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某굴리스탄 칸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某굴리스탄 칸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某굴리스탄
桐차가타이 칸國
Моголистан
Mogholistan

1347年 ~ 1706年
 

 

1490년 모굴리스탄 칸국(동부 차가타이 칸국)의 위치
1490年 某굴리스탄 칸國(동부 차가타이 칸國)의 位置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투글루크 티무르
一理야스 湖字
에센 不카 2歲
人文
公用語 차가타이語
民族 모굴人
宗敎
宗敎 샤머니즘 , 以後 수니派

某굴리스탄 1346年 차가타이 칸國 이 分裂된 以後 차가타이 칸國 의 東部에 成立된 몽골 帝國 界 國家룰 이르는 말이다. 支配階層은 몽골 人이었으며, 住民은 몽골 人, 現地化된 모굴人 , 투르크 人, 위구르 人 等으로 構成되었다. 1706年 에 마지막 칸이 湖字 家門에 依해 追放될 때까지 存續했다. 차가타이 칸國의 東部 地帶에 成立했다고 하여 桐차가타이 칸國 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모굴人들이 主軸이 된 國家임으로 모굴 칸國 이라 이르기도 한다.

某굴리스탄 칸國은 草原 地帶와 오아시스 地帶의 相異한 두 地域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천산 山脈 北方(= 某굴리스탄)李 草原의 遊牧 地帶였고, 천산 山脈 南部(= 타림 盆地)에 오아시스 都市들이 있는 井州 地帶였다. [1] 오이라트 의 西南쪽이었고, 몽골의 西北쪽, 티베트 의 北部와 北東쪽과 境界를 形成하고 있었다.

16世紀 初頭에 某굴리스탄 칸國은 모굴리스탄을 喪失하고 타림 盆地 의 定住地臺로 移動했다. [2] 以後 某굴리스탄 칸國은 이슬람敎 에 더 기우는 [3] 同時에 정주화되었다. [4]

歷史 [ 編輯 ]

투글루크 티무르 칸 [ 編輯 ]

1346年 차가타이 칸國 카잔 칸 카자間 에 依해 被殺되면서 事實上의 終末을 告했다. 천산北方에서 遊牧的人 生活을 固執하던 部族들은 트란스옥시아나 에서 옹립된 이름뿐인 새로운 君主에 對한 新種을 拒否하고 獨自的으로 차가타이 의 後裔인 투글루크 티무르 를 君主로 推戴한다. 一般的으로 이 事件을 차가타이 칸國의 分裂인 同時에 某굴리스탄 칸國의 誕生으로 본다. [5]

1358年 카자間은 狩獵 途中 암살당했다. 以後 트란스옥시아나 地域을 無政府 狀態로 몰아넣었다. 反面 동부의 모굴리스탄에서는 투글루크 티무르가 이슬람을 受容하는 等의 努力을 통해 칸의 權力을 確固히하여 安定되었다. 以後 투글루크 티무르는 두 番에 걸쳐 트란스옥시아나로 進軍하여 차가타이 蔚루스를 再統一했다. [6] 하지만 이 統一은 오래가지 못 했다. 투글루크 티무르가 死亡할 때( 1363年 )즈음 티무르 아미르 후세인 에 依해 某굴리스탄 칸國은 트란스옥시아나에서 쫓겨났기 때문이다. [7]

티무르 帝國 [ 編輯 ]

투글루크 티무르에 이어 차가타이 韓國을 掌握한 것은 바를라스富의 아미르, 티무르 였다. 투글루크 티무르에 依해 바를라스富의 아미르가 된 티무르는 다른 여러 部族들을 制壓한 뒤 1370年 에 鉏차가타이 韓國을 掌握하고 티무르 王朝 를 세웠다. 티무르 王朝가 設立된 以後에도 차가타이 韓國의 칸은 1402年 까지 名目上으로 存在하지만 事實上 차가타이 韓國은 1370年 에 滅亡을 告했다.

