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逸의 체코슬로바키아 占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프라하성 에 入城한 아돌프 히틀러 (1939年 撮影)
第2次 世界 大戰 으로 가는 길
베르사유 條約 1919年
생제르맹 條約 1919年
蘇聯-폴란드 戰爭 1919-1920年
폴란드-리투아니아 戰爭 1919-1920年
트리아농 條約 1920年
라팔로 條約 1920年
프랑스-폴란드 同盟 1921年
로마 進軍 1922年
코르푸섬 事件 1923年
루르 占領 1923-1925年
나의 鬪爭 1925年
第2次 이탈리아-社누시 戰爭 1923-1932年
도스 플랜 1924年
로카르노 條約 1925年
영 플랜 1929年
大恐慌 1929年
滿洲 事變 1931年
滿洲國 臺分亂廛 1931-1942年
第1次 상하이 事變 1932年
제네바 會談 1932-1934年
第1次 허베이省 戰爭 1933年
러허 事變 1933年
아돌프 히틀러의 權力 掌握 1933年
湯口 協定 1933年
이탈리아-蘇聯 協定 1933年
內몽골 作戰 1933-1936年
獨逸-폴란드 不可侵 條約 1934年
프랑스-蘇聯 相互援助條約 1935年
蘇聯-체코슬로바키아 相互援助條約 1935年
虛메이 協定 1935年
英獨 海軍協定 1935年
12月 9日 運動 1935年
第2次 이탈리아-에티오피아 戰爭 1935-1936年
라인란트 晋州 1936年
팔레스타인 아랍 蜂起 1936-1939年
스페인 內戰 1936-1939年
毒이 協定 1936年
防空 協定 1936年
쑤이위안 作戰 1936年
시안 事件 1936年
루거우차오 事件 1937年
中日 戰爭 1937-1945年
USS 파나이 事件 1937年
안슐루스 1938年 3月
1938年 폴란드의 리투아니아 最後通牒 1938年 3月
5月 危機 1938年 5月
하산호 戰鬪 1938年 7-8月
블레트 協定 1938年 8月
非宣戰布告 獨逸-체코슬로바키아 戰爭 1938年 9月
뮌헨 協定 1938年 9月
第1次 빈 仲裁 1938年 11月
獨逸의 체코슬로바키아 占領 1939年 3月
헝가리의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侵攻 1939年 3月
1939年 獨逸의 리투아니아 最後通牒 1939年 3月
슬로바키아-헝가리 戰爭 1939年 3月
스페인 內戰의 最後 攻勢 1939年 3-4月
단치히 危機 1939年 3-8月
英國-폴란드 軍事 同盟 1939年 3月
이탈리아의 알바니아 侵攻 1939年 4月
蘇聯-프랑스-英國 協商 1939年 4-8月
鋼鐵 條約 1939年 5月
할힌골 戰鬪 1939年 5月
獨逸-蘇聯 不可侵 條約 1939年 8月
獨逸의 폴란드 侵攻 1939年 9月
蘇聯의 폴란드 侵攻 1939年 9月

獨逸의 체코슬로바키아 占領 第2次 世界 大戰 이 일어나기 以前인 1938年 부터 1939年 까지 나치 獨逸 체코슬로바키아 를 占領한 事件을 가리킨다. [1]

히틀러의 要求 [ 編輯 ]

1938年 3月 나치 獨逸 오스트리아 倂合 했다. 나치 獨逸은 獨逸人 多數가 居住하고 있던 체코슬로바키아 의 領土인 주데텐란트 倂合을 노리고 있었다. 주데텐란트의 政治人인 콘라트 헨라인 이 이끄는 친(親)독일계 政黨人 주데텐 獨逸人當 은 獨逸人이 체코슬로바키아 領土에서 自治權을 行使해야 한다고 主張했지만 나치 獨逸의 아돌프 히틀러 는 체코슬로바키아의 少數 民族인 獨逸人은 故國인 獨逸에 統合되어야 한다고 主張했다. [2]

