醫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醫學
古代 그리스 에서 治療의 神으로 崇拜되었던 아스클레피오스
學問名 醫學
硏究 分野 人體의 保健, 疾病이나 傷害의 治療·豫防 等에 關한 方法과 技術

醫學 (醫學, 英語 : medicine )은 人體 의 構造와 機能을 調査하여 人體의 保健 , 疾病 이나 傷害 治療 豫防 에 關한 方法과 技術을 硏究하는 學問 이다. 基礎 醫學, 臨床 醫學, 社會 醫學 等으로 나뉠 수 있다. [1]

現代 醫學은 投藥이나 手術 과 같은 '臨床 醫學'뿐만 아니라, 解剖學이나 病理學 等의 '基礎 醫學', 社會的 要因에 依한 健康 障礙에 關心을 가지는 '社會 醫學' 等 多方面의 分野를 아우른다.

歷史 [ 編輯 ]

先史時代부터 疾病을 治療하려는 醫療行爲가 있어왔다. 石器時代에 그린 頭蓋骨에 穿孔을 하는 場面을 담은 壁畫는 呪術的인 內容이라는 意見이 있으나 先史時代에도 手術과 같은 外科 治療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한다. 古代 이집트 에서는 縫合 手術과 같은 專門的인 治療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2]

古代 社會에 이르기까지 疾病은 神이 내린 벌이거나 雜鬼에 依한 것으로 取扱되었다. 紀元前 280年 頃 古代 그리스 에서 編纂된 히포크라테스 의 《히포크라테스 戰서》와 中國 春秋 · 全國 時期에 集大成 된 《 黃帝內經 》에 依해 疾病을 보다 客觀的으로 다루고 治療法을 찾는 合理的인 醫學이 出發하였다. [3]

黃帝內經의 集大成 以後 東洋醫學 明나라 時期 이시진의 本草綱目 과 같은 藥學 의 發達과 함께 獨自的인 發展을 繼續하여 왔다. [4] 近世에 이르러 朝鮮 許浚 에 依해 集大成된 東醫寶鑑 韓國 뿐만 아니라 中國 日本 에서도 重要한 醫學書籍으로 取扱되었다. [5] 淸나라 에서는 東醫寶鑑이 大量으로 印刷되기도 하였다. [6] 東洋醫學은 오늘날에도 中國 中醫學(中醫學) , 韓國 韓醫學(韓醫學) 과 같이 醫療의 一環으로 利用되고 있다.

中世 유럽에서 醫學은 獨自的인 領域이라기 보다는 여러 職業群의 副次的인 業務로서 다루어졌다. 外科 治療는 理髮師에 依해 이루어지는 境遇가 흔했으며 [7] 藥學 鍊金術 은 그리 다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 [8]

古代 그리스 古代 로마 의 醫學 知識은 이슬람 世界 로 傳播되어 發展되었다. 中世 이슬람 醫學 갈레노스 를 비롯한 古代의 知識을 繼承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은 獨自的인 知識과 技術을 蓄積하였다. 이들은 經驗的 方法을 重視한 硏究 成果를 바탕으로 科學的인 醫學書籍을 編纂하는 業績을 남겼다. 中世 이슬람 醫學은 르네상스 時期에 유럽으로 傳播되어 유럽 醫學과 科學의 發展에 큰 影響을 주었다. [9] 12世紀 醫學의 最高 境地에 있었던 이븐 詩나 는 유럽에서 조차 醫師의 王이라 불렸다. [10] 이븐 時나의 《醫學停戰》(??????? ?? ????)은 라틴語로 飜譯되어 유럽에 傳播되었으며 17世紀까지 各 大學의 韓醫學敎材 使用되었다. 한便, 알 라지이 는 古代 그리스의 醫學 知識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印度, 中國이 醫學 成果도 받아들여 새로운 醫療體系를 確立했다. 알 라지이는 世界 最初로 紅疫 天然痘 를 正確하게 區分하였고, 小兒科 및 外科, 傳染病學 等의 平生 硏究 結果를 모아 100卷으로 된 《醫學集成》을 執筆하였다. 그의 著書 亦是 라틴語로 飜譯되어 유럽에 알려졌다. [11]

