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늘 없는 時計, 컬러풀한 조각… 空間에 잠겨 冥想하다|동아일보

바늘 없는 時計, 컬러풀한 조각… 空間에 잠겨 冥想하다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4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原州 ‘뮤지엄 산’서 론디노네展
바위 본떠 만든 靑銅 彫刻 聯作
日沒 風景 담은 水彩畫 等 紹介

강원 원주시 뮤지엄 산 백남준관에 전시된 우고 론디노네의 작품 ‘노란색과 빨간색 수도승’(2021년). 뉴시스
江原 原州市 뮤지엄 산 白南準館에 展示된 우고 론디노네의 作品 ‘노란色과 빨간色 修道僧’(2021年). 뉴시스
自然에서 쉽게 보기 힘든 强烈한 빨강, 노랑, 草綠 原色으로 만들어진 彫刻들이 서 있다. 겉모습만 보면 높은 곳에서 굴러떨어져 부서진 바위 같지만, 알고 보면 돌을 본떠 만든 靑銅 彫刻이다. 自然을 말하지만 자연스럽지 않은 色과 材料로 所藏家들을 魅惑해 온 우고 론디노네(寫眞)의 作品이 江原 原州 뮤지엄 山에 展示됐다.

뮤지엄 産銀 6日부터 스위스 出身 現代美術家 론디노네의 個人展 ‘번 투 샤인(BURN TO SHINE)’을 연다. 美術館의 展示館 3곳과 野外 스톤가든, 白南準館에서 作品 40餘 點을 紹介한다. 美國 네바다州 沙漠에 設置돼 ‘認證샷’ 名所로 꼽혔던 ‘세븐 매직 마운틴’을 聯想케 하는 돌 模樣 조각 聯作 ‘修女와 修道僧’부터 ‘매티턱(mattituck·美國 뉴욕州의 地域 이름)’ 會話 聯作, 映像 作品 等이 紹介된다.

로비에서 始作하는 展示는 時計바늘이 없는 時計, 밖이 보이지 않는 窓門 作品으로 觀客을 맞는다. 時計와 窓門 作品은 螢光으로 빛나는데, 이 作品이 設置된 空間의 통窓에도 色이 입혀져 있다.

8日 韓國을 찾은 론디노네는 “午後 2∼4時에 이곳을 찾으면 色에 完全히 잠길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時計엔 바늘이 없어 時間을 모르고, 窓門엔 내 모습만 비친다”며 “時間과 나에 對한 冥想을 하는 空間이 되길 바랐다”고 說明했다.

다음 展示場1에서는 作家가 본 日沒과 月出 風景을 담은 水彩畫(매티턱), 바다를 象徵하는 琉璃 말 조각 시리즈가 이어진다. 모두 自然의 基本的 要素를 表現한 것으로, 國內 아트페어와 갤러리에서도 種種 볼 수 있었다.

展示의 題目이 된 映像 作品 ‘번 투 샤인’(2022年)은 아프리카 마그레브 地域의 傳統 意識과 現代 舞踊을 結合한 퍼포먼스를 담았다. 론디노네는 이 映像에 3個의 ‘怨’이 登場한다고 說明했다. “첫 番째 원은 불, 두 番째는 불을 둘러싼 舞踊手 17名이 그리는 원, 세 番째는 드러머 12名의 원으로 이들은 時計처럼 움직이면서 해가 뜰 때까지 춤을 춥니다.”

10分 동안 이어지는 映像은 해가 뜨는 場面과 함께 幕을 내렸다가 다시 어둠 속에서 불이 빛나고 그 周邊에서 舞踊手들이 춤추는 場面으로 反復된다. 作家는 ‘빛나기 위해 타오르라’는 존 지오르노의 詩에서 靈感을 얻어 題目을 붙였는데, 불에 탄 재 속에서 다시 태어나는 不死鳥처럼 循環하는 過程을 의미한다. 作家는 “이러한 循環을 해와 달이 곳곳에 있는 展示場에서도 發見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돌 模樣 彫刻 作品은 그 안에서 冥想하는 사람을 象徵한다. 9月 18日까지. 5000∼2萬3000원.


原州=김민 記者 kimmin@donga.com


#뮤지엄 산 #우고 론디노네 #靑銅 彫刻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