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軍, 衛星 搭載한 固體燃料 宇宙發射體 發射 成功|東亞日報

軍, 衛星 搭載한 固體燃料 宇宙發射體 發射 成功

  • 東亞닷컴
  • 入力 2023年 12月 4日 14時 03分


코멘트
4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남방 해상에서 우리 군이 한국형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3차 시험발사를 실시하고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시험발사는 국방과학연구소(ADD)가 개발한 한국형 고체연료 발사체의 소형 인공위성 발사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제주도 중문으로부터 4㎞ 남쪽 해상에 설치된 바지선에서 진행됐으며 군이 쏘아 올린 발사체엔 한화시스템에서 개발한 지구관측용 소형 인공위성이 탑재됐다. 2023.12.4/뉴스1
4日 午後 濟州 西歸浦市 南方 海上에서 우리 軍이 韓國型 固體燃料 宇宙發射體 3次 試驗發射를 實施하고 있다. 國防部에 따르면 이날 試驗發射는 國防科學硏究所(ADD)가 開發한 韓國型 固體燃料 發射體의 小型 人工衛星 發射 性能을 檢證하기 위해 濟州島 중문으로부터 4㎞ 南쪽 海上에 設置된 바지船에서 進行됐으며 軍이 쏘아 올린 發射體엔 韓華시스템에서 開發한 地球觀測用 小型 人工衛星이 搭載됐다. 2023.12.4/뉴스1

純粹 國內 技術로 開發한 ‘固體 推進 宇宙發射體’의 3次 試驗發射가 4日 成功했다. 國防部는 이날 午後 “濟州島 隣近 海上에서 國防科學硏究所의 固體推進 宇宙發射體 技術을 活用한 民間 常用 衛星 發射가 成功的으로 完了됐다”고 傳했다. 앞서 지난해 3月과 12月에 固體推進 宇宙發射體 1·2次 發射 成功에 이어 最終 試驗發射까지 成功한 것이다.

이番 發射는 民間企業(韓華시스템) 主管 下에 이뤄진 發射로, 國防科學硏究所가 開發 中인 固體推進 發射體와 軌道進入 基盤 技術을 바탕으로 民間企業이 發射體 및 衛星을 製作해 實際 發射를 進行했다. 이는 衛星과 發射體 技術을 連繫한 첫 ‘閔·官 원팀(One Team)’ 協力 事例다. 民間이 主導하는 뉴스페이스 産業 活性化 支援을 위한 模範事例로 評價할 수 있다고 國防部는 傳했다.

國防部는 “이番 發射는 固體推進 宇宙發射體의 3次 試驗發射를 겸한 發射로 固體推進 發射體 技術 開發의 核心成果 達成을 立證했다는 點에서 意義가 크다”며 “더미(某의) 衛星을 搭載했던 2次 試驗發射와 달리 最初로 實使用 衛星을 搭載해 宇宙 軌道에 投入하는 데 成功함으로써 推進機關別 性能檢證을 包含한 固體推進 發射體 開發의 核心技術 大部分을 檢證하는 데 成功했다”고 說明했다.

앞서 北韓은 지난달 21日 軍事偵察衛星 萬里鏡1號를 發射했다. 우리 軍도 지난 2日 새벽 美國 캘리포니아 所在 반덴버그 우주군 基地에서 첫 獨自 偵察衛星 發射에 成功했다. 國防部는 “北韓이 偵察衛星을 發射하는 等 安保威脅을 持續하고 있는 狀況에서 이番 固體推進 宇宙發射體 發射 成功은 韓國型 3軸 體系의 核心인 宇宙基盤 監視偵察能力 確保를 加速化하는 데에 寄與할 것”이라고 했다.

4일 오후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한국형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를 실시했다. 발사체엔 한화시스템에서 개발한 지구관측용 소형 인공위성이 탑재됐다. 독자 제공
4日 午後 濟州島 隣近 海上에서 ‘韓國型 固體燃料 宇宙發射體’의 3次 試驗發射를 實施했다. 發射體엔 韓華시스템에서 開發한 地球觀測用 小型 人工衛星이 搭載됐다. 獨自 提供
4일 오후 제주도 인근 해상에서 ‘한국형 고체연료 우주발사체’의 3차 시험발사를 실시했다. 발사체엔 한화시스템에서 개발한 지구관측용 소형 인공위성이 탑재됐다. 독자 제공
4日 午後 濟州島 隣近 海上에서 ‘韓國型 固體燃料 宇宙發射體’의 3次 試驗發射를 實施했다. 發射體엔 韓華시스템에서 開發한 地球觀測用 小型 人工衛星이 搭載됐다. 獨自 提供


조혜선 東亞닷컴 記者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