18世紀에 들어 유럽에서는 啓蒙主義 自然主義 의 影響으로 科學的 方法 에 依한 醫學 硏究가 活潑히 進行되기 始作하였다. [12] 大學 에는 解剖學 實驗室이 마련되었고 當時 知識人에게 人體에 對한 理解는 必須的인 敎養이 되었다. [13] 한便, 顯微鏡 의 發明으로 微生物 을 直接 觀察하게 되고 病原菌 을 確認하게 되면서 백신 의 接種과 같은 傳染病 의 豫防 技術이 發展하게 되었다. 로베르트 코흐 炭疽菌 , 結核菌 , 콜레라菌 과 같은 病原菌을 發見하였다. [14] 19世紀 以前까지 "生物學의 技術"로서 取扱되던 醫學은 이러한 成果들을 바탕으로 獨立된 學問으로서 자리잡아 近代 醫學이 成立되었다. [15]

自然科學 의 發達로 現代 醫學은 많은 科學 分野가 關聯된 學際間 硏究 의 모습을 띠게 되었다. 엑스線 撮影이 診斷을 위한 技術로 導入된 以後 CT , MRI 와 같은 技術이 導入되었고 分子生物學 遺傳學 의 發達은 疾病의 原因을 밝혀내는데 큰 役割을 하였다. 統計學 은 疾病의 危險性을 分類하는 基準을 마련하였으며 社會的인 疾病管理가 可能하도록 하였다. [註解 1] 現代 醫學은 다양한 專門分野로 細分化되어 있다.

敎育 [ 編輯 ]

現在, 醫學 硏究와 醫師 養成 敎育機關으로 醫科 大學 , 한의과 大學 , 齒科 大學 이 있다. 美國,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英國 等의 國家에서는 醫科大學 敎育課程의 水準을 一定 程度 以上 確保하고자 評價認定制度를 施行하고 있다. [16] 大韓民國에서는 韓國醫學敎育評價院에서 醫科大學, 한의과 大學에 對한 評價認定을 施行한다. [17]

非專門家의 醫療行爲가 자칫 患者의 生命을 危險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大部分의 나라에서는 國家가 認定하는 醫師 資格을 갖춘 사람만이 醫療 行爲를 할 수 있도록 制限하고 있다. 醫科 大學의 學部課程을 修了한 사람은 醫師資格試驗에 應試할 수 있고, 醫師資格을 獲得하면 一般意義 資格이 주어지며, 修鍊醫와 專攻醫의 過程을 거쳐 各 分野의 專門의 資格을 얻는다. [18]

診斷과 治療 [ 編輯 ]

現代 醫學은 다양한 疾病을 診斷하기 위한 鑑別 診斷 技術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疾病의 診斷에서 患者와의 問診은 如前히 가장 重要한 診斷 方法이다. [19] 醫師는 患者가 呼訴하는 痛症이나 症狀을 根據로 可能性이 있는 疾病을 推定하며 다양한 診斷 技術을 통해 疾病을 確定한다. 例를 들어 갑작스럽게 高熱이 나고 목이 아프며 콧물이 함께 나타난다고 呼訴하면 醫師는 細菌性 感染에 依한 發熱을 疑心하게 된다. [20]

더욱 正確한 診斷을 위해 多樣한 診斷 技術이 使用된다. 骨折이나 體內 異常을 檢査하기 위한 技術로는 엑스線 撮影이나 CT , MRI 撮影이 있으며, 傳染病의 確診을 위해서는 細菌培養과 顯微鏡 檢査가 쓰인다. 이 外에도 內視鏡 檢査, 血液 檢査, 遺傳子 檢査와 같은 技術들이 있다.

疾病의 治療는 크게 藥물에 依한 治療와 外科的인 方法에 依한 治療, 그리고 再活 治療 等으로 나눌 수 있다.

