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內 1世代 造景가 정영선의 ‘땅에 쓰는 詩’[김선미의 시크릿가든]|東亞日報

國內 1世代 造景가 정영선의 ‘땅에 쓰는 詩’[김선미의 시크릿가든]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8月 31日 10時 00分


코멘트
國內 1世代 造景가 정영선 氏의 삶은 곧 大韓民國 50年 造景 歷史다. 그는 “우리 國土를 사랑의 마음으로 보면 하나님이 만드신 하나의 커다란 庭園”이라고 말한다. 정다운 監督 提供
그는 大韓民國 땅에 詩를 쓴다. 高速 成長을 위해 달려온 都市 風景에 느릿한 휘파람 같은 自然의 風光과 소리를 담는다. 半世紀 넘게 歷史的 場所들의 造景을 맡아온 정영선 造景設計 西安 代表(82). 서울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올림픽公園, 仙遊島公園, 汝矣島샛江生態公園, 서울植物園, 아모레퍼시픽 龍山 新社屋, 크리스찬 디올 聖水 콘셉트 스토어, 京畿 龍仁市 호암미술관 希願, 남양주시 茶山生態公園…. 정영선 造景價의 軌跡은 곧 大韓民國 造景의 歷史다.

國內 조경학系와 業界의 巨木이지만 大衆에게는 生疏할 수 있는 정영선 造景哥의 삶을 眺望한 다큐멘터리 映畫가 最近 선보였다. 第20回 EBS 國際다큐映畫祭의 開幕作으로 選定된 ‘땅에 쓰는 詩’(監督 정다운)다. 來年 봄 開封 豫定인 이 映畫는 映畫祭 期間인 26日 서울 光化門 시네큐브에서 上映됐다. 정영선 造景가는 “造景은 꽃과 나무를 심는 次元이 아니다. 남길 것은 잘 남기고 그 위에 새로운 그림을 그려 韓國的 景觀을 아름답게 만드는 作業”이라고 한다.

●80代에도 現役인 ‘할머니’ 造景가
大韓民國의 造景 歷史는 1972年을 出發點으로 잡는다. 朴正熙 大統領은 1972年 經濟首席祕書室에 造景·建設 擔當 祕書官職을 新設하고 한양대 建築學科 出身의 재미(在美) 造景가 오휘영 氏를 그 자리에 임명했다. 第3共和國의 經濟開發政策으로 京釜高速道路를 建設하면서 毁損된 國土를 整備하기 위해서였다.

오 祕書官은 造景專門人 育成이 時急하다고 봤다. 그의 建議에 따라 서울대와 嶺南大, 서울대 環境大學院이 제1회 造景學科 新入生을 募集한 때가 1973年 3月이다. 정영선 造景가는 이렇게 設立된 서울대 環境大學院 造景學科의 第1號 卒業生(1975年)이자 1980年 韓國 1號 國土開發技術士를 獲得한 最初의 女性 技術士다. 1984年 아시안게임 記念公園과 아시아선수촌 아파트, 藝術의殿堂 懸賞設計 公募에서 當選되면서 그의 造景 人生이 本格的으로 始作됐다(환경조경발전재단, ‘韓國造景白書’).

정영선 造景가는 “우리의 景觀은 한 番 잘못 건드리면 되돌리는 데 너무 오랜 時間이 걸린다”며 “어느 나라에 比較해도 아름다운 景觀이 持續的으로 傳承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정다운 監督 提供
韓國의 造景이 强力한 政府 主導로 이뤄지다 보니 정영선 造景가는 한동안 나랏일을 했다. 그가 아시아선수촌 造景을 맡아 道路의 線形을 設計할 때에는 公務員들이 그의 事務室에 앉아 採根했다고 한다. “왜 設計圖面을 그리고 있나. 나무는 언제 심나”라고. 造景을 그저 나무 심는 일로 置簿하던 때였다. 그는 50餘 年 동안 이런 認識에 맞서면서 굵직한 公共·企業 프로젝트를 통해 大韓民國의 景觀을 만들어냈다.

