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달에 만나는 詩]뜯기거나 얼려지거나 내팽개쳐지는… 그의 眞짜 이름은 明太!|東亞日報

[이달에 만나는 詩]뜯기거나 얼려지거나 내팽개쳐지는… 그의 眞짜 이름은 明太!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4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慶尙道 뱃사람들이 ‘먹태’라고 부르는 바닷고기가 있다. 다른 물고기들이 避해가는 빠른 물살 속에서 살다 보니 지느러미를 한時도 놀릴 틈이 없다. 먹胎는 그가 사는 곳이 規定해준 이름일 뿐. 平生 거센 물결과 싸우느라 그 自身도 잊어버린 眞짜 이름은 ‘明太’다.

이달에 만나는 詩 4月의 推薦作은 성윤석 是認(48·寫眞)의 ‘明太’다. 1990年 韓國文學 新人賞을 받으며 登壇한 詩人이 2007年 ‘空中 墓地’ 以後 7年 만에 펴낸 세 番째 詩集 ‘멍게’(문학과지성사)에 실렸다. 推薦에는 손택수 利原 이건청 장석주 김요일 詩人이 參與했다.

魚市場으로 向하는 오토바이에서 記者의 電話를 받았다는 詩人은 이 詩가 ‘初心(初心)’에 關한 詩라고 했다. 어떤 삶의 經路를 거치느냐에 따라 노가리나 코다리로, 凍太나 黃太, 北魚로도 불리게 되는 明太의 삶이, 한때 벤처企業 社長이었다가 新聞記者와 公務員, 墓지기를 거쳐 1年餘 前부터 慶南 昌原의 魚市場에서 雜夫로 일한다는 詩人의 모습과 퍽이나 닮았다는 생각을 했단다.

“冷凍 倉庫에서 꽝꽝 얼린 明太를 꺼내는 것 같은 肉體勞動을 제가 언제 또 해봤겠어요. 처음에는 들지도 못했죠. 그런데 몸을 쓰는 일을 하다 보니 恣意的인 職銜이나 이름이 없는 어떤 狀態에서 生을 다시 始作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제게는 그 무엇으로 불리기 全義 明太가 그런 모습이었죠.”

‘뜯기거나, 얼리거나, 바람에 실리거나,/얼어 바닥에 내팽개쳐지는 일이거나’ 같은 明太의 이름을 決定하는 過程들을 羅列한 詩語에 對해서는 “우리네 人生을 보여주는 比喩인 同時에 다양한 이름으로 살아 온 내 지난 삶을 壓縮한 것”이라고 說明했다.

推薦委員 손택수 詩人은 “바위를 때리는 波濤의 물방울이 詩集 밖으로 튀어오를 듯 實感으로 가득 차 있다. 世上일에 멍들 대로 멍든 者들, 이 詩集을 按酒 삼아 燒酒라도 한盞 들어볼 일이다”고 했다. 利原 詩人은 “어보(魚譜)이면서 同時에 뜨겁고 고요한 自畫像이다. 비린내와 눈물이 서로를 알아보는, 그러나 浸透하지는 못하는 자리에서 성윤석 特有의 ‘어보 自畫像’이 誕生한다”고 推薦의 理由를 밝혔다.

이건청 詩人의 選擇은 提州를 舞臺로 活動해 온 나기철 詩人의 詩集 ‘젤라의 꽃’(抒情詩學)이었다. “節制의 美를 보여주는 단형의 詩篇들을 싣고 있다. 길이가 길고 數詞가 張皇한 詩篇들이 主流를 이루는 韓國 詩에서 精製되고 節制된 詩는 반갑게 읽힌다. 政制와 節制의 詩는 剛한 精神의 所産이다.”

장석주 詩人은 김경주 詩集 ‘고래와 水蒸氣’(문학과지성사)를 推薦했다. 張 詩人은 “김경주의 詩들은 質量이 거의 없는 流動性과 可變性의 物質을 타고 나간다. 이토록 가볍고 쉽게 사라지는 것들은 堅固한 것, 오래 남는 것, 이를테면 世界와 秩序의 確實性과 浮動性을 부끄럽게 만든다”고 했다.

김요일 詩人은 最近 詩集 ‘反復’(문학동네)과 ‘네모’(문학과지성사)를 同時에 펴낸 李峻奎 詩人을 注目했다. 詩人은 “끊길 듯 말 듯 反復되는 詩의 리듬을 따라가다 보면 봄꽃 그늘 아래에서 마시는 낮술 같은 透明한 슬픔과 맞닥뜨리게 된다. 댕그라니 놓인 삶 앞에서 變奏되어 꽃잎처럼 흩날리는 詩語들…. 읽어도 좋고 안 읽어도 괜찮을 이 勝妙한 詩篇들이 詩人의 모습을 닮았다”고 말했다.

우정렬 記者 passion@donga.com
#성윤석 #明太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