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名稱은 게르만어 "좁은" (獨逸語와 네덜란드語 eng 가 "좁은"과 같다는 걸 상기)을 뜻하는 게르만어 語根에서 由來했고, "좁은 물", 卽, 슐레스비히 어귀 를 뜻한다는 假說이 세워졌다. 名稱의 語根은 "촘촘함"을 뜻하는 *h₂en?? 이 될 수도 있다. 또다른 理論은 이 名稱이 앙겔른 半島의 模樣을 나타낸 "갈고리" (물고기 낚시 에 쓰이는)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인도유럽어 言語學者 율리우스 抛코르니 는 이 名稱이 "구부러지다"를 뜻하는 印度유럽祖語 *h₂enk- 에서 由來했다고 보았다. [3] 이와는 反對로, 앵글人들은 이들이 漁撈 民族이거나 本來 漁撈 民族의 後孫들이었기에 이렇게 불렸을 수도 있다. [4]

5世紀 동안에, 브리튼섬을 侵略한 모든 게르만 部族들은 古代 英語 ( Englisc , Ænglisc , Anglisc )를 驅使하는 話者들人 앵글人 ( Englisc , Ængle , Engle )이라고 했다. 앵글人 ( Englisc )과 이들의 後孫들인 잉글랜드人 亦是 좁은을 意味하는 印度유럽祖語 *h₂en??- 로 거슬러 올라간다. [5]

敎皇 그레고리오 1歲 書簡 에서 라틴語 名稱 Anglii Angli 로 簡略化했으며, 後者의 形態는 該當 單語의 選好되는 形態로 發展했다. [6] 라틴語 名稱 Anglia (앙글리아)라는 地名은 維持됐으나, 앨프리드 大王 오로시우스 의 世界史 飜譯本은 잉글랜드人들을 나타내는 데 Angelcynn (-kin)를 썼고, 비드 Angelfolc (-folk)라는 表現을 使用했다. Engel , Englan (잉글랜드人), Englaland , Englisc 이라는 形態 亦是도 생겼으며, 모두 母音이 I로 變化하는 i-變化 를 보여준다. [7]

그리스 로마 文獻 [ 編輯 ]

타키투스 [ 編輯 ]

앙겔른 슈반젠 半島를 나타내는 地圖
브리튼섬 移住 全 앵글족과 주트族의 推定 位置

앵글족에 對한 가장 이른 時期로 알려진 言及은 西紀 98年頃에 타키투스의 게르마니아의 40張일 것이다. 타키투스는 "앵글족"(Anglii)을 엘베강 에 살고 로마인들에게 잘 알려진 셈노네스족과 랑고바르드族과 比較하며, 수에비族 의 좀 더 먼 部族 中 하나로 描寫했다. 그는 앵글족을 같은 地域에 살았던 몇몇 다른 部族들인 레우디그니族 , 아비오네스族 , 바리니族 , 에右度세스族 , 수아리니族 , 누이土네스族 等과 無理지었다. [8] [9] 이들 部族들은 江과 숲이라는 防壁을 뒤로 한 채 살았으며, 따라서 攻擊하기가 어려웠다. [8] [9]

그는 앵글족의 地理的 狀況에 對한 正確한 案內를 하지 않았지만 다른 6個 部族과 함께, "大洋에 있는 섬"에 자리 잡은 聖所를 지닌 네르투스 或은 大지모신을 섬긴다는 걸 言及했다. [10] 에右度세스族은 유트族 들이며, 이 名稱들은 윌欄半島 나 발트海岸의 場所를 나타내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런 海岸가에는 로마인들처럼 이러한 地形에 익숙지 않은 이들이 接近하기 어려운 어귀, 海峽, 江, 섬, 濕地, 늪 等을 包含하고 있으며, 人口가 적고 經濟的 利益이 거의 없어, 로마인들은 이런 곳을 未知와 接近할 수 없는 곳이라 여겼다.

