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뚝방길은 詩, EAST는 小說” 김중만이 바라본 自然|東亞日報

“뚝방길은 詩, EAST는 小說” 김중만이 바라본 自然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12月 25日 03時 00分


코멘트

故 김중만 寫眞作品 스위스 展示
亞 自然 담은 ‘EAST’ 聯作 公開

肺炎으로 鬪病하다 지난해 12月 31日 世上을 떠난 寫眞家 김중만(1954∼2022·寫眞)의 作品이 스위스 바젤에서 觀客을 만나고 있다. 스위스 바젤 H 가이거 文化財團(KBH.G)에서 1日(現地 時間) 開幕한 ‘그럼에도 우리는 같은 별을 보았다’ 展示에선 김중만의 作品 總 35點을 선보인다. 이 展示는 1975年 프랑스 展示 後 유럽에서 40餘 年 만에 열리는 김중만의 個人展으로, 김중만은 病床에서도 마지막까지 展示를 準備한 것으로 알려졌다.

展示는 그間 패션이나 廣告 寫眞으로 알려진 김중만의 藝術家的 面貌를 集中 照明한다. 東洋의 原初的 아름다움을 담은 ‘EAST’ 시리즈와 서울 중랑천 둑길을 담은 ‘뚝방길’ 시리즈가 걸렸다. 總 11點을 선보이는 EAST 시리즈는 2015年 프랑스 파리 白夜 藝術 祝祭 當時 프랑스 國立東洋博物館(세르뉘시詩博物館에 單 2點이 紹介된 것을 除外하면 처음 公開된다.

김중만의 스위스 바젤 개인전 ‘그럼에도 우리는 같은 별을 보았다’가 개막한 1일(현지 시간) 관객이 ‘EAST’ 시리즈를 감상하고 있다. 작품은 베트남 할롱베이를 담은 ‘모든 사람은 섬이다’. 바젤 H 가이거 문화재단 제공
김중만의 스위스 바젤 個人展 ‘그럼에도 우리는 같은 별을 보았다’가 開幕한 1日(現地 時間) 觀客이 ‘EAST’ 시리즈를 鑑賞하고 있다. 作品은 베트남 할롱베이를 담은 ‘모든 사람은 섬이다’. 바젤 H 가이거 文化財團 提供
김중만은 英國의 有名 寫眞作家 마이클 케냐가 아시아의 風景을 담은 寫眞을 보고, 東洋을 가장 잘 表現할 수 있는 사람은 東洋人뿐이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以後 韓國의 濟州島를 비롯해 白頭山, 中國 黃酸과 장자제, 베트남 할롱베이 等을 寫眞에 담았다. 白頭山을 撮影할 때는 中國 公安에게 거듭 制裁를 받았지만 午前 2時에 조용히 山을 올라 마침내 願하는 場面을 捕捉했다.

EAST 시리즈는 높이 2m, 幅 4m가 넘는 大作으로, 各 作品은 프레임을 包含해 무게가 600∼700kg에 達한다. 作品은 獨逸 뒤셀도르프 그리거 工房에서 印畫됐다. 포트폴리오 審査를 거쳐 通過한 作家만 利用할 수 있는 그리거 攻防은 안드레아 거스키, 토마스 루프 等 世界 有名 寫眞家들이 顧客인 것으로 有名하다.

24點을 선보이는 ‘뚝방길’ 시리즈는 김중만이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집에서 江南區 淸潭洞 作業室로 向하면서 만난 나무들을 담았다. 트럭이 다니는 비좁은 이 길을 처음엔 지저분하다고 느꼈지만, 漸次 흙먼지와 傷處로 뒤덮인 나무들의 아름다움을 느껴 10年 동안 천천히 記錄했다. 2019年 서울 松坡區 뮤지엄韓美 房이에서 個人展으로 이 시리즈를 선보일 때 그는 뚝방길을 ‘나의 聖地’라고 稱했다.

김중만은 展示를 準備하며 “뚝방길이 詩라면 EAST는 小說”이라며 “뚝방길은 내 마음을, EAST는 나의 世界를 表現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 展示 題目 ‘그럼에도 우리는 같은 별을 보았다’는 寫眞 속 風景이 東西洋 區分 없이 모두가 느끼는 마음과 感情을 담았다는 意味다.

財團은 스위스 바젤의 個人 所長價가 가진 김중만의 作品을 보고 그의 展示를 열게 됐다.박성희 바젤 H 가이거 文化財團 컨설턴트는 “김중만이 熱情的으로 展示를 準備하다 世上을 떠나 모두가 衝擊을 받았다”며 “最善을 다해 展示를 여는 것만이 그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김중만은 商業 寫眞으로 成功 街道를 걷다 2006年 고비 沙漠으로 떠나 藝術家로서 轉換點을 맞았다”며 “그 以後 寫眞을 통해 藝術家로서 김중만을 보여주고자 했다”고 덧붙였다. 來年 2月 11日까지. 無料.



김민 記者 kimmin@donga.com
#故김중만 #寫眞作品 #스위스 展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