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는 都大體 어디에서 始作된 것일까[김기용 記者의 優雅한]|동아일보

코로나19는 都大體 어디에서 始作된 것일까[김기용 記者의 優雅한]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8月 15日 15時 17分


코멘트
韓國에서 일어난 일이지만 韓國보다는 오히려 中國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關心을 갖는 消息이 하나 있습니다. 이달 初 韓國의 한 消防安全 關聯 協會가 駐韓 美軍 및 美國에서 바이러스 等을 硏究하는 美軍 基地 ‘포트 데트릭(Fort Detrick)’을 相對로 釜山地方法院에 訴訟을 提起했다는 것입니다. 이 協會는 駐韓 美軍이 2017~2019年 韓國法을 無視하고 毒性物質을 韓國에 搬入했다고 主張하고 있습니다.

韓國에서는 작은 團體들이 注目을 받기 위해 主要 이슈를 따라가며 訴訟을 提起하는 境遇들이 種種 있습니다. 또 訴訟 自體가 워낙 많기 때문에 이런 뉴스들이 注目을 받지 못합니다. 하지만 中國에서는 다릅니다. 中國에서는 團體들이 訴訟을 提起하는 境遇도 드물뿐더러 特히 政府나 公共機關 等을 相對로 싸운다는 것은 거의 不可能합니다. 軍을 相對로 訴訟한다는 것은 더욱 그렇습니다. 이런 中國人들의 눈에 美軍을 相對로 訴訟을 提起했고, 所長에 폴 러캐머라 韓美聯合司令官 兼 주한민軍司令官 이름을 摘示했다는 것이 相當히 큰 뉴스로 받아들여진 것 같습니다. 特히 中國人들의 큰 關心을 끌었던 것은 美軍 基地 ‘포트 데트릭’이라는 이름이 訴訟에 登場했다는 事實입니다.

미국의 군사기지 포트 데트릭. 바이두 캡쳐
美國의 軍事基地 포트 데트릭. 바이두 캡쳐


●中國人 2500萬 名, ‘포트 데트릭’ 調査 要求에 署名
포트 데트릭은 美國의 生物學 武器 硏究, 生産으로 有名한 軍事基地입니다. 一般人들에게 多少 生疏할 수도 있는 이 軍事基地가 中國에서는 이미 가장 有名한 이름이 됐습니다. 많은 中國人들은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이곳에서 만들어졌다고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美軍基地 포트 데트릭 內 美國 陸軍傳染病醫學硏究所(USAMRID)에서 만들어졌고 流出됐다는 이 主張은 지난해부터 中國 政府 關係者들과 官營 媒體가 反復的으로 提起해오고 있습니다.

最近 中國 政府는 外交使節과 宣傳機構 等을 總動員해 世界保健機構(WHO)가 美軍 實驗室을 調査해야 한다고 促求하는 等 이 主張을 한層 더 세게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중국중앙(CC)TV는 8月 1日 ‘포트 데트릭의 어두운 內幕’이라는 題目으로 30分짜리 放送을 내보내기도 했습니다. 以後 웨이보(中國版 트위터)에 關聯 해시태그가 主要 이슈 上段에 오르고 動映像 照會數가 4億 2000萬을 記錄하는 等 中國 누리꾼들의 높은 關心을 받았습니다.

이 뿐만이 아니라 中國 官營 媒體 글로벌타임스가 進行한 ‘WHO의 포트 데트릭 實驗室 調査’를 要求하는 署名 運動에는 約 2500萬 名이 署名했습니다. 韓國으로 따지면 全體 人口 가운데 折半이 署名에 參與한 셈입니다.

올해 2월 중국 우한 등을 조사한 WHO 조사단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당시 조사단은 “중국 실험실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출됐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바이두 캡쳐
올해 2月 中國 牛漢 等을 調査한 WHO 調査團이 結果를 發表하고 있다. 當時 調査團은 “中國 實驗室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流出됐을 可能性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바이두 캡쳐
中國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前 美國 大統領이 코로나19를 ‘中國 바이러스’라고 불렀던 것을 비꼬아 ‘美國 바이러스’라고 명명하는 趨勢가 늘고 있습니다. 中國 保健當局 高位關係者들은 WHO가 2月 牛漢 等을 現地 調査한 後 3月 發表한 報告書에서 “코로나19街 中國 實驗室에서 流出됐을 可能性은 極히 낮다”고 밝힌 點을 引用하며 “美國 等 西方 國家들이 中國을 코로나19 바이러스 起源이라고 몰아세우는 것은 常識과 科學을 無視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습니다.