學者들의 大多數는 앵글족들이 발트海 海岸가, 아마 윌欄半島 南部에 살았을 거라 생각한다. 이 觀點은 4世紀 人物들과 事件들에 對한 옛 잉글랜드 및 덴마크 傳承들을 根據로 하는데, 이는 타키투스가 描寫한 네르투스 崇拜 思想에 對한 明確한 共通點들이 基督敎 以前 스칸디나비아 의 宗敎에서도 發見되었기 때문이었다. [10]

프톨레마이오스 [ 編輯 ]

自身의 指導書人 地理學 (2.10)를 西紀 150年頃에 지필한 프톨레마이오스 는 혼란스러운 方式으로 앵글족을 描寫했다. 地理學의 한 部分에서, 西쪽으로 라인江 에는 수에補이 랑고바르디, 東쪽으로 쭉 뻗어있는 엘베강 에는 셈노네스족을 두고 있던 수에補이 앙게일로이 (라틴語 表記 Suevi Angili 와 같은 意味의 그리스어)들이 라인江 北쪽과 엘베강 中心部 사이의 한 區域에 居住한다고 했으나, 明白히度 두 江 어느 곳에도 到達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것은 豫想치 못한 것이었다. 쉬테가 指摘했듯이, 랑고바르드族이 라코바르디 (Laccobardi)라는 이름으로 엘베강과 색슨족 隣近 다른 地點에서도 登場했는데, 이 位置가 좀 더 正確한 것으로 여겨지며, 앵글족度 그 地域에서 살았을 것이다. [11] [12] 이 部分의 不明確함으로 因해, 앵글족에 對한 元來 本據地에 對한 많은 推測들이 存在한다.

한 理論에선 앵글족들이나 이들의 一部가 海岸가 民族들과 살았거나 移住했고, 아마 퀴프호이제르크라이스 아래에 韻스투르트江 流域에 있는 잘레江 水域 (옛 엥글린 칸톤의 隣近 地域)에서 聯合했을 것이며, 그 地域에서 앵글족과 바르니족의 法律은, 卽, 튀링겐의 法律 (Lex Anglorum et Werinorum hoc est Thuringorum)李 發生했을 것으로 많은 이들이 믿고 있다. [10] [13] 프리詩人 바르니族 等의 不足 名稱들이 이 작센 地域들에서도 確認되기도 했다.

두 番째 可能한 理論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이 앵글족이 슐레스비히의 앵글족이 全혀 아니라는 것이다. 율리우스 抛코르니 에 따르면, 앙그리바리異族 에서 앙그리-(Angri-), 下堂에르 에서 -앙그르 (-angr), 앙글리 (Anglii, 앵글족)에서 앙글-(Angl-) 等 모두 "구부리다"를 意味하는 語根에서 왔지만 다른 意味라고 한다. 다시 말하여, 名稱의 類似性은 嚴密히 一致하지만 이것이 게르만족이라는 것을 넘어 같은 不足 集團이라는 걸 反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드門트 쉬테 (Gudmund Schutte)는 프톨레마이오스에 對한 그의 붐席에서, 앵글족이 프톨레마이오스의 不完全한 資料 使用으로 인해 생긴 誤謬로 인해 앵글족이 單純히 옮겨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앵글족이 랑고바르드族 北東쪽에 正確히 놓였지만 이것이 重複되었고, 따라서 이들이 엘베강 아래쪽에 옳게 한番 나타났지만, 두 番째에는 라인江 北쪽에 있다고 不正確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라고 强調한다. [14]

中世 文獻 [ 編輯 ]

비드의 筆寫本

비드 는 앵글족들이 그레이트브리튼섬으로 移住하기 以前에는 앙窟루스(Angulus)라는 곳에 살았으며, "그곳은 유트族과 색슨족의 領土 사이에 있으며, 現在는 사람이 살지 않는 채로 내버려있다."라고 言及했다. 類似한 證據가 《 브리튼仁義 歷史 》에 남아있다. 앨프리드 大王 과 年代記作家 애說웨어드 는 그 場所를 슐레스비히 (瑟레스비) 地域인 앙겔른 半島 로 認識했고 (그럼에도 그 當時에는 그곳은 더욱 큰 領域이었을 것이다), 이 認識은 비드가 나타낸 것과 一致했다. [10]