이제는 企業도 造景의 重要性을 잘 아는 時代가 됐다. 정영선 造景가는 最近 몇 年 동안 아모레퍼시픽 龍山 本社 新社屋과 北村 雪花秀 플래그십 스토어, 크리스찬 디올 聖水 콘셉트 스토어의 造景도 맡았다. 디올 聖水 造景 때에는 프랑스 노르망디 地域에 있는 디올하우스의 薔薇 定員을 具現하면서 韓國의 自生 꽃들을 섞어 심었다. 프랑스 庭園 속 韓國 庭園이었다.

글로벌 MZ世代들의 발길이 줄잇는 크리스찬 디올 聖水. 정영선 造景가는 프랑스 薔薇와 韓國의 野生花를 섞어 심어 프랑스 庭園 속 韓國 庭園을 表現했다. 造景設計 西安 인스타그램
노르망디에서 幼年 時節을 보낸 디자이너 크리스찬 디오르에게 프랑스 薔薇가 각별했다면, 할아버지 果樹園에서 沙果꽃 흩날리는 모습을 보고 자란 정영선 造景家에게 韓國의 꽃은 곧 그의 正體性이리라. 조경진 서울대 環境大學院 敎授는 “정영선 先生님은 늘 새로운 길을 開拓해 왔다”며 “人文學的 省察로 우리 自然景觀을 잘 살리면서도 植物과 材料를 現代的으로 再構成하는 想像力이 놀랍다”고 한다.

後輩 造景家들로부터 ‘할머니’라는 愛稱으로 불리는 정영선 造景가는 80代의 나이에도 如前히 호미를 들고 全國을 누빈다. 山과 들을 다니며 自然을 有心히 觀察해 노트에 記錄한다. 땅에 핀 작은 풀에도 ‘잘 잤니?’라고 묻는다. 映畫 ‘땅에 쓰는 詩’를 만든 정다운 監督은 “정영선 先生님은 풀 한 포기, 꽃 한 송이에도 少女처럼 感歎하고 日常的 表現에도 詩的 感受性이 드러난다”며 “그런 點이 先生님을 如前한 現役으로 만들고 있는 祕訣 같다”고 했다.

●‘정영선 票’ 韓國의 代表 造景들


1. 汝矣島샛江生態公園
서울 한복판에서 野生의 自然을 온몸의 感覺으로 느낄 수 있는 汝矣島샛江生態公園. 김선미 記者
汝矣島샛江生態公園에 들어서면 서울 한복판에 이런 眞짜 自然이 있나 놀라게 된다. 그런데 1990年代 이 公園의 造景을 맡았던 정영선 造景價의 말을 들어보면 갖가지 逆境이 있었다.

“當時 漢江管理事業所 諮問委員을 맡았는데 公務員들이 처음 만들어놓은 開發안에는 駐車場과 運動場이 있었다. 漢江이라는 훌륭한 自然 資源을 人爲的으로 開發하는 게 抑鬱해 미칠 것 같았다. 그래서 公務員들 앞에서 金洙暎의 詩 ‘풀’을 읽었다.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東風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當時 우리나라는 洪水에 떠밀려갈 수 있다는 理由로 漢江 邊에 나무를 못 심게 했다. 정영선 造景가는 生態學者, 昆蟲學者, 藻類學者들을 불러 모아 샛江을 풀과 물고기가 사는 空間으로 만들기 爲해 머리를 맞댔다. 물氣를 촉촉하게 머금는 예쁜 버드나무를 꼭 살려내야겠다는 마음이었다고 한다.

自然 本然의 모습을 간직한 汝矣島샛江生態公園. 김선미 記者
公園을 만들 때 隣近 汝矣島 아파트 住民들은 빵을 사다 주면서 “感謝하다”고 했지만, 公務員들은 삿대질부터 했다. “公園으로서 갖춰야 할 化粧室도, 管理 事務室도, 駐車場도 안 갖춰놓고 풀만 심느냐”고. 힘겨운 過程을 克服하고 1997年 태어난 汝矣島生態公園에는 滅種危機種인 수리부엉이, 天然記念物인 黃조롱이와 水獺이 돌아왔다.

