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63〉‘말’이 아니라 火난 ‘感情’을 보라|東亞日報

[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63〉‘말’이 아니라 火난 ‘感情’을 보라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10月 31日 03時 00分


코멘트

辱하는 아이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아이가 冊床에 問題集을 던지면서 “에이 氏∼” 한다. 엄마는 긴 잔소리 끝이라 이미 感情이 激昂된 狀態였다. 아이가 辱하는 소리까지 들으니 火가 치밀었다. “너 只今 辱했어? 키워놨더니 父母한테 辱이나 하고 이런 후레子息 같으니….” 엄마는 아까 아이가 잘못했던 일보다 아이가 自身에게 辱을 했다는 事實에 더 火가 났다. 말할 수 없는 背信感과 失望感이 온몸을 감쌌다.

“辱해도 되나요?”라고 물으면 元來 答은 “안 된다”이다. 어른이건 아이건 辱하는 것은 바람직한 行動이 아니다. 그런데 요새 아이들은 辱을 참 많이 한다. 初等學校 高學年만 돼도 辱을 달고 사는 아이들도 있다. 이 아이들을 都大體 어떻게 指導해야 할까?

于先 ‘辱을 왜 할까?’부터 생각해보자. 辱은 否定的인 感情을 묶어서 아주 짧고 빠른 말에 衝動的으로 解決하는 表現 方法이다. 辱을 하는 사람의 感情 狀態는 ‘火’나 ‘憤怒’이다. 整理하자면 火가 났기 때문에 辱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辱만 하지 말라고 하면, 화난 感情은 解決이 안 된다. 火가 나면 物件을 던지는 아이가 있다. 辱을 하는 아이도 이것과 다르지 않다. 物件을 던지는 問題 行動을 根本的으로 고치려면 아이의 ‘化’에 對해서 다뤄야 한다. 辱을 안 하게 하려면 아이의 화난 鑑定부터 다뤄야 한다.

辱은 感情이다. 말로 봐서는 안 된다. 感情에 對해서 먼저 얘기하고 나중에 아이의 마음이 풀렸을 때 말이나 行爲에 對해서 얘기해 줘야 한다. 辱을 말로 報告 訓戒하면 아이들은 대번에 “다른 아이들은 더해요. 나보다 더 甚한 辱도 해요” 한다. 이렇게 始作되면 對話가 進行이 안 된다. 本論은 얘기도 못 하고 말싸움만 하게 된다. 하지만 ‘화난 感情’에 對해서 얘기하면 아이는 그렇게 對答하지 않는다. 感情은 내 것이기 때문이다. “네가 辱할 때는 무척 화나고 熱 받는다는 것인데, 왜 열 받았는지 얘기 좀 해 봐”라고 말을 건다. 아이가 “아니 擔任이 이래저래 가지고…” 辱을 섞어가며 이야기를 해도 一旦은 다 듣는다. 그리고 “그래, 네 擔任이 너희한테 狀況도 안 알아보고 火를 내서 네가 抑鬱하다는 얘기지?”라고 整理해준다. 아이가 그렇다고 하면 “그러면 다음에는 그렇게 表現해 봐” 하고 가볍게 넘어간다. “狀況이 火는 났겠네”라고 화난 感情에 對해서 首肯해 주는 것도 잊지 않는다.

아이가 辱을 할 때는 辱이라는 表現 方式 自體를 指摘하기보다 아이가 火가 나 있다는 感情을 認定해주고, 왜 火가 났는지에 對해서 다뤄야 한다. 表現 方式만 指摘하다 끝나면 아이가 왜 그런 말과 行動을 하는지 아이의 마음을 알 길이 없다.

兄弟끼리 싸우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辱을 주고받았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 조용히 불러서 차분하게 얘기한다. “화난 感情은 表現은 해야 돼. 그러지 않으면 사람은 病이 날 수도 있어. 그런데 너희 나이에 많이 쓰기는 하지만 火난 表現을 每番 辱으로 하는 것은 곤란해. 몸에 배어 버리면 고치기가 쉽지 않아. 사람들은 모두 말로 氣分이 나쁘고 말 때문에 싸우거든. 좀 純化해서 表現해 보자. 이건 오랜 練習이 必要해. 練習을 안 하면 잘 못 배운단다”라고 말하고는 各自 房으로 들어가서 自身이 辱으로 表現한 感情을 말로 飜譯해 오라고 한다. ‘兄이 자꾸 그러니까 내가 엄청나게 熱 받고, 동생인 것이 抑鬱하다’ 이런 式으로 바꿔보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은 아이들의 感情이 가라앉은 다음에 해야 한다. 感情이 격해 있을 때는 어떤 助言도 통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딱히 화난 感情이 있는 것은 아닌데, 辱을 입에 달고 사는 것은 어떻게 할까? 辱은 아이들 發達上에 一定 時期, 一定 期間에 나타나는 아이들의 文化이다. “아, 추워죽겠네”라고 말하고도 뒤에 ‘씨발’을 붙인다. 이때 ‘씨발’은 화난 感情이 아니다. 그냥 言語遊戱이고 習慣이다. 잘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無條件 혼낼 일도 아니다. 조금 距離를 띄우고 中立的인 立場에서 “에, 너무 甚하다. 좀 純化해서 써라”라든가 그냥 부드럽게 “말 좀 곱게 써” 程度만 해 주어야 한다. 父母가 過敏하면 아이는 이 部分을 오히려 重要한 問題로 認識한다. 自身의 成長 發達에서 더 重要하게 다뤄야 할 問題가 많음에도 不拘하고, 그 자리에 父母와 辱에 對한 싸움을 놓아 버린다. 그렇게 되면 父母가 더 重要하게 다뤄야 할 아이의 問題를 다뤄 주지 못한다. 아이들의 辱은 發達上 一時的인 것이기 때문에, 아이가 드러내 놓고 面前에서 하지 않는 以上, 너무 完璧하게 統制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辱 #禍 #憤怒 #感情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