노르웨이의 旅行者 홀路갈란드의 오데어 오를로피오르 에서 슐레스비히 까지 이틀間의 旅程에 對한 記錄에서, 그는 배의 右舷에서 陸地를 記錄했고, 앨프리드 大王은 手記에 "그들이 이곳에 오기 前에, 이 섬들에 앵글족들이 살았다."라며 添附했다. [n 1] 이에 對한 對한 內容은 머시아 王家가 後孫임을 主張했고 業績들이 앙겔른, 슐레스비히, 렌츠부르크 와 聯關되어 있던 이들인 베르門드 , 앵글족의 五派 等 두 名의 王과 關聯한 덴마크와 잉글랜드의 傳承에서도 確認된다. 덴마크의 傳承은 프로優位누스 (Freawine)와 위고 (wig), 슐레스비히의 管理者이자 富者(父子)之間人 두 名에 對한 記錄들을 간직하고 있으며, 웨식스 王家가 이들의 後孫임을 自處했다. 5世紀 동안에, 앵글족들은 브리튼섬을 侵略했고, 그 後 이들의 이름은 튀링겐人 들이 公布한 法律人 Lex Anglorum et Werinorum hoc est Thuringorum 을 除外하곤 유럽 大陸에서 登場하지 않는다. [10] [13]

앵글족은 敎皇 그레고리오 1歲 의 關한 傳說의 主題이기도 했는데, 그레고리오는 로마 市場에서 데렌리체 에서 온 앵글족 아이들이 奴隸로 팔리고 있는 걸 目擊하게 되었다. 비드가 傳한 바에 依하면, 그레고리오는 익숙하지 않은 奴隸의 모습에 衝擊을 받았고 그들의 背景에 對해서 質問을 했다. 이들이 앵글족이라는 걸 들은 그는 라틴語 言語遊戱로 對答을 했다: “Bene, nam et angelicam habent faciem, et tales angelorum in caelis decet esse coheredes” ("이들은 天使의 얼굴을 지녔기에 훌륭하다. 이런 앵글족度 天國에서 天使들의 後任이 되어야 한다"). 아마 이런 마주침이 그레고리오가 自身의 同胞들에게 基督敎를 傳하는 宣敎 活動을 하는 靈感을 주었을 것이다. [17] [18]

考古學 [ 編輯 ]

슐레스비히 地域은 4世紀에서 5世紀의 것으로 明白히 거슬러 올라가는, 先史時代의 遺物들이 豐富한 것으로 確認되었다. 커다란 納骨堂이 렌츠부르크와 에케른푀르데 사이에 있는 보르크슈테트 에서 發見되었는데, 여기서 잉글랜드의 傳統 信仰 樣式의 무덤에서 發見된 것과 密接하게 類似한 遺骨團地와 브로치 들이 出土되었다. 하지만 더욱 重要한 것은 토스베어 濕地 (앙겔른 地域)와 니담 濕地 에서 나온 出土物들로, 厖大한 量의 武器, 裝身具, 衣服類, 農器具 等이 있었으며, 니담에서는 倍까지 出土되었다. 이러한 發見德에 브리튼섬 侵略 以前 時代 앵글족의 文化는 이어 맞춰질 수 있었다. [10]

잉글랜드 內 앵글족 王國 [ 編輯 ]