2. 仙遊島公園
映畫 ‘땅에 쓰는 詩’의 포스터는 정영선 造景價의 代表作인 仙遊島公園을 背景으로 했다. 정다운 監督 提供
仙遊島公園은 정영선 造景價의 名實相符한 代表作이다. 漢江의 섬 仙遊島의 옛 淨水場 施設을 活用한 國內 最初의 再活用 生態公園으로 2002年 門을 열었다. 廢墟의 痕跡 위에 더해진 새로운 綠色의 生命力을 接하면 저절로 時間의 意味를 思索하게 된다.

“仙遊島公園은 産業構造物을 美的 오브제로만 消耗하는 消極的 態度를 넘어 公園 全體의 空間 構造를 直照하는 데 活用했다. 날것으로 드러낸 淨水場 廢墟의 부스러진 外皮를 野生植物로 뒤덮어 거친 風景을 演出했다. 淨水場을 活用한 서울숲(2005年 開場)과 서서울湖水公園(2009年 開場), 鐵道 弊船을 活用한 京義線숲길(2012年 開場) 等에 큰 影響을 줬다.” (이명준 國立한경대 造景學科 敎授)

謙齋 鄭敾이 漢江의 風景을 그렸던 風流를 느껴볼 수 있는 仙遊島 속 선유정. 김선미 記者
정영선 造景價의 造景 哲學 中 하나는 “造景가는 連結絲”라는 것이다. 그는 仙遊島公園에 처음 가 봤을 때 仙遊島의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울고 싶을 程度였다고 했다.

“謙齋 鄭敾이 漢江의 風景을 그리던 곳 아닌가. 팔당부터 麻布까지 죽 이어지는 風景을 살려야겠다고 생각했다. 用途 廢棄된 淨水施設을 부숴버리면 그 時節의 記憶이 사라지기 때문에 옛것과 새것을 連結했다. 元來 있던 東쪽 기둥에 나무를 심으니 綠色 기둥 庭園이 됐다. 公園도 여러 形態가 必要하다. 仙遊島公園은 마음이 쓸쓸한 사람들이 와서 쉬었으면 했다. 한 女性이 삶을 끝내려고 갔다가 살아야겠다고 마음먹고 돌아왔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感謝했다.”

3. 서울峨山病院 神官
정영선 造景가는 男便이 10年間 病床에 누워있어 힘든 時間을 보냈다. 이 무렵 현대그룹으로부터 서울峨山病院 造景 프로젝트를 依賴받았다.

“患者도 保護者도 가슴이 뻥 뚫리게 숨 쉴 수 있는 곳, 비록 病床에 있어도 窓 너머로 季節의 感覺을 느낄 수 있는 곳, 患者 앞에서 슬픈 내色을 할 수 없는 家族들이 나와서 펑펑 울 수 있는 곳. 病院의 庭園은 그런 따뜻한 慰勞의 庭園이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病院의 地下駐車場 上部에 巨大한 人工 숲을 造成했다. 旺盛한 生命力을 가진 植物들을 密度 높게 심었다. 봄에 植物이 싹 틔우는 모습을 보면서 患者들이 回復의 意志를 다졌으면 하는 마음에서였다.

4. 호암미술관 希願
韓國의 梅花, 牡丹 等이 石造 美術品들과 어우러지는 호암미술관 希願. 造景設計 西安 인스타그램.
京畿 龍仁市 호암미술관은 美術館만큼 附屬 定員이 사랑받는다. 韓國 傳統 庭園의 이름은 ‘希願’. 정영선 造景가는 이 庭園을 통해 담백하면서도 아름다운 韓國의 景觀을 傳한다. 多樣한 石造 美術品들이 곳곳에 있어 ‘오픈 뮤지엄’으로서의 機能도 한다.

