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엿의 效驗[이상곤의 實錄韓醫學]〈101〉|東亞日報

엿의 效驗[이상곤의 實錄韓醫學]〈101〉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1月 9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朝鮮의 將帥 賃金 英祖는 고기도 싫어했고 비린내 나는 生鮮도 먹지 않았다. 입맛이 까탈스러운 임금이었다. 營養 補充을 위해 그가 찾은 對案은 엿이었다. 在位 13年 製造 趙顯命이 消化力이 떨어져 허약해진 영조에게 엿을 勸誘하자 “나도 아주 좋아한다”며 欣快히 받아들인다. 까칠하고 性깔이 있었던 英祖는 大臣들과 자주 政治的 見解가 엇갈렸다. 그때마다 가슴이 답답해지고 막힌 듯할 때는 엿을 찾아 먹곤 했다. 한마디로 스트레스가 심해질 때 달콤한 엿으로 마음을 달랜 것이다. 特히 生薑을 말린 健康(乾薑)을 넣어 만든 엿은 泄瀉와 腹痛을 앓은 英祖의 在位 24年 동안 또 다른 略式(藥食)으로 사랑을 듬뿍 받았다.

韓醫學은 엿의 效能을 이렇게 說明한다. “술과 엿은 누룩과 엿기름으로 만드는데 이 둘은 모두 보리로 만든다. 누룩은 먼저 보리를 가루로 만들어 뚜껑을 덮어 生氣를 꺾어 가두었다 發效한다. 오랫동안 갇혀 있었으므로 性質이 더욱 미쳐 날뛴다. 反面 엿은 싹을 틔워 氣가 풀려 나온 것을 가루로 만들므로 機가 순조로우며 弛緩되어 性質이 느리고 緩慢하다. 엿은 禍(火)를 진정시켜 물을 만든다.”(본경소증)

受驗生들에게 예부터 엿을 먹인 理由도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試驗 때문에 생긴 緊張과 스트레스를 풀어주기 위해서다. 緊張感을 풀기 위해 牛黃淸心丸을 服用하는 境遇도 있지만 엿은 스트레스로 인한 腹痛까지 解消한다. 實際 ‘高3病’을 앓는 大部分의 學生들은 속이 답답하거나 꽉 막힌 것 같은 症狀을 呼訴한다. 特히 試驗 當日 배가 아파 어쩔 줄 몰라 하는 學生들도 있다. 지나친 緊張이 誘發하는 腹痛 症狀인데, 韓醫學은 이를 二級(裏急)이라 한다. ‘속이 急하게 苦痛을 呼訴한다’는 뜻이다.

西洋醫學에서도 緊張과 스트레스가 腹痛을 일으킨다는 데 同意한다. 緊張과 스트레스는 自律神經의 調和를 깨 胃壁 細胞의 毛細血管을 수축시킨다. 그로 인해 胃 粘液의 分泌量이 줄면서 胃腸 內部의 酸度가 높아진다. 넘쳐나는 胃酸을 中和시키지 못하는 것. 結局 患者는 배가 딱딱해지며 腹痛을 呼訴하고 밥맛을 잃는다.

韓方에서 엿 成分이 가장 많이 든 處方은 小建中湯인데 適應症에 腹痛이 큰 部分을 차지한다. “貧血이 있어 쉽게 疲勞하며 뱃가죽이 얇고 腹直筋이 땅긴다. 腹痛을 呼訴하며 손발이 화끈거리고 목이 乾燥하다.” 小建中湯은 어린이 體質改善制로 開發돼 大衆的 人氣를 끌었다.

腦가 活動하는 데 있어서 葡萄糖은 한瞬間도 없어서는 안 되는 主要 에너지源이다. 空腹이 되면 思考力이 흐려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엿은 예부터 腦에 黨을 供給하는 重要 에너지源이었으며 마음의 急迫함을 鎭靜시키는 藥이었다. 最近에는 엿 代身 초콜릿을 膳物하는 새로운 風俗이 생겼지만 腦 健康과 스트레스 解消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한다면 筆者의 推薦은 엿이다.

엿의 種類는 많다. 特히 有名한 것은 鬱陵島의 名物 호박엿과 個性과 光州의 밤엿이다. 호박엿은 本來 이름은 厚朴엿이다. 厚朴은 배가 아프고 불러 올라 그득하며 소리가 나는 답답한 症狀을 治療하는 名藥이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엿 #效驗 #朝鮮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