硏究와 實驗 [ 編輯 ]

疾病의 原因에 對한 分析과 治療法의 開發을 위해 다양한 硏究와 實驗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0年代 以後에는 의 發生 原因을 찾기 爲한 後成遺傳學 的인 硏究와 [21] 各種 遺傳性 疾患 에 對한 硏究가 活潑하다. 發生遺傳學 을 비롯한 여러 下位 學問의 學際間 硏究 줄기 細胞 硏究는 다양한 遺傳性 疾患 의 治療 方法을 確保할 수 있을 것으로 期待되고 있다. 2010年에 發表된 예일 大學校 의 硏究 論文에서는 子宮 內幕을 利用한 聖體 줄기 細胞로 파킨슨病 을 治療할 수 있을 것이란 展望을 내놓았다. [22]

分野 [ 編輯 ]

醫學은 基礎醫學과 臨床醫學, 臨床支援醫學으로 普通 慣例的으로 分類한다. 臨床(Bed-side)이란 英語와 漢文의 말뜻대로, 患者 옆에서, 病床 옆에서 直接 患者를 診療하는 醫學 分野를 말하고, 基礎 醫學은 臨床醫學을 배우기 위해 必要한 必須 基本 學問을, 臨床支援醫學은 臨床 意思를 돕는 醫學 分野, 卽 映像醫學이나 痲醉科學 等을 말한다. 臨床醫學은 또 內科系와 外科系로 나눌 수 있다. 內科系는 主로 藥物 治療를 하는 疾病을 다루는 醫學 分野를 말하고, 外科系는 主로 手術 治療를 하는 醫學 分野를 말한다.

關聯 學問으로는 生物學 , 化學 , 生化學 , 心理學 , 物理學 , 看護學 , 藥學 , 社會學 等을 꼽을 수 있다. 韓國에서 齒醫學 과 藥學은 醫學에서 獨立된 科로 看做되고 있다.

賞과 메달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註解 [ 編輯 ]

  1. 傳染病의 危險度에 따라 法定傳染病을 指定하여 管理하고 있다.

各州 [ 編輯 ]

  1. 國立國語院, 標準國語大辭典
  2. 피에르 語떨제르마, 김혜경 驛, 世界의 最初들 1, 하늘연못, 2000, ISBN   89-87115-68-2 , 144쪽
  3. 강신익, 醫學 오디세이, 역사비평사, 2007, ISBN   89-7696-269-9 , 17-35쪽
  4. 박덕규, 中國歷史이야기, 日송북, 2008, ISBN   89-5732-077-6 , 337쪽
  5. 곽영직, 自然科學의 올바른 理解, 학문사, 1995, ISBN   89-467-5151-7 , 439쪽
  6. 동아사이언스, 科學東亞 2004年 10月號, ISBN ABD2004100, 20쪽
  7. 강신익, 醫學 오디세이, 역사비평사, 2007, ISBN   89-7696-269-9 , 93쪽
  8. 강신익, 醫學 오디세이, 역사비평사, 2007, ISBN   89-7696-269-9 , 64쪽
  9. 하워드 R 터너, 정규영 驛, 이슬람의 科學과 文明, 르네상스, 2004, ISBN   89-90828-05-8 , 第9張 이슬람 文明의 黃金時代와 學問의 巨匠들
  10.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세계사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05, ISBN   89-5862-070-6 , 105쪽
  11. 쑨자오룬, 心지言 驛, 地圖로 보는 世界科學史, 시그마북스, 2009, ISBN   89-8445-333-1 , 145쪽
  12. 윌리엄 L 冷語, 박상익 驛, 뉴턴에서 조지오웰까지, 푸른역사, 2005, ISBN   89-87787-90-7 , 158쪽
  13. 陳重權, 춤추는 죽음 1, 세종서적, 2005, ISBN   89-8407-182-X , 309쪽
  14. 이원경, 微生物 작은세상의 叛亂, 聲優, 2002, ISBN   89-88950-52-6 , 132-136쪽
  15. 진교훈, 醫學的 人間學:醫學哲學의 基礎,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ISBN   89-521-0337-8 , 17쪽
  16. 양은배, 醫科大學 評價認定制度와 醫學敎育의 質, 연세대학교出版部, 2006, ISBN   89-7141-736-6
  17. 韓國醫學敎育評價院
  18. 二元의, 幸福기르기, 韓國文學圖書館, 2005, ISBN   90-5002-217-0 , 105쪽
  19. 醫學敎育硏修院, 家庭醫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ISBN   89-7096-823-7 , 94쪽
  20. 醫學敎育硏修院, 家庭醫學,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ISBN   89-7096-823-7 , 129쪽
  21. 이인수, 癌 후성誘電體의 硏究 動向 , 바이오人
  22. 子宮內膜 줄기細胞로 파킨슨病 治療 , 뉴스 韓國, 2010-5-7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