1年 半 동안의 리노베이션을 거쳐 再開館한 호암미술관에서는 現在 金煥基 畫伯의 回顧展이 열리고 있다. 亭子 옆 希願의 蓮못에는 프랑스의 有名 美術家 章 미셸 오토니엘의 琉璃구슬 作品 ‘黃金 蓮꽃’이 設置돼 있다. 韓國의 亭子와 꽃과 돌인데, 그 어떤 西歐의 藝術品도 이 韓國式 庭園과 어우러지는 魔法이 實現된다.

프랑스 美術家 章 미셸 오토니엘의 ‘黃金 蓮꽃’ 作品이 設置된 호암미술관 希願. 김선미 記者


●“우리 땅을 尊重하고 보살피는 게 庭園的 삶의 態度”
정영선 造景가 그 自身의 庭園은 京畿 楊平에 있다. 高速道路邊이나 農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野生의 풀과 꽃이 심겨 있다.

“할아버지는 시골에서 작은 果樹園을 했다. 아버지는 大邱의 基督敎 系統學校 敎師였는데, 外國 宣敎師들이 늘 學校 庭園에 꽃과 나무를 심었다. 그래서 土俗的인 시골 庭園과 西洋式 定員을 어려서부터 두루 接했다. 나의 庭園은 素朴하되 陋醜하지 않고 華麗하되 사치스럽지 않았으면 한다.”

京畿 楊平에 있는 정영선 造景價의 庭園. 우리 國土에서 平凡하게 볼 수 있는 풀과 꽃을 심었다. 정다운 監督 提供
정영선 造景가는 왜 造景을 ‘땅에 쓰는 詩’라고 할까. 그는 2021年 成宗上 서울대 環境大學院 環境造景學科 敎授와 ‘우리 時代 韓國人의 삶과 庭園’이라는 主題로 對談을 가진 적이 있다(한국조경학회, ‘韓國 造景의 새로운 地平’). 그中에는 이런 대목들이 있다.

“저는 定員이라는 것을 人間이 人間답게 살면서 暫時 빌려 쓰는 땅에 對한 ‘獻辭’라고 생각합니다. 庭園, 아니 우리 삶의 基本的인 ‘터’로서의 垈地(흙)는 尊重하고 보살펴야 하는 곳이기에 그 보살핌 自體가 곧 定員的 삶의 態度가 아닐까요.”

“땅을 잘 읽고 그에 맞게 植物과 다른 庭園 要素, 그리고 動線과 空間을 適切히 잘 構成하는 것이 庭園 만들기의 核心이라 할 수 있지요. 氣候가 變하며 地球는 呻吟했고, 異常 徵候는 加速化하고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時代’는 달라지는, 달라져야만 하는 삶의 姿勢를 말합니다. 庭園은 그런 姿勢와 삶을 위한 아름다운 必須 核心 舞臺입니다.”

“造景은 땅에 쓰는 한 篇의 詩가 될 수 있고, 깊은 울림을 줄 수 있습니다. 하늘의 무지개를 바라보면 가슴이 뛰듯, 우리가 섬세히 손질하고 쓰다듬고 가꾸는 庭園들이 모든 이들에게 靈感의 源泉이 되고 治癒와 回復의 瞬間이 되길 바랍니다.”

정영선 造景價의 손길이 닿은 京畿 남양주시 茶山生態公園. 그는 半世紀 동안 韓國 社會에 生態 景觀의 重要性을 强調했다. 정다운 監督 提供
大韓民國 造景 半世紀. 如前히 現場에서 答을 찾는 現役의 80代 ‘할머니 造景가’는 꿈이 있다. 未來 世代에게 제대로 된 韓國的 景觀을 물려주는 것이다. 只今껏 그를 키운 八 割은 ‘우리 땅과 우리 풀이 傳하는 自然의 위로’가 아니었을까. 氣候 危機와 디지털 轉換이 加速化하는 요즘, 그 慰勞를 다음 世代에게 傳할 使命感이 묵직하게 느껴진다.


김선미 記者 kimsunm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