15世紀 初盤의 某굴리스탄 칸國
1490年의 某굴리스탄 칸國

투글루크 티무르 事後, 그의 아들 일리아스 湖字 는 트란俗詩아나에 對한 支配權을 다시 確保하려 했으나 失敗했다. 以後 西차가타이 韓國에서 티무르 王朝가 成立, 某굴리스탄 韓國은 티무르 王朝의 支配權 아래로 들어가게 됐다. 15世紀 中盤, 티무르 韓國의 分裂로 다시 自立한 某굴리스탄 韓國은 에센 不카 2世와 유누스 칸 時代에 全盛期를 맞았다.

카슈가르 韓國 [ 編輯 ]

하지만 某굴리스탄 韓國은 도스트 무함마드가 유누스 칸에 對抗하여 東쪽 투르판 을 中心으로 위구르스탄 韓國 을 세우며 兩分되었다. 16世紀 初 위구르스탄의 만수르 칸 李 毛굴리스탄을 再統一하고 오이라트 와의 戰鬪에서 여러 次例 勝利하며 威勢를 떨쳤지만 그의 兄弟인 사이드 칸 카슈가르 를 中心으로 카슈가르 韓國 을 세우면서 某굴리스탄 韓國은 다시 分裂되었다.

카슈가르 韓國에서는 16世紀 末부터 칸의 權威가 바닥으로 떨어지고 그 代身 호자라는 이슬람 貴族 家門이 權力을 잡게 됐다. 湖字 家門은 카슈가르 白山當 야르칸드 의 黑山糖으로 分裂하여 權力 鬪爭을 벌였다.

17世紀 初, 某굴리스탄 칸國은 結局 두 個의 칸國으로 分裂된다. 하나는 야르칸드를 首都로 하였고, 또 하나는 투르판 을 首都로 하였다. 1638年 / 1639年 , 투르판의 칸 압둘라 가 야르칸드를 征服하여 聯合된 칸國을 再建했다. 그러나 聯合된 칸國은 1680年 頃, 갈단步쇽투 쿤타이지 가 야르칸드와 카쉬가르를 征服하고, 차가타이 家門 最後의 君主, 이스마일 칸 을 生捕해 중가르 로 돌아간 뒤에 事實上 崩壞했다. [8]

갈단步쇽套는 傍系血統에 屬하는 압둘 라시드를 허수아비 칸으로 세웠다가 곧 一理로 連行했다. 압둘 라시드 以後에는 그의 兄弟들이 連이어 칸이 되지만 모두 백山堂의 號者들에게 殺害당했다. 그리하여 모굴리스탄에 있는 칸 家門은 消滅하고 어머니쪽에서 칸 家門의 피를 이어받은 아팍 湖字 의 孫子 아흐마드 가 칸을 稱했다. [9]

外交 [ 編輯 ]

부하라 칸國 과의 關係 [ 編輯 ]

16世紀 初盤에는 부하라 칸國 과 모굴 칸國의 사이는 좋지 않았다. 그러나 1530年 以後 부하라와 모굴 칸國 사이는 友好的으로 變한다. 量子의 支配 家門들은 通婚하였다. 이러한 變化의 背景에는 카자흐族 에 對한 共同的 對應의 必要性과 兩國 사이의 交易 規模가 縮小되고 있어, 이를 살릴 必要가 있었기 때문이다. [10]

17世紀 에서 18世紀 兩國 關係에 對해서는 記錄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 그 原因으로는 부하라 칸國 內部에서 아불 下이르 王朝 에서 盞 王朝 로의 王朝 交替가 일어나고 있던 渦中 이란 에 依해 정복당했던 時期와 모굴 칸國 內部에서는 黑山當 白山當 의 內紛이 深化되어 準가르 의 屬國이 되었던 時期가 겹쳤던 點이 指摘된다. [11]

交易 [ 編輯 ]

부하라 칸國 과의 交易 [ 編輯 ]

16世紀 의 史料에 따르면, 아불바카 이븐 湖字 바하 알딘은 中央아시아 最高의 巨富였는데, 定期的으로 카쉬가르 印度 카라반 을 보냈다고 한다. 또, 오스만 帝國 의 旅行者 사이피 첼레비는 부하라 商人들이 모굴 칸國의 主要 都市인 투르판과 下米에서 活動했다고 記錄했다. 모굴 칸國의 商人들은 面, 陶瓷器, 카쉬미르山 숄, 香料, 農産物, 中國 衣服, 大理石 等을 부하라에 販賣했다. 모굴 칸國에서는 부하라山의 말린 과일이나 織物을 부하라를 통해 얻었다. [11]

