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곤의 實錄韓醫學]‘火病’ 肅宗이 소 虐殺劇까지 벌인 藥材 ‘牛黃’|東亞日報

[이상곤의 實錄韓醫學]‘火病’ 肅宗이 소 虐殺劇까지 벌인 藥材 ‘牛黃’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5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어린 時節, 시골 우리 집 財産目錄 1號는 소였다. 40餘 年 前 父母님이 “소가 黃에 걸렸다”며 唐慌해하던 모습은 只今도 눈에 선하다. ‘皇’은 只今으로 보면 黃疸이었다. 내 記憶엔 主로 뒷다리를 부들부들 떨었는데 治療法이 딱히 없어 消沈을 뒷다리에 놓고 낫기를 기다렸다. 이런 소가 살아남으면 몸속 쓸개에 牛黃이 생긴다. 中國 淸나라의 藥學서 ‘本經素症’은 牛黃의 生成 原因을 이렇게 說明한다.

‘봄철 傳染病(바이러스性)李 돌면 소도 毒을 마신다. 毒은 肉體와 精神의 빈 곳을 攻擊한다. 소가 健康하면 소의 정기에 毒이 鎭壓돼 內部에서 凝結된다. 이런 힘의 정수가 牛黃인데 情緖障礙나 熱性痙攣을 治療한다.’

牛黃의 藥效를 代辯하는 牛黃淸心元은 朝鮮의 베스트셀러 藥이다. 옛사람은 牛黃이 든 소를 어떻게 區別했을까. 本經素症은 ‘소의 몸속에 牛黃이 있으면 밤에 몸에서 빛이 나고 눈에 핏발이 있으며 隨時로 운다. 사람을 두려워하며 물에 自己 모습을 잘 비춘다. 동이에 물을 받아 소한테 대주면 웩웩거리다가 물에 牛黃을 떨어뜨린다’고 썼다.

外棺으로는 牛黃을 품은 소를 區別하기 어려웠던지 朝鮮王朝實錄에는 牛黃을 救하기 위해 온갖 호들갑을 떨었던 記錄이 있다. 平生 火病을 안고 살았던 肅宗의 逸話다. 在位 39年(1713年) 花甁이 極에 達한 肅宗은 生牛黃을 大闕 안으로 들이라고 命令한다. 數百 斗의 貴한 소가 屠殺됐지만 牛黃은 求할 수 없었다. 結局 소 虐殺을 보다 못한 臣下들이 挽留 上疏를 올리는 狀況까지 벌어졌다.

牛黃을 품고 있는 쓸개, 卽 담(膽)은 마음의 狀態와 種種 連結된다. 怯이 없고 勇敢하다는 뜻의 ‘膽이 크다’는 말부터 ‘말(馬)은 쓸개가 없어 怯이 많다’거나 主대가 없다는 뜻의 ‘쓸개 빠진 ∼’이라고 하는 境遇가 그것이다. 韓醫學的으로 보면 ‘臥薪嘗膽(臥薪嘗膽)’이란 故事는 憤怒로 달아오른 마음을 쓸개의 쓴맛으로 진정시킨다는 意味다. 다양한 色깔의 飮食物도 쓰디쓴 쓸개汁을 만나면 삭여져 모두 노란色으로 變한다. 손톱으로 牛黃을 그어 노란 줄이 생기는지 與否로 眞짜와 假짜를 區別한 것도 그런 理由다. 牛黃은 쓸개汁이 濃縮돼 膽石이 된 것이므로 노랄수록 삭이는 힘이 剛하다고 봤다.

韓醫學이 保身의 藥材로써 쓸개를 보는 觀點은 現代醫學과 差異가 크다. 담을 몸에 봄 같은 生氣를 불어넣는 補藥으로 보는 것. 本經素症은 ‘담은 陽氣의 맨 앞이다. 變化를 가장 먼저 퍼뜨리며 용솟음쳐 나오는 기운으로, 마치 봄기운과 같다’고 적었다. 봄은 英語로 ‘SPRING’이다. 이 英語 單語에는 샘과 龍鬚鐵이란 뜻도 있다. 담에는 샘처럼 깊고 龍鬚鐵처럼 솟아오르는 기운이 있다. 服用하면 힘과 精力이 흘러넘친다는 게 담의 또 다른 韓醫學的 藥效 풀이다. 이처럼 鎭靜 作用과 强壯 機能을 모두 갖춘 담의 本質은 몸과 마음의 均衡을 잡아준다. 複雜하게 꼬인 일 때문에 마음에 痙攣이 일어나거나 큰일을 앞두고 自信感이 不足하고 힘이 빠졌을 때 牛黃淸心丸을 먹는 理由도 바로 그 때문이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火病 #肅宗 #牛黃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