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BR]信用評價모델에 ‘償還 意志’도 包含해야|동아일보

[DBR]信用評價모델에 ‘償還 意志’도 包含해야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19日 03時 00分


코멘트

財務狀況-擔保 中心 方式에 限界
償還 意志 反映하는 心理的 特性
自己效能感·自制力 等 反映해야

金融機關의 信用 商品은 必然的으로 債務者의 債務不履行 危險(信用 危險)을 同伴한다. 이때 債務不履行을 最少化하기 위해 使用되는 危險管理 道具가 바로 信用評價模型이다. 貸出 對象의 信用 危險 水準을 評價해 點數를 算定하는 裝置다.

傳統的 信用評價模型은 貸出 對象의 財務 狀況, 擔保, 信用 履歷, 經濟的 償還 能力 等 所謂 ‘하드 情報’에 焦點을 맞춘다. 이는 主觀的·心理的 要素에 該當하는 ‘소프트 情報’, 卽 償還 意志를 제대로 反映하지 못하는 限界가 있다.

印度 審바이오시스臺 硏究陣은 償還 意志가 債務不履行에 미치는 影響과 信用評價模型의 豫測力을 높이는지 探究했다. ‘負債’와 ‘心理’라는 두 가지 키워드로 主要 學術 데이터베이스를 檢索해 1980∼2019年 發刊된 學術 論文 29篇을 選別한 後 統合的 文獻 分析을 進行했다.

硏究陣은 借入者의 償還 意志와 聯關性이 높은 行動·心理 特性 6가지를 밝혀냈다. 無欠結成과 自己效能感, 內的 統制, 性格, 自制力, 物質主義 等이다.

無欠結成은 道德的 原則에 따라 正直하게 行動하려는 性向을 意味한다. 無欠結成이 不足한 借入者는 償還할 能力이 있어도 實際로는 돈을 갚지 않으려는 傾向이 强하다. 自己效能感은 주어진 課題를 完遂할 수 있는 自己 能力에 對한 믿음을 뜻한다. 自己效能感이 높으면 熱情이 높고 더 끈氣 있게 目標를 達成하려 努力한다.

內的 統制는 自己 삶이 外部의 힘이 아닌 自身의 意志와 行動으로 管理된다는 自信感을 보여주는 心理的 特性이다. 內的 統制가 剛한 사람들은 弱한 사람들보다 財務管理 能力이 더 뛰어나고 信用度가 높다. 性格은 個人의 精神的, 身體的, 社會的 環境과 相互作用하는 데 影響을 미치는 여러 가지 心理的 特性과 메커니즘의 組合이다. 性格 硏究에 가장 많이 쓰이는 ‘빅5’ 性格 特性 中 ‘誠實性’이 높을수록, ‘神經性’李 낮을수록 債務不履行 危險이 낮아진다.

自制力은 衝動이나 强迫 購買에 對한 抵抗力으로 解釋할 수 있다. 自制力 測定에 使用되는 代表的 指標에는 消費 스타일, 肥滿, 吸煙, 飮酒가 있다. 自制力이 不足한 사람은 쉽게 빚을 지고 오랜 期間 負債에 허덕인다. 物質主義는 過消費나 不必要한 奢侈品 消費를 慫慂해 負債 負擔을 늘리고 財務管理 能力을 沮害한다. 부채에 好意的인 態度를 보이게 하고 强迫的인 購買 行動을 助長한다.

信用評價模型에 하드 情報뿐만 아니라 이 같은 소프트 情報를 統合하면 適切한 信用 記錄과 信賴할 수 있는 財務諸表가 없는 借入者의 評價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金融 서비스에 接近하기 어려운 低所得 階層 中에서도 償還 意志가 剛한 사람들을 選別해 貸出의 機會를 주는 데도 有用하다. 各 借入者의 個別的인 行動·心理 特性이 追加로 反映되므로 信用評價의 正確性이 向上되고 偏向性은 減少하는 效果를 期待할 수 있다.

곽승욱 淑明女大 經營學部 敎授 swkwag@sookmyung.ac.kr
整理=백상경 記者 baek@donga.com
#信用評價모델 #償還 意志 #債務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