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밤 人事는 ‘굿잠’?|週刊東亞

週刊東亞 970

..

오늘밤 人事는 ‘굿잠’?

잠 잘 자기

  • 김용섭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장 trendhitchhiking@gmail.com

    入力 2015-01-05 11:53: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오늘밤 인사는 ‘굿잠’?

    잠자리의 助演이던 베개의 位相이 높아지고 있다.

    베개 하면 어릴 적 베개싸움이 떠오르는 사람도 있겠지만, 딱딱한 木枕 또는 鴛鴦衾枕에 따라오던 繡놓인 緋緞 베개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거다. 木花솜이나 羊털이 들어간 솜 베개, 쌀이나 콩 같은 穀食을 넣은 傳統的인 베개 말고도 流行처럼 번진 메모리폼이나 라텍스 베개도 있다. 人類가 이불을 덮고 자기 始作하면서부터라 해도 틀린 말이 아닐 만큼 오래된 잠자리 道具가 바로 베개다.

    잠자리에서 이불이 主演이라면 베개는 助演이다. 하지만 最近 助演級 베개가 잠자리의 主演級으로 格上되고 있다. 甚至於 TV 홈쇼핑에서 베개가 一 年餘 만에 500億 원어치가 팔리기도 했다. 一角에선 效能에 對한 課長廣告 問題가 指摘되지만, 어쨌든 베개에 對한 關心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立證하는 事例다. 요즘엔 맞춤 베개가 流行이다. 실리콘 素材의 3次元 立體 맞춤 베개는 勿論, 睡眠 角度를 調節해 코골이나 목디스크, 一字목까지 解決해주는 베개도 있다. 베개가 萬能 解決士 같다.

    이처럼 베개에 對한 關心이 높아진 理由는 簡單하다. 우리가 잠을 잘 못 자기 때문이다. 健康保險審査評價院에 따르면 睡眠障礙로 病院을 찾은 患者는 最近 4年間 45.3% 늘어 한 해 38萬 名 程度 된다. 不眠症을 呼訴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몇 年 새 高架 매트리스나 睡眠用品 關聯 市場이 커지는 것을 지나쳐선 안 된다. 우리가 가진 日常의 不滿이자 不便의 證據이며, 누군가에겐 엄청난 비즈니스 機會이기 때문이다.

    호텔 서비스를 집에서 누리는 方法

    오늘밤 인사는 ‘굿잠’?
    얼마 前 아내에게 未安한 일이 있었다. 有名한 高級 寢臺 브랜드에서 패밀리세일을 했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못 갔다. 세일을 한다지만 如前히 비싸고, 쓰던 寢臺가 멀쩡하니 굳이 살 必要를 느끼지 못한 까닭이다. 그러나 夜勤이 잦은 아내가 不眠에 시달리는 밤이 많다는 걸 暫時 잊었다. 平素 아내는 特級호텔 寢臺를 집에 들여놓고 싶어 했다. 호텔이 주는 適當한 便安함과 익숙함, 깨끗하게 整頓된 느낌을 좋아해서다.



    그리고 호텔 寢臺를 보라. 아주 크고, 높고, 푹신하다. 寢具는 每日 갈아주지 않으면 안 되는 화이트 컬러다. 이런 것을 집에 들여놓는 瞬間 일거리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負擔感 때문에 선뜻 選擇할 勇氣가 나지 않았다.

    事實 매트리스나 寢具는 消耗品이다. 洗濯과 殺菌이 必要하고 定期的으로 交替해야 한다. 現代人에게 집은 잠을 자기 위한 空間이기도 하다. 每日 집에서 가장 많은 時間을 쓰는 것이 잠이며, 하루라도 자지 않고는 견디기 어렵다. 그러니 잠과 關聯한 部分에 投資하는 것은 집에 對한 投資 中 가장 效率性이 높은 셈이다.

    집에서 쓰는 寢具의 먼지를 靑素旗로 빨아들인 後 電子顯微鏡으로 보면 細菌性 微細먼지나 집먼지 진드기가 놀랄 만큼 많다는 얘기를 숱하게 듣는다. 그런 內容을 다룬 映像을 보노라면 寢具가 끔찍할 程度로 더럽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처럼 每日 使用하는 寢具의 끔찍한 衛生 狀態가 알려질수록 寢具 衛生을 책임지는 비즈니스도 脚光받는다. 매트리스 렌털 및 淸掃 殺菌 서비스, 特級호텔의 하우스키퍼처럼 定期的으로 寢具를 洗濯 및 交替해주는 서비스 等이 있다. 이것이 누군가에겐 게으른 사람의 奢侈로 보이겠지만 또 누군가에겐 日常의 幸福을 위한 작은 奢侈다. 왜냐하면 寢臺 시트에 投資하는 것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닌, 穩全히 自身만을 위한 投資이기 때문이다.

