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寄附文化캠페인]"企業 寄附는 未來위한 投資"|東亞日報

[寄附文化캠페인]"企業 寄附는 未來위한 投資"

  • 入力 2001年 2月 22日 18時 36分


얼마 前 美國 符號들이 부시 政府의 相續稅 廢止 方案에 制動을 걸고 나섰다는 消息은 韓國社會에서는 차라리 衝擊이었다.

빌 게이츠,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 等 世界 最高의 富豪 120名이 相續稅 廢止에 反對하는 理由는 “富의 偏重이 甚해진다”는 것. 이들의 걱정은 相續稅 廢止가 美國의 寄附文化에 致命的인 打擊을 줄 것이란 點으로 이어졌다. 높은 相續稅를 避하기 위해 慈善寄附金을 많이 내던 美國 富者들의 傳統이 깨진다는 이야기다.

國內에서도 90年代 들어 企業의 社會貢獻活動이 活潑해지고 있다. 全經聯이 99年 末 實施한 調査 結果는 企業寄附活動의 相當 部分이 企業財團을 通해 이뤄졌음을 보여준다. 企業財團의 總事業費 規模는 95年 4115億원에서 99年 1兆7000億원으로 늘어났다. 돈이 쓰인 곳은 文化施設 建立, 社會福祉, 學術 및 敎育 振興 等이 中心이며 藝術 및 스포츠에 對한 支援도 活潑하다.

全經聯의 다른 調査에서도 147個 應答企業의 折半 以上이 經常利益의 1% 以上을 社會貢獻活動에 쓰고 있고 5% 以上 支出하는 企業도 30餘個에 이르렀다. 從業員들의 自願奉仕 等 人的交流를 통한 貢獻活動度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實際로 韓國企業들도 엄청나게 寄附를 한다. 企業 寄附額이 國家 全體의 寄附額에서 차지하는 比重이 美國이 25%(98年 基準)인데 비해 韓國은 60%나 된다. 個人에 比해 相對的으로 많은 額數를 내고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企業을 바라보는 國民의 視線은 如前히 冷淡하다. 왜일까.

李尙玟(李相旼) 삼성경제연구소 首席硏究員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企業 慈善은 否定的 輿論을 撫摩하고자 마지못해 하는 ‘準租稅的 慈善’이거나 企業 所有主의 誇示的인 慈善이 大部分이어서 自發性 持續性 專門性이 不足하기 때문”이라고 指摘한다.

또 企業人들이 公共性을 지닌 法人과 個人間의 關係를 混沌, 個人 寄附는 마다한 채 公益財團 設立을 통한 企業寄附만을 選好하는 것도 寄附文化의 定着을 막는 問題點으로 指摘된다.

이런 點에서 全經聯이 3月14日 發足할 豫定인 ‘全經聯 1% 클럽’은 다른 次元의 寄附 方式으로 期待를 모으고 있다. 經常利益의 1% 以上을 社會貢獻 活動에 支出하는 企業들의 모임인 ‘1%클럽’에는 現在 현대牙山 三星 LG SK 포항제철 동아제약 韓華 유한킴벌리 等 88個社가 加入을 申請했다.

이硏究員은 企業의 社會貢獻이 제대로 되기 위해서는 “企業들이 寄附나 社會貢獻이 ‘信賴’라는 社會的 資本을 創出하는 社會的 投資임을 認識하고 慈善活動도 特化된 領域에 焦點을 맞추는 等 戰略을 세울 必要가 있다”고 指摘했다. 敎育에 州로 寄附하는 빌 게이츠, 全 世界 民主化 鬪爭에 寄附하는 조지 소로스, 環境運動에 寄附하는 테드 터너처럼 韓國 企業들도 ‘寄附〓投資’라는 觀點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企業寄附가 제대로 이뤄질 인프라構築이 안 된 狀態에서 寄附를 勸奬하는 것은 口頭禪”이라고 指摘하는 박헌준(朴憲俊) 연세대 經營學科 敎授는 “寄附金에 對한 稅制惠澤 等 法制度도 未洽하지만 特히 文化的 인프라도 바뀌어야 한다”고 말한다. 韓國에서는 外國처럼 寄附者의 이름을 딴 建物이나 奬學金을 찾아보기 어려운데 이는 韓國籍 文化 때문이란 指摘이다.

<서영아기자>sy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