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음, 슬픔 그리고 量子力學[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東亞日報

죽음, 슬픔 그리고 量子力學[이기진 敎授의 만만한 科學]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1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이기진 교수 그림
이기진 敎授 그림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죽음은, 내가 아닌 다른 사람에게 찾아올 때 그 意味를 알게 된다. 乙支路3可逆은 나에게 가장 슬픈 地下鐵驛이다. 몇 해 前 아버님이 을지로3街에 있는 백병원에서 돌아가셨다. 아버님이 入院하신 後, 나는 學校 日程을 끝마치고 地下鐵을 타고 乙支路3街驛에 내려 죽을 사들고 病問安을 하러 갔다. 하루하루 瘦瘠해져가는 아버님을 뵙고 나서 地下鐵驛으로 터벅터벅 내려갈 때는 地球의 終末 같은 슬픔이 밀려왔다.

그 後 어머님이 돌아가셨고, 사랑하는 아내마저 갑자기 現實의 世界에서 사라졌다. 몇 年 사이에 벌어진 일이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은 絶對 사라지지 않고 쌓여간다. 地球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느껴지는 하루하루를 살아가게 된다.

物理學的 죽음이란 무엇일까. 죽음은 살아 있는 生命體가 元素로 分解되는 過程이다. 有機物에서 無機物로 分解되는 過程. 結局 量子 狀態의 粒子가 된다. 宇宙의 最小 單位인 養子로 宇宙에서 사라지지 않고 存在하게 된다. 마치 물 分子가 두 個의 水素와 한 個의 酸素로 쪼개져 存在하는 것처럼. 世上에서 사라지는 것은 없다. 이렇듯 죽음은 但只 元素로 나뉘는 過程이다.

그렇다면 죽은 이의 精神과 슬픔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物理學 理論으로 ‘平行宇宙’와 ‘多中宇宙’ 模型이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宇宙 世界가 아니라, 平行 線上에 또 다른 宇宙 世界가 存在한다는 槪念이 ‘平行宇宙’ 理論이다. ‘多中宇宙’ 理論은 같은 時間을 共有하지만 空間과 次元이 다른 數없이 많은 宇宙가 存在한다고 主張한다. 이 平行宇宙와 多重宇宙는 量子力學 理論이 만들어낸 理論的 世界다. 地球上의 그 어떤 存在도 量子力學의 嚴格한 原理를 벗어날 수 없다.

兩者는 宇宙 空間 어디에 있든 恒常 두 가지 選擇權이 있다. 한 가지를 選擇하면, 이 選擇에 따라 다른 世界가 남는다. 왼쪽으로 가는 人生이 있으면 가지 않은 오른쪽의 人生이 남아 있는 것처럼, 이렇게 無限히 分化하는 두 個의 平行宇宙가 存在하게 된다.

‘多中宇宙’ 亦是 매 決定의 瞬間 다른 宇宙가 存在할 수 있다고 主張한다. 다른 한 個가 아니라 無限 個의 宇宙가 存在한다. 끈 理論에 依하면 可能한 宇宙의 狀態의 數는 10에 500勝塏다. 이만큼의 多重宇宙가 存在하고 있다면, 남겨진 슬픔 하나는 이런 宇宙 속에 숨어 함께 살아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이태원에 산 지 거의 20年이 되어간다. 異國的 風景을 지닌 골목 속 숨겨진 술집과 飮食店은 退勤 後 弟子들과 親舊들과 함께 마음 놓고 즐길 수 있는 곳이었다. 閑寂한 平日은 平日대로, 젊은 親舊들로 붐비는 週末은 週末대로 規則이 있었다. 하지만 한瞬間에 그 規則이 무너져버렸다. 그리고 나에게 또 하나의 슬픈 地下鐵驛으로 變해버렸다. 이른 아침 가방을 메고 地下鐵驛으로 들어가는 발걸음은 마치 블랙홀로 들어가는 느낌이다. 또 다른 슬픔이다. 이 宇宙에서, 只今의 삶 속에서, 막다른 슬픔이기를 바라며 地下鐵을 탄다.

이기진 西江大 物理學科 敎授
#죽음 #슬픔 #量子力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