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빠 찾아요” 인터넷 搜所聞하는 아프리칸 韓國人 [記者의 눈/이채완]|東亞日報

“아빠 찾아요” 인터넷 搜所聞하는 아프리칸 韓國人 [記者의 눈/이채완]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1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한국인 아버지와 나이지리아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이용최 씨의 100일 잔치 사진. 한복을 입고 있다. 이용최 씨 제공
韓國人 아버지와 나이지리아人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利用최 氏의 100日 잔치 寫眞. 韓服을 입고 있다. 利用최 氏 提供
이채완·국제부
이채완·國際部
“(韓國人) 아버지는 100日 잔치를 해준 뒤 韓國으로 永永 떠났습니다.”

아프리카 西部 나이지리아에 사는 韓國系 私生兒 利用최 氏(23)는 “아버지를 꼭 찾고 싶다”며 記者에게 이렇게 말했다. 그는 成人이 된 後 이름을 스스로 지었다. 韓國人 아버지의 城에 인터넷에서 본 한글 ‘龍’과 ‘崔’를 붙였다. 너무 어릴 때 떠나버린 아버지의 얼굴은 기억나지 않지만 韓國系라는 自身의 핏줄을 잊지 않고 싶다고 했다.

동아일보가 라이베리아 出身 韓國系 私生兒들의 ‘힘겨운 아빠 찾기’에 對해 7日 報道(“날 두고 간 韓國人 아버지… 찾아도 ‘書類上 家族’ 슬픈 現實만”)한 以後 記者에게 메일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메시지가 쏟아졌다. 李 氏처럼 라이베리아, 나이지리아, 가나 등 아프리카 곳곳에 있는 韓國系 私生兒들이 어떻게 하면 韓國人 아버지를 찾을 수 있는지 물어왔다. 劇的으로 아버지를 만난 라이베리아界 混血 서관우 氏(35)의 事例가 記事를 통해 알려지자 그를 도왔던 世界韓人法律家會에도 問議가 殺到하고 있다.

‘코피노’(필리핀), ‘라이따이한’(베트남) 等 東南아시아系 韓國 混血人들은 比較的 알려진 便이지만 아프리카系 韓國 混血人은 오래도록 우리의 視線 밖에 있었다. 李 氏는 아버지가 일했던 나이지리아 會社와 韓國大使館을 찾아가 事情했지만 아버지 찾기에 番番이 失敗했다. “바보 같지만 인터넷으로 韓國人들에게 우리 아빠를 아느냐고 메시지도 보내 봤어요. 韓國에 李 氏 性 가진 사람이 數百萬 名이란 答이 돌아오더군요.” 가나 混血人 김복남 氏(29)는 “우리 같은 아프리카 混血兒들은 뿔뿔이 흩어져 있다. 아버지를 찾는다는 期待는 접고 살아가야 했다”고 말했다.

日本에도 2000年代 初 ‘者피노’(日本 男性과 필리핀 女性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 問題가 擡頭된 적이 있다. 이때 日本은 民官이 나섰다. 企業과 市民團體가 자피노에게 敎育과 就業 機會를 提供했다. 政府는 2008年 國籍法을 改正해 者피노가 日本 國籍을 쉽게 取得하도록 도왔다.

동아일보에 紹介된 關羽 氏는 親父를 찾아 家族關係證明書에도 올랐지만 높은 水準의 韓國語 能力을 要求하는 歸化試驗을 通過하지 못해 4年째 韓國 國籍을 얻지 못하고 있다. 우리 亦是 이들이 親父를 찾았다면 國籍 取得 節次를 簡素化하거나, 親父를 찾는 동안 韓國에 머물 수 있도록 就業비자를 提供하는 等 對策을 마련할 必要가 있다.

李 氏는 記者와의 通話를 마치며 이렇게 말했다. “아버지의 나라에 꼭 가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萬若 아버지를 만난다면 오랜 時間 바라보고 안아보고 싶습니다.”


이채완·國際部 記者 chaewani@donga.com


#韓國系 私生兒 #아프리칸 韓國人 #힘겨운 아빠 찾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