    最近 우리나라에도 有料 睡眠房이 登場했다. 暫時 낮잠이나 쪽잠을 즐기려는 사람을 위한 서비스다. 서울 종로구 季冬의 睡眠房은 1時間에 5000원이다. 疲困하면 事務室 冊床에 엎드려 자면 그만이지, 뭣 하러 돈까지 내면서 낮잠을 자느냐고 疑訝해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事務室에서 便히 낮잠 잘 수 있는 사람이 果然 얼마나 될까. 自己 房이 따로 있는 任員級이 아니고서야 남 눈치 보지 않고 暫時나마 낮잠의 餘裕를 누리긴 어렵다. 그러니 5000원을 내고서라도 密度와 質이 다른 잠을 字古字 하는 것이다.

    有料 睡眠房 또는 낮잠放은 두바이國際空港을 비롯해 여러 國際空港에서 種種 볼 수 있다. 파리, 런던, 뉴욕, 도쿄 等 國際化된 都市에서는 이미 오래前부터 施行하고 있는 서비스다. 日常의 쉼標를 제대로 찍고자 하는 사람에게 有料 睡眠房은 짧지만 質 좋은 잠을 保障한다. 서울에서 얼마나 장사가 잘될지는 알 수 없지만 現代人에게 必要한, 可能性 있는 事業인 것은 分明하다.

    韓國人은 世界的으로 睡眠時間이 가장 짧고, 勞動時間은 가장 길다. 經濟協力開發機構(OECD) 會員國 中 睡眠時間이 가장 긴 나라는 프랑스로 8時間 50分이고, 우리는 가장 짧은 7時間 49分이다. OECD 會員國 가운데 7時間帶의 睡眠時間을 가진 건 韓國과 日本뿐이다. 靑少年은 入試 工夫하느라 못 자고, 職場人은 夜勤이나 會食을 하느라 늘 잠이 不足하다.

    오늘밤 인사는 ‘굿잠’?

    2014年 5月 19日 서울 中區 롯데百貨店 本店에 생긴 健康 睡眠숍(왼쪽). 韓國人에게 낮잠은 日常의 基本이 될 豪奢다.

    熟眠을 爲한 投資 아깝지 않아

    韓國人의 年平均 勞動時間은 2013年 2163時間으로, OECD 34個 會員國 中 멕시코(2237時間)에 이어 2位를 記錄했다. 한동안 繼續 1位를 固守하다 週 5日 勤務制 導入으로 아슬아슬하게 2位로 밀려났지만, 事實 우리에게는 숨겨진 勞動時間인 日常的 夜勤이란 게 있어 事實上 1位라 해도 過言이 아니다. OECD 34個 會員國의 平均 勞動時間은 1770時間이며, 우리는 이보다 393時間 더 일하고 있다. 하루 8時間 勞動으로 換算하면 49一致다. OECD 會員國 中 네덜란드가 1380時間으로 가장 적은 勞動時間을 記錄했다. 獨逸, 노르웨이, 덴마크, 프랑스 等이 1400時間帶 以下를 자랑하는데, 유럽 先進國의 勞動時間이 全般的으로 짧다. 美國은 1788時間, 日本은 1735時間, 英國은 1669時間 等으로 平均에 가까웠다.

    우리는 덜 자고 더 일하는 나라다. 잠의 量이 적으면 質이라도 더 높이려 애써야 하지 않겠나. 當場 자는 時間을 늘리지 못한다면 充分한 熟眠을 위해 鍼灸에 돈 좀 써도 되지 않을까.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는 말을 달리 解釋하면, 일찍 일어난 새가 일찍 疲困하다는 뜻이기도 하고, 일찍 일어난 벌레는 괜히 새한테 잡아먹힌다는 意味이기도 하다. 괜히 모두가 일찍 일어날 必要는 없다. 우리는 일찍 일어나는 걸 勤勉誠實하고 좋은 이미지로 刻印하고 있지만, 創造가 비즈니스의 重要한 話頭가 된 只今은 熟眠이 必要하고, 種種 멍 때리는 餘裕도 必要하다. 잘 쉬고 잘 자는 게 무엇보다 重要해진 時代에 잠을 위한 奢侈는 모두가 關心 가져볼 日常의 基本이 될 豪奢다.

    代替財가 없는 消費는 價格과 相關없이 奢侈가 아니다. 모든 奢侈와 趣向은 代替財가 있는 狀況에서 만들어진다. 寢具라고 비싼 寢臺만 있는 게 아니다. 베개나 이불 하나부터 甚至於 睡眠量발이나 잠옷에 이르기까지 各自가 選擇할 수 있는 環境 內에서 奢侈를 누려보는 것도 方法이다. 잘 자는 것이야말로 日常의 豐饒를 위한 最高 選擇이기 때문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