某굴리스탄 칸國의 君主들 [ 編輯 ]

某굴리스탄 喪失 以前 [ 編輯 ]

  1. 투글루크 티무르 칸 (在位期間: 1347年 ~ 1363年 [12] )
  2. 一理야스 湖字 칸 (在位期間: 1363年 ~ 1368年 [13] )
  3. 카마르 웃딘 칸 (在位期間: 1368年 ~ 1392年 ) [14] )
  4. 히드르 湖字 칸 (在位期間: 1392年 ~ 1399年 [13] )
  5. 샤미 자한 칸 (在位期間: 1399年 ~ 1407年 [13] )
  6. 무함마드 칸 (在位期間: 1407年 ~ 1415年 [13] )
  7. 禹와이스 칸 (1次 在位; 在位期間: 1417年 ~ 1421年 [13] )
  8. 시르 무함마드 칸 (在位期間: 1421年 ~ 1425年 [13] )
  9. 이센 不카 칸 (在位期間: 1433年 ~ 1462年 [13] )
  10. 두스트 무함마드 칸 (在位期間: 1462年 ~ 1468年 / 1469年 [13] )
  11. 유누스 칸 (在位期間: 1468年 / 1469年 ~ 1487年 [13] )
  12. 마흐무드 칸 ( 1487年 ~ 1508年 [15] )
  13. 아흐마드 칸 ( 1476年 ~ 1503年 [15] )
  14. 만수르 칸 (在位期間: 1503年 ~ 1543年 [16] )
  15. 사이드 칸 (在位期間: 1514年 ~ 1533年 [17] )

카슈가르 韓國 (西部 칸國) [ 編輯 ]

  1. 사이드 칸 (在位期間: 1514年 ~ 1533年 [17] )
  2. 압둘 라시드 1歲 (在位期間: 1533年 ~ 1559年 / 1560年 [18] )
  3. 압둘 카림 칸 (在位期間: 1559年 / 1560年 ~ 1590年 / 1591年 [18] )
  4. 무함마드 칸 가지 (在位期間: 1590年 ~ 1606年 ) [19]
  5. 샤 슈자 앗딘 칸 (在位期間: 1606年 ~ 1618年 / 1619年 [19] )
  6. 압둘 라티프 칸 (在位期間: 1618年 / 1619年 ~ 1626年 / 1627年 [20] )
  7. 술탄 아흐마드 칸 (1次 在位; 在位期間: 1626年 / 1627年 ~ 1632年 / 1633年 [20] )
  8. 술탄 마흐무드 칸 (在位期間: 1632年 / 1633年 ~ 1635年 / 1636年 [20] )
  9. 술탄 아흐마드 칸 (2次 在位; 在位期間: 1635年 / 1636年 ~ 1638年 / 1639年 [20] )
  10. 압둘라 칸 (在位期間: 1638年 / 1639年 ~ 1667年 / 1668年 [21] )
  11. 욜바르스 칸 (在位期間: 1667年 / 1668年 ~ 1670年 [22] )
  12. 이스마일 칸 (在位期間: 1670年 ~ 1680年 頃 [22] )
  13. 압둘 라시드 2歲 (在位期間: 1680年 頃 [23] )
  14. 무함마드 에민 칸 (在位期間: 1680年 頃 ~ 1692年 [23] )
  15. 惡바슈 칸 (在位期間: ? [23] )

關聯 論文 [ 編輯 ]