체코슬로바키아는 프랑스 政府에 政治的, 軍事的 도움을 要請하여 프랑스와 同盟 關係를 樹立했다. 프랑스의 에두아르 달라디에 政府는 戰爭에 對해 軍事的으로, 政治的으로 準備가 되지 않은 狀態였다. 프랑스 政府는 戰爭에 參與하지 않고 危機를 解決하려 하였다. 또한 체코슬로바키아는 蘇聯 이오시프 스탈린 에게 蘇聯이 체코슬로바키아의 防禦에 協力해 줄 것을 要求했다. 1935年 프랑스와 蘇聯은 나치 獨逸의 軍事的 威脅에 共同으로 對應한다는 內容의 條約을 締結했다. [2]

뮌헨 協定 [ 編輯 ]

유럽 列强들은 戰爭을 願하지 않았다. 列强은 獨逸의 軍事 能力을 過大 評價하고 있었다. 英國과 프랑스軍이 獨逸 國防軍 보다 優勢했지만 大規模의 再武裝을 하고 있는 獨逸보다 뒤떨어진다고 생각하였다. 한便 히틀러는 獨逸軍의 힘을 誇張하여 유럽 列强과 戰爭을 했을 때 쉽게 勝利할 수 있다고 宣傳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 는 戰爭을 避하자고 說得하였다. 무솔리니와 이탈리아는 戰爭에 對備되지 않았고 獨逸의 急成長에 對해 憂慮하였다. 獨逸 軍部도 獨逸軍의 實相을 알고 있었고 戰爭을 避하기 위해 모든 手段을 利用했다. [3]

英國의 總理인 네빌 체임벌린 은 1938年 9月 15日부터 9月 16日까지 베르히테스가덴 에서 히틀러를 만나 히틀러의 讓步를 要求했다. 히틀러가 追加的 論議 없이는 軍事的 行動을 取하지 않기로 하는 한便 英國은 內閣과 프랑스에 주데텐란트 住民들의 住民投票 結果를 認定하도록 說得하기로 했다.

1938年 9月 22日 프랑스의 總理 에두아르 달라디에와 外務長官 조르주 보네(Georges Bonnet)는 런던에서 英國 外交官과 만나 주데텐란트의 人口 50% 以上을 獨逸에 보내는 것을 受容하기로 하는 合同 聲明을 냈다. 체코슬로바키아 政府는 이 提案을 拒否했지만 9月 21日에 마지못해 受容하기로 했다. 이 提案은 히틀러의 性에 차지 않았고 9月 22日 고데스베르크(Godesberg)에서 히틀러를 만났을 때 히틀러는 주데텐란트는 獨逸에 合倂되어야 하고 체코슬로바키아는 9月 28日까지 주데텐란트에서 軍隊를 撤收해야 한다고 主張했다. 체임벌린은 체코슬로바키아에 새로운 提案을 했지만 英國 內閣, 프랑스 政府, 체코슬로바키아 政府는 체임벌린의 提案을 拒否했다. [4]

1938年 9月 23日 새 체코슬로바키아 政府의 얀 時로비 는 總動員令을 내렸고 1百萬 名 以上에 達하는 完全히 武裝된 軍人들이 獨逸의 攻擊에 對備하였다. 9月 24日 프랑스는 第1次 世界 大戰 以後 처음으로 部分的 動員令을 내렸다. 戰爭을 避하기 위한 마지막 試圖로 체임벌린은 4强 會議 開催를 提案했다. 戰爭을 避하려는 체임벌린의 생각에 따라 히틀러, 체임벌린, 달라디에와 무솔리니는 뮌헨에서 會談을 가졌다.

協商은 1938年 9月 29日에 接點에 다다랐다. 아돌프 히틀러와 네빌 체임벌린, 베니토 무솔리니와 에두아르 달라디에는 뮌헨 協定에 署名하였다. 이 協定은 고데스베르크에서의 提案과 거의 같은 內容이었다. 獨逸軍은 1938年 10月 10日까지 주데텐란트의 占領을 完了할 豫定이었다. 國際 機構는 다른 紛爭 地域의 未來를 決定하기로 하였다. [5]

第1次 빈 仲裁와 체코슬로바키아의 崩壞 [ 編輯 ]

1938年 9月 29日 에 締結된 뮌헨 協定에 따라 나치 獨逸이 체코슬로바키아 의 주데텐란트를 合倂했다. 이 過程에서 슬로바키아 자카르파탸 는 체코슬로바키아의 自治 地域임을 宣言했다. 자카르파탸는 1938年 11月에 이름을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로 바꾸었다. 1938年 11月 2日 에 있었던 第1次 빈 仲裁 에 따라 나치 獨逸과 이탈리아 王國 체코슬로바키아 의 남 슬로바키아 와 남 자카르파탸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現在는 우크라이나 의 領土)를 헝가리 에게 讓渡했다.