中國 政府 亦是 코로나19의 ‘우한 實驗室 流出說’에 對해 斷乎히 反駁하며 美國이 코로나19 起源 問題를 政治化한다고 批判하고 있습니다. 同時에 ‘美軍 實驗室 流出說’을 主張하며 攻勢에 나서고 있습니다. 자오리젠(趙立堅) 中國 外交部 代辯人은 이미 몇 次例 WHO에 포트 데트릭에 있는 實驗室 調査를 促求했습니다. 또 2019年 美軍들이 우한에서 열린 世界軍人體育大會에 參加하면서 中國에 바이러스를 들여왔을 可能性을 提起하기도 했습니다.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열린 세계군인체육대회에서 미군 선수단이 입장하는 모습. 중국중앙(CC)TV 화면 캡쳐
2019年 中國 우한에서 열린 世界軍人體育大會에서 美軍 選手團이 入場하는 모습. 중국중앙(CC)TV 畵面 캡쳐


●西方 國家들 ‘中우한 實驗室 流出’ 굳게 믿어
美國을 비롯한 西方 國家들은 中國 우한에 있는 바이러스 實驗室에서 코로나19街 始作됐을 可能性이 높다는 것을 굳게 믿고 있습니다. 올해 初 WHO의 發表가 있긴 했지만 報告書에 疑問을 품으며 中國이 完全한 元本 데이터를 주고 있지 않다고 主張하고 있습니다. 5月 조 바이든 美國 大統領은 WHO의 調査와 關係없이 美國 情報當局에 코로나19 起源을 追加 調査해 90日 以內 報告할 것을 指示하기도 했습니다.

또 WHO의 調査팀과 함께 우한을 訪問한 덴마크 科學者 피터 벤 엠바렉은 WHO의 公式 發表와 달리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우한 硏究所에서 流出됐을 可能性이 높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는 덴마크 國營 TV2와 인터뷰에서 當時 調査팀이 우한 疾病統制豫防센터(우한CDC) 硏究施設에서 더 많은 情報를 찾아봤어야 한다고 主張했습니다. 또 우한 硏究所가 移轉한 時點과 바이러스 流出 時期가 겹치는 點이 實驗室 流出說의 根據라고 指摘하기도 했습니다. 硏究室을 移轉하는 過程에서 바이러스가 새 나왔을 可能性이 높다는 것이다.

올해 2월 WHO 조사단의 중국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방문 과정에서 중국 정부 관계자들이 주변을 통제하고 있다. 바이두 캡쳐
올해 2月 WHO 調査團의 中國 우한 바이러스 硏究所 訪問 過程에서 中國 政府 關係者들이 周邊을 統制하고 있다. 바이두 캡쳐

●科學的, 客觀的 觀點 必要
이쯤 되면 美國이나 中國의 主張은 相對를 攻擊하기 위한 政治的 道具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核心的인 證據나 端緖도 없이 서로 相對方 實驗室에서 바이러스가 流出됐다고 主張하는 모습입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起源은 美國과 中國 間 葛藤은 勿論이고 바이러스 學者들 사이에서도 甲論乙駁을 부르고 있습니다. 또 美 情報當局 內에서도 實驗室 流出이냐, 아니면 박쥐 等 自然 狀態에서 人間에게 傳染된 것이냐를 두고도 意見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많은 科學者들은 自然發生說에 무게를 싣고 있어 보이지만, 美中 霸權 다툼 渦中에 科學的 證據와 客觀的 視角은 힘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全 世界를 混亂에 빠트리고 人類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大事件 앞에 美國과 中國은 서로를 非難하며 相對方 欠집 내기에 餘念 없습니다. 科學的이고 客觀的이어야 할 WHO와 같은 國際機構도 힘의 論理에 따라 기우뚱거리는 狀況입니다. 韓國도 美國과 中國의 對決 사이에서 갑자기 召喚 當할 可能性이 높아졌습니다.

只今 가장 重要한 것은 人類의 삶을 어떻게 하면 元狀態로 돌려놓을 수 있느냐 입니다. 이를 爲해 코로나19 起源 調査가 必須라고 한다면 힘의 論理를 排除하고 科學的이고 客觀的인 調査와 硏究가 必要합니다. 이것이 韓國이 一貫되게 堅持해야 할 길이기도 합니다.


베이징=김기용 特派員 k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