잉글랜드 全域의 앵글족, 색슨族, 쥬트族

性 비드의 History 같은 史料에 따르면, 브리튼섬 侵略 後, 앵글족은 分裂하여 노섬브리아 , 이스트 앵글리아 , 머시아 等의 王國들을 세웠다. H.R. Loyn은 이 史料에서 "航海는 不足 體制에 危險했으며", [19] 分明히 不足을 바탕으로 한 王國들이 잉글랜드에서 形成되었다는 걸 發見한다. 初期에는 두 個의 北部 王國들 (Bernicia and Deira)과 두 個의 中部 王國들 (Middle Anglia and Mercia)이 있었으며, 이들은 7世紀 무렵에 두 個의 앵글족 王國, 다시 말하여 노섬브리아와 머시아 王國으로 發展했다. 노섬브리아는 7世紀 브리튼諸島 내 게르만족 들 가운데 宗主權을 차지하기도 했으나, 8世紀 머시아의 成長으로 밀려났다. 두 王國은 9世紀 덴마크의 바이킹 들의 大攻勢에 滅亡했고, 이들의 王家는 戰鬪 中에 事實上 消滅했으며, 이들 國家의 앵글족들은 데인로 勢力圈에 들어갔다. 南쪽에선, 웨식스 의 색슨족界 王들은 덴마크人들의 攻勢를 버텨냈다. 그러고 나서 9世紀 말과 10世紀 初에, 웨식스의 王들은 데인族들을 擊破해내고 데인로에서 앵글족들을 解放시켜냈다. 이들은 살아남은 앵글界 王族과 婚姻을 통해 王家를 하나로 합침으로써, 앵글족들에게 王으로 받아들여졌다. 이 일은 옛 앵글로색슨족 世界가 끝나고 새로운 民族인 " 잉글랜드人 "의 始作을 나타낸다. 이스크 앵글리아와 노섬브리아 地域들은 如前히도 옛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노섬브리아는 한때 北쪽으로는 에든버러 를 包含한 現在 스코틀랜드 南東部 地域, 南쪽으로는 험버江 만큼이나 멀리 뻗어 있었다.

나머지 앵글족들은 윌欄半도 있는 現在 獨逸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聯邦主義 北東部 地域에 있는 앵글족 本據地 中心柱에 머물고 있다. 그곳에는 오늘날에도 如前히 앙겔른/앙글리아 라고 불리는 半島가 있으며, 플렌스부르크 피요르드에 자리잡은 플렌스부르크 에서 슐레스비히 , 그 다음엔 슐라이 海峽 에 있는 마스홀름 를 잇는 大略的인 三角形을 이루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 編輯 ]

  1. See the translation by Sweet, [15] noted by Loyn. [16]

各州 [ 編輯 ]

  1. Darvill, Timothy , 編輯. (2009). 〈Angles〉 .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Archaeology》 3板. Oxford University Press . ISBN   9780191727139 . 2020年 1月 26日에 確認함 . Angles. A Germanic people who originated on the Baltic coastlands of Jutland.  
  2. 틀:Cita .
  3. Pyles, Thomas and John Algeo 1993.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English language . 4th edition.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4. Baugh, Albert C. and Thomas Cable 1993 A history of the English language . 4th edition.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5. Barber, Charles, Joan C. Beal and Philip A. Shaw 2009. Other Indo-European languages have derivities of the PIE Sten or Lepto or Dol-?'kho as root words for narrow. The English language. A historical introduction . Second edition of Barber (1993).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그레고리오는 그가 市場에서 보았던 奴隸 아이들, 潤氣나는 머리를 지닌 앵글족 集團의 正體性에 對한 그의 質問에 反應하며, Non Angli , sed angeli , si forent Christiani "그들이 基督敎人이라면, 그들은 앵글人(Angles)李 아닌, 天使 (Angel)다"라고 말했다. 다음 參照: 길라드 秋커만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117쪽 (2003). 팰그레이브 맥밀런 . ISBN   9781403917232 / ISBN   9781403938695 [1]
  7. Fennell, Barbara 1998. A history of English. A sociolinguistic approach . Oxford: Blackwell.
  8. Tacitus & 98 , Cap. XL .
  9. Church (1868) , Ch. XL .
  10. Chadwick 1911 , 18?19쪽.
  11. Ptolemy, Geography , 2.10 保管됨 2017-10-20 - Archive-It .
  12. Schutte, Gudmund (1917), 《Ptolemy's maps of northern Europe, a reconstruction of the prototypes》 , 34쪽   . See also pp.119?120, & 125?127.
  13. “Lex Anglorum et Werinorum hoc est Thuringorum - Wikisource” . 《la.wikisource.org》 (라틴語) . 2017年 9月 6日에 確認함 .  
  14. Schutte (1917) , 34 & 118 쪽.
  15. Sweet (1883) , 19쪽.
  16. Loyn (1991) , 24쪽.
  17. Bede (731) , Lib. II .
  18. Jane (1903) , Vol. II .
  19. Loyn (1991) , 25쪽.

參考 書籍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