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도쿠가와 이에老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도쿠가와 이에老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도쿠가와 이에老父
?川 家宣
세 잎 족두리풀
세 잎 족두리풀
第6代 에도 幕府 程頥大將軍
在任 1709年 ~ 1712年
前任 도쿠가와 쓰나요시
後任 도쿠가와 이에츠區
無事 情報
出生 1662年 6月 11日
死亡 1712年 11月 12日
誡命 文昭院殿贈正一位大相?公
文昭院殿順蓮社?譽廓然大居士
가이 고후 番 ( 1678年 ~ 1704年 )
氏族 도쿠가와氏 ( 고후 도쿠가와 가 , 도쿠가와 將軍가 )
父母 아버지: 도쿠가와 쓰나시게 , 어머니: 兆쇼인
養父: 신미 마사노부 , 도쿠가와 쓰나요시
兄弟姊妹 동생: 마쓰다이라 기요打케
配偶者 情實: 고노에 히로코
子女 이에쓰구 , 도라키치

도쿠가와 이에老父 ( 日本語 : ?川家宣 , 1662年 6月 11日 - 1712年 11月 12日 )는 日本 에도 幕府 第6代 쇼군(在位 1709年 - 1712年 )이다. 3代 쇼軍人 도쿠가와 이에미쓰 의 孫子이자 5代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 의 조카로, 1709年 쓰나요시가 後嗣 없이 世上을 떠나자 쇼軍職을 이었다. 兒名은 도라마쓰 (虎松), 初名은 쓰나토요 (綱豊)이다.

生涯 [ 編輯 ]

1662年 6月 11日 ( 間分 (?文)2年 4月 25日 ) 에도 네즈(根津)의 邸宅에서 出生하였다. 父親은 고후(甲府) 番의 번주이자 宰相인 도쿠가와 쓰나시게 이며, 母親은 兆쇼인 이다. 長男이었으나 當時 19歲였던 쓰나시게가 正式으로 婚姻하기 前 下女 身分인 26歲의 兆쇼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庶子였던 탓에 가신 신미 마사노부 에게 맡겨져 辛未 社콘 (新見左近)이라는 이름을 받고 그의 養子로 成長하였다. 生母 兆쇼인은 1664年 死亡하였다.

父親 쓰나시게에게 男子 後繼者가 태어나지 않자 9歲 때 正式으로 認定을 받고 1676年 冠禮를 치른 뒤 伯父이자 4代 쇼軍人 도쿠가와 이에쓰나 로부터 便휘(偏諱)를 下賜받아 쓰나토요(綱豊)가 되었다. 1678年 쓰나시게가 死亡하자 17歲의 나이로 25萬 席 번주의 자리를 繼承한 뒤 祖母인 準쇼인 의 보살핌을 받았다.

1680年 쇼군 이에쓰나 가 後繼者 없이 重態에 빠지자 이에쓰나의 동생 고즈케 다테바야시번 도쿠가와 쓰나요시 와 함께 强力한 쇼군 候補者가 되었다. 그러나 重臣 홋타 마사토시 가 3代 쇼군 이에미쓰의 핏줄에 더 가까운 쓰나요시를 强力하게 推薦하면서 쇼군 자리에서 탈락하고 쓰나요시가 5代 쇼군으로 就任하였다. 以後 쓰나요시마저 男子 後繼者가 없자 쓰나요시의 사위인 도쿠가와 쓰나노리 와 다시 後繼者 競爭을 벌였으나 쓰나노리가 夭折하면서 1704年 쓰나요시의 正式 相續人으로 認定받고 이에老父(家宣)로 改名한 뒤 에도城 니시老마루(西の丸)에 居處하였다.

1709年 쓰나요시가 死亡하자 48歲의 나이에 6代 쇼군으로 就任하였다. 就任하자마자 先代의 惡名 높은 殺生禁止令 을 廢止하여 百姓들로부터 많은 人氣와 期待를 얻었다. 또한 쓰나요시의 銃身(寵臣)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를 免職한 뒤 고후 時節의 家臣들人 마나베 아키後嗣 , 아라이 하쿠세키 [1] 等을 登用하여 文治(文治) 政治를 한層 强化하였다. 惡化되는 바쿠후의 財政을 念慮하여 財政 改革을 推進했으나 在位 3年 만인 1712年 11月 12日 51歲의 나이로 死亡하였다.

墓所는 도쿄 미나토구 (港?)의 조조지(?上寺)에 있다.

容貌 [ 編輯 ]

血液型은 O型 이고 遺骨 調査를 해서 나온 伸張은 當時의 日本人은 平均키보다 若干 높은 160cm이다. [2]

子女 [ 編輯 ]

  • 情實 덴에이인 (天英院) : 고노에 히로코(近衛熙子)
    • 長女 도요히메(豊?)
    • 長男 무게쓰인(夢月院)
  • 側室 好新人(法心院) : 오코무盧哥打(お古牟の方)
    • 次男 이에치요(家千代)
  • 側室 겟코인 (月光院) : 오키요노伽陀(お喜世の方)
  • 側室 렌조人(蓮?院) : 오스메盧哥打(お須免の方)
    • 三南 다이고로(大五?)
    • 5男 道理키치(虎吉)
  • 側室 魂코인(本光院) : ?宮
그 外

各州 [ 編輯 ]

  1. 조토쿠의 치 (正?の治)라 불리는 改革을 主導했던 아라이 하쿠세키는 많은 經費가 들어가는 通信社 待接을 簡略化하고자 했고, 「大君」李 朝鮮에서는 國王의 赤字(嫡子)를 意味하는 稱號로 朝鮮 國王과의 均衡을 맞춰야 한다며 「일본국大軍」이 아닌 「日本國王」으로 바꿀 것을 提議하였다.
  2. 現在까지 알려진 바로는 歷代 에도 幕府 쇼군 中 가장 키가 크다.

같이 보기 [ 編輯 ]

前任
도쿠가와 쓰나시게
第2代 고후 도쿠가와 가 堂主
1678年 ~ 1704年
後任
도쿠가와 宗家 相續
前任
도쿠가와 쓰나시게
第2代 고후 番 번주 (고후 도쿠가와 家門)
1678年 ~ 1704年
後任
야나기사와 요시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