  • 김호동, 〈《華夷譯語》의 〈納門駙馬書〉에 對한 再解釋;14世紀 後半 모굴汗國史 解明의 一資料〉, 《알타이學報》 1, 韓國알타이學會, 1989年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김호동, “前期 모굴汗國의 繼承紛爭을 通해 본 遊牧的 部族政治의 特徵,” 《東洋史學硏究》 33(1990), p.64.
  2. 김호동, “15-16世紀 中央아시아 新遊牧集團들의 動向;前期 모굴汗國의 崩壞와 關聯하여,” 《러시아硏究》 3(1993), p.98.
  3. 고마츠 히사오, 나카미 타츠오, 하마다 마사미, “中央유라시아의 周邊化,” 《中央 유라시아의 歷史》, 이평래 옮김(서울: 소나무, 2005), p.330.
  4. 고마츠 히사오, 나카미 타츠오, 하마다 마사미, “中央유라시아의 周邊化,” 《中央 유라시아의 歷史》, 이평래 옮김(서울: 소나무, 2005), p.333.
  5. 김호동, “前期 모굴汗國의 繼承紛爭을 通해 본 遊牧的 部族政治의 特徵,” 《東洋史學硏究》 33(1990), pp.63-64.
  6. 호리카와 토오루, “몽골 帝國과 티무르 帝國,” 《中央유라시아의 歷史》, 이평래 옮김(서울: 소나무, 2005), pp.238-39.
  7. 르네 그루세, 《유라시아 遊牧 帝國史》,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서울: 四季節, 1998), p. 580.
  8. Yuri Bregel, An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sia(Leiden: Brill, 2003), p.56; 有利 브레겔에 따르면 갈단步쇽套가 某굴리스탄 칸國을 侵入한 時期에 對해서는 史料들이 一致하지 않는다. 史料들이 提示한 時期는 1678年에서 1683年 사이에 存在한다.
  9. 고마츠 히사오, 나카미 타츠오, 하마다 마사미, “中央유라시아의 周邊化,” 《中央 유라시아의 歷史》, 이평래 옮김(서울: 소나무, 2005), p.335.
  10. Gulchekhra Sultonova, "The dynamics of interrelations Bukhara and Yarkand khanates: inter and external factors," Central Eurasian Studies , T.C. Maltepe Universitesi yayinlari, no.46 (2011/5), pp. 351 - 352.
  11. Gulchekhra Sultonova, "The dynamics of interrelations Bukhara and Yarkand khanates: inter and external factors," Central Eurasian Studies , T.C. Maltepe Universitesi yayinlari, no.46 (2011/5), p. 353.
  12. 르네 그루세, 《유라시아 遊牧 帝國史》,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서울: 四季節, 1998), p. 489.
  13. 김호동, “前期 모굴汗國의 繼承紛爭을 通해 본 遊牧的 部族政治의 特徵,” 《東洋史學硏究》 33(1990), p.69.
  14.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hagatai_Khans "
  15. 르네 그루세, 《유라시아 遊牧 帝國史》,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서울: 四季節, 1998), p. 688.
  16. 르네 그루세, 《유라시아 遊牧 帝國史》,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서울: 四季節, 1998), p. 689.
  17. 르네 그루세, 《유라시아 遊牧 帝國史》, 김호동, 유원수, 정재훈 옮김(서울: 四季節, 1998), p. 690.
  18. 김호동, “17世紀 東투르크어 勅令의 體制와 內容,” 《中央아시아의 歷史와 文化》(서울: 솔출판사, 2007), p.214.
  19. 김호동, “17世紀 東투르크어 勅令의 體制와 內容,” 《中央아시아의 歷史와 文化》(서울: 솔출판사, 2007), p.216.
  20. 김호동, “17世紀 東투르크어 勅令의 體制와 內容,” 《中央아시아의 歷史와 文化》(서울: 솔출판사, 2007), p.217.
  21. 김호동, “17世紀 東투르크어 勅令의 體制와 內容,” 《中央아시아의 歷史와 文化》(서울: 솔출판사, 2007), pp.217-18.
  22. 김호동, “17世紀 東투르크어 勅令의 體制와 內容,” 《中央아시아의 歷史와 文化》(서울: 솔출판사, 2007), pp.218.
  23. 고마츠 히사오 外, 《中央 유라시아의 歷史》, 이평래 옮김(서울: 소나무, 2005)의 附錄에 있는 ‘王朝系譜度’를 參考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