이에 1938年 11月에 슬로바키아에 있는 체코와 슬로바키아의 모든 政黨(共産主義者를 빼고)이 自發的으로 軍隊를 組織하여 "흘린카의 슬로바키아 人民黨 - 슬로바키아 國民統合黨"을 結成하였는데 이 組織은 나중에 슬로바키아의 權威主義 政權이 들어서는 基盤을 마련하였다. 1939年 1月에 슬로바키아 政府는 슬로바키아 國民統合黨, '獨逸當'(Deutsche Partei, 슬로바키아 내 獨逸人 正當), '統合 헝가리當'(슬로바키아 內 헝가리人 正當) 外에 모든 政黨 活動을 公式的으로 禁止하였다. [6]

1939年 2月부터 나치 獨逸 使節들(이들은 체코의 一部 地域을 占領할 計劃이었고 基本的으로 슬로바키아에는 關心이 없었음)이 公式的으로 슬로바키아의 政治人들을 說得하여 슬로바키아의 獨立을 宣言하도록 하였다. 1939年 3月 9日에 체코 軍隊가 슬로바키아를 占領하면서 티소는 總理職을 잃었다.

1939年 3月 13日 히틀러는 忍耐心을 잃고 티소를 베를린으로 (前 總理로서) 招待하여 그가 卽時 獨逸의 '保護'下에 슬로바키아의 獨立을 宣言하도록 强要하였으며 그렇지 않으면 獨逸이 헝가리로 하여금 (一部는 폴란드 가) 슬로바키아의 나머지 領土를 倂合하도록 두겠다고 말했다. 이런 狀況에서 티소는 체코슬로바키아의 大統領 에밀 하하 와 슬로바키아의 總理 카롤 試圖르 에게 電話를 걸었으며 이들은 다음날 슬로바키아 議會를 召集하고 그렇게 決定하는 데 同意하였다.

1939年 3月 14日 슬로바키아 自治 政府의 首班이었던 요제프 티소 가 슬로바키아의 獨立을 宣言했으며 나치 獨逸은 슬로바키아의 獨立을 承認했다. 1939年 3月 14日에는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가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 共和國의 獨立을 宣言했지만 1939年 3月 16日 에 헝가리가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를 侵攻하고 合倂시키면서 카르파티아 우크라이나는 消滅되었다. [7]

1939年 3月 15日 에밀 하하가 체코슬로바키아를 나치 獨逸의 保護國으로 規定하는 文書에 署名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는 消滅되었다. 이 文書에는 事實上 나치 獨逸이 체코슬로바키아를 倂合하는 內容이 담겨 있었다. 1939年 3月 15日에 獨逸軍이 보헤미아 , 모라바 에 軍隊를 進駐하면서 보헤미아 모라바 保護領 이 樹立되었다. 1939年 3月 16日에는 獨逸軍이 슬로바키아에 進駐하면서 슬로바키아 共和國 이 樹立되었다. [8] [9]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Volker Ullrich . 《 Hitler: Volume I: Ascent 1889?1939 》. 752?753쪽.  
  2. Overy 1999 , 200쪽.
  3. Miller 2005 , 269쪽.
  4. Lukes, Igor (1996年 5月 23日). 《Czechoslovakia between Stalin and Hitler: The Diplomacy of Edvard Bene? in the 1930s》 . ISBN   978-0-19-976205-7 .  
  5. Third Axis Fourth Ally by Mark Axworthy, page 13
  6. Forced displacement of Czech population under Germans in 1938 and 1943 , Radio Prague
  7. Text of the agreement in League of Nations , vol. 196, pp. 288?301.
  8. Rothwell 2001 , 98쪽.
  9. Overy 1999 , 199쪽.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