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사람이 쓰는 法]“眞짜 民衆의 삶, 歷史冊엔 없죠”|동아일보

[이 사람이 쓰는 法]“眞짜 民衆의 삶, 歷史冊엔 없죠”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8月 1日 03時 00分


코멘트

‘컬렉터, 歷史를 蒐集하다’ 박건호 氏
27年째 歷史 가르치며 資料 蒐集… 記錄 뒤에 숨겨진 時代의 삶 照明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길이 1m 남짓한 韓紙에 써 내려간 歌辭體(歌辭體) 글句. ‘이 하늘에 비가 올까/저 하늘에 비가 올까∼’로 始作하는 이 글의 題目은 ‘애타는 한여름의 가뭄’. 맨 끝에 ‘丙子年(丙子年)’이라고 적혀 있다. 朝鮮王朝實錄 等을 檢索해 보니 丙子年인 1876年, 엄청난 한발로 왕이 숱하게 祈雨祭를 올렸다. 그런데 歷史冊은 理解를 不平等條約인 江華島條約이 맺어진 해로 記述한다. 하지만 當代 朝鮮 사람의 眞正한 關心은 가뭄이었을 게다.

“그걸 알고는 ‘내가 배운 歷史는 半쪽짜리였다’고 생각했어요. 公式 歷史가 말하지 않은 것을 資料를 통해 補充해주고 싶었습니다.”

‘컬렉터, 歷史를 蒐集하다’(휴머니스트)의 著者 박건호 氏(51·寫眞)가 蒐集에 새롭고 큰 意味를 附與한 瞬間이었다.

大學에서 國史를 專攻하고 高校와 再修學院에서 27年째 歷史를 가르치는 朴 氏는 當初 授業時間 學生들에게 보여줄 만한 朝鮮時代와 近現代 資料를 蒐集했다. 主로 그 時代를 살던 匹夫匹婦의 資料였다. 그런데 資料에서 스토리가 보이기 始作한 것이다.

“結婚式 寫眞을 無心코 蒐集했는데 모으다 보니 主禮 뒤便 太極旗가 걸려 있는 게 스무 張쯤 돼요. 國家主義가 甚했던 1970年代 찍은 거라고 봤는데 寫眞들 뒤를 보니 1950年代예요. 뿌리를 찾으니까 日帝强占期, 집이 아닌 式場에서의 ‘社會結婚’이 流行할 때 日章旗를 걸었던 것이 光復 後 太極旗로 바뀐 거였어요. 蒐集하다 이야기가 보이게 된 거죠.”

冊은 1920年代 京城自動車學校에 다니던 靑年 김남두가 故鄕 집에 보낸 便紙, 1907年 丁未義兵 때 忠北 堤川에서 失踪된 通譯官 조용익을 찾는 訓令, 1941年 陸軍特別志願兵으로 戰場에 나가기 直前 찍은 朝鮮人 靑年 9名의 寫眞, 1952年 7月 江原道 陸上大會에서 優勝한 三陟公告 記念寫眞 等 當代 庶民 民衆 民草가 남긴 美時事다. 歷史冊은 알려주지 않던 그 時代의 한 側面을 보여주는 것이다.

“冊의 11張 ‘戰爭도 지우지 못하는 民衆의 삶’은 읽어보셨으면 합니다. 6·25戰爭 때 軍人들이 꽃을 들고 있는 寫眞이 있습니다. ‘戰爭 통에 꽃은 무슨…’ 하겠지만 그 渦中에도 꽃이 있고 웃음이 있습니다. 삶이 있습니다. 삶이란 ‘獨立運動’이냐 ‘親日’이냐같이 劃一化, 規格化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多樣·多技합니다. 150mm 迫擊砲 彈皮로 재떨이를 만들어 쓰고, 美國 원조품 包袋로 바지를 지어 입었습니다. 民衆은 歷史에서 둥둥 떠다닌 受動的인 存在가 아니라 能動的으로 삶과 대면했습니다.”

종이로 된 資料 中心으로 約 1萬 件을 收集했다는 朴 氏는 60歲가 될 때까지 4卷의 冊을 더 낼 생각이다. 그것이 運命的으로 自身에게 온 資料들에 禮를 갖추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讀者께서 하나만은 記憶해주시길 바랍니다. 些少한 資料는 있어도 些少한 사람, 些少한 歷史는 없습니다.”

민동용 記者 mindy@donga.com
#컬렉터 歷史를 蒐集하다 #박건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