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지 (新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心지 (新羅)
법명 심지(心地)
出生 三國時代(仔細한 鳶島는 未詳)
新羅(仔細한 地域은 未詳)
入寂 ?年(??歲)
八公山 桐華寺 에 있는 心지大使 가 심은 梧桐나무이다. 지팡이가 자란 것으로 겨울에도 꽃을 피웠다고 한다.

心지 ( 心地 , ?~?)는 9世紀 新羅 의 僧侶이다.

三國遺事 》에는 헌덕왕 (憲德王)의 아들이라고 되어 있다. 열다섯 살에 머리를 깎고 僧侶가 되어 中岳 (中岳)에 머물렀다. 佛骨間者 이야기가 有名한데, 이는 彌勒菩薩의 손가락뼈라고 한다. [1]

八公山 桐華寺 의 重創者이자, 金堂船員의 創建者로 有名하여 心지調査(心地祖師) 라고도 높여 부른다.

佛骨間者 [ 編輯 ]

俗離山 에서 영심(永深)李 眞表 (眞表)의 佛骨間者(佛骨簡子)를 받들어 瓜蒸法會(果證法會)를 연다는 消息을 듣고 찾아갔다. 하지만, 뒤늦게 到着하는 바람에 僧侶로서 法會에 參加하는 것이 許諾되지 않았고, 하는 수 없이 다른 사람들을 따라 禮拜하고 懺悔하였다.

그런데 7日이 지나 큰 눈이 내렸는데, 心지가 서 있는 자리 四方으로 열 者 거리에는 눈이 떨어지지도 쌓이지도 않았다. 사람들은 이것을 新異하게 여겨 마침내 그가 法堂에 들어오는 것을 許諾하였지만, 心地는 病을 핑계로 法堂에는 들어가지 않은 채 물러나 다른 房에서 法堂을 向해 절을 올렸다.

法會가 끝나고 돌아오던 心地는 間者 두 個가 옷섶에 붙어 있는 것을 보고 돌아가서 영심에게 알렸는데, 分明히 間者를 函 속에 깊이 넣어놨는데 그럴 理 없다며 영심은 自身이 間者를 넣어둔 箱子를 살폈다.

영심은 箱子가 봉해져 있는 것은 예전과 같았지만 間者만이 없어져 있는 것에 놀란 영심은 다시 心지로부터 間者를 傳해받아 保管했지만, 마찬가지로 箱子에 넣어둔 間者가 다시 心지의 옷에 붙어있는 일이 생기자, 영심은 "부처의 뜻은 當身에게 있으니 當身이 그것을 받들라"며 間者를 心지에게 傳해주었다. [2]

桐華寺 創建 [ 編輯 ]

心志가 그 間者를 頂수리에 이고 中岳으로 돌아오자, 山神이 두 線者(仙子)를 데리고 心지를 맞이하여 山꼭대기에 그를 데려다 바위 위에 앉히고는 엎드려 不問에 歸依하기를 請했다.

心地는 "只今 땅을 가려서 星間(聖簡)을 奉安해야 하는데, 우리가 決定할 일이 아니니 함께 높이 올라가 間者를 던져 占을 쳐보자"고 하고는 中岳 山神들과 山꼭대기에 올라 西쪽을 向해 던졌다.

간자는 곧 바람에 날려 날아가 中岳 깊은 곳의 숲의 샘물 속에 떨어졌고, 心地는 間者가 떨어진 샘이 있던 자리에 절을 지어 間者를 모시게 되었다. 바로 只今의 桐華寺 (桐華寺)였다. [3] [4]

절을 重創할 當時 季節이 겨울이었는데도 梧桐나무가 꽃을 활짝 피웠고, 心地는 이에 感歎하여 절의 이름을 瑜伽師에서 桐華寺로 바꾸게 되었다고 한다. 現在 桐華寺 境內의 照査前 앞에는 '心지調査나무'라는 이름이 붙은 梧桐나무가 서있다.

參考 文獻 [ 編輯 ]

  • 《三國遺事》
  1. 이, 種익. “間者 (簡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中央學硏究院 . 2023年 5月 26日에 確認함 . 眞表가 받은 間者는 彌勒菩薩의 손가락 뼈라고 하며  
  2. 고, 靈섭. “심지 (心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學中央硏究院 . 2024年 2月 18日에 確認함 . 『三國遺事(三國遺事)』에 心지에 關한 몇몇 逸話가 傳한다. 心志가 中岳(八公山)에 머무르고 있을 때였다. 그는 俗離山의 영심(永深)李 眞表律師(眞表律師)의 佛骨間者(佛骨簡子)를 傳해 받아 瓜蒸法會(果證法會)를 연다는 말을 듣고 찾아갔다. 하지만 이미 날짜機 지난 뒤라 參席을 許諾받지 못하였다. 이에 心地는 땅에 앉아 마당을 치면서 여러 무리를 따라 禮拜하고 懺悔하였다. 心지의 예참이 一週日을 지났을 무렵 큰 눈이 내렸는데, 그가 섰던 곳의 四方 열자 남짓 되는 곳에는 눈이 나부꼈지만 내리지 않았다. 周邊 僧侶들이 神奇하게 여겨 黨(堂)에 오르기를 請하였지만, 心地는 病을 핑계 대고 辭讓하면서 房으로 물러나 佛堂을 向해 조용히 禮拜하였다. 그의 팔꿈치와 이마에서는 피가 흘러, 마치 眞表律師가 선계산(仙溪山)에서 精進할 때와 같았다. 心地는 法會가 끝나 本産(本山)으로 돌아가는 途中에 間者(簡子) 두 個가 옷깃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을 보았다. 그는 이것을 가지고 돌아와 영심에게 알리자 영심이 말하였다. “間者는 函 속에 있는데 그럴 理가 있는가?” 함을 찾아보니 아무런 變化가 없었지만 열어보니 果然 間者 두 個가 없었다. 영심은 이것을 매우 異常하게 여겨 間者를 거듭 싸서 函 속에 넣어 두었다. 心志가 길을 가다 보니 間者는 如前히 옷깃에 붙어 있었다. 이 때문에 다시 돌아가 이야기하였다. 이에 영심은 부처의 뜻이 心志에게 있다고 말하고 間者를 넘겨 주었다.  
  3. 고, 靈섭. “심지 (心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韓國學中央硏究院 . 2024年 2月 18日에 確認함 . 心志가 돌아오자 重惡意 山神이 두 神仙을 거느리고 그를 迎接하였다. 이들은 心지에게 政界(淨戒)를 받았다. 心志가 말하였다. “只今 適當한 땅을 가려서 이 부처님의 間者를 奉安하려 합니다. 請하건대 세 분과 함께 山에 올라가 間者를 던져 定합시다.” 心志가 山神들과 함께 山봉우리에 올라가 西쪽을 向해 間者를 던지니 바람에 날려갔다. 間者가 날아간 곳을 찾아 그 자리에 佛堂을 짓고 奉安하였는데, 『三國遺事』에서는 “只今의 桐華寺 첨當(籤堂) 北쪽에 있는 작은 우물이 바로 그곳이다.”하였다.  
  4. 一然, 一然 (高麗(13世紀)). 《三國遺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