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人家族 移民 過程, 偏見 없이 率直하게… ‘第2의 미나리’ 注目|東亞日報

韓人家族 移民 過程, 偏見 없이 率直하게… ‘第2의 미나리’ 注目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0月 12日 03時 00分


코멘트

釜山映畫祭 韓國系 監督 作品 2題
‘라이스보이 슬립스’
‘LA 酒類가게의 아메리칸 드림’

영화 ‘라이스보이 슬립스’에서 캐나다로 이민 간 소영(최승윤)이 아들 동현(도현 노엘 황)에게 한국 고전소설 심청전을 읽어주는 
모습(위 사진). 아래 사진은 ‘LA 주류가게의 아메리칸 드림’에 나온 엄소연 감독(왼쪽)과 그의 아버지. 엄 감독 아버지는 
실제로 LA에서 주류가게를 운영한다. 부산국제영화제 제공
映畫 ‘라이스보이 슬립스’에서 캐나다로 移民 간 소영(최승윤)李 아들 同縣(도현 노엘 黃)에게 韓國 古典小說 沈淸傳을 읽어주는 모습(危 寫眞). 아래 寫眞은 ‘LA 酒類가게의 아메리칸 드림’에 나온 엄소연 監督(왼쪽)과 그의 아버지. 嚴 監督 아버지는 實際로 LA에서 主流가게를 運營한다. 釜山國際映畫祭 提供
‘第2의 미나리.’

14日까지 열리는 第27回 釜山國際映畫祭(BIFF)에 招請된 두 映畫에 붙은 別稱이다. 韓國系 美國人 엄소연 監督(33)의 다큐멘터리 ‘LA 酒類가게의 아메리칸 드림’과 韓國系 캐나다人 앤서니 沈 監督(36)의 ‘라이스보이 슬립스’가 그 主人公. 두 作品 모두 韓人 家族의 移民 定着 過程을 다룬다는 點에서 俳優 尹汝貞에게 아카데미 女優助演賞을 안겨준 映畫 ‘미나리’에 비견되며 큰 關心을 받고 있다.

‘라이스보이 슬립스’는 婚姻申告도 하기 前에 男便과 死別하는 바람에 싱글맘이 된 소영(최승윤)李 1990年 먹고살겠다는 一念으로 初等學生 아들 同縣(도현 노엘 黃)과 캐나다 밴쿠버로 떠나는 이야기로 始作한다. 同縣은 도시락으로 김밥을 싸왔다는 理由로 ‘라이스보이’라고 놀림받으며 人種差別을 當한다. 소영은 工場에서 내내 서서 일하며 살기 위해 안간힘을 쓰지만 移民 生活 9年 만에 얻은 건 膵臟癌 4期 診斷. 實際 8歲 때 移民 간 沈 監督은 觀客과의 對話에서 “내가 겪은 이야기와 다른 移民者들의 經驗을 녹여 만들었다”고 했다.

後半部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은 소영이 同縣과 함께 10年 만에 媤父母를 만나러 韓國에 오는 內容으로 채워진다. 캐나다에서의 모습은 1.33 對 1, 卽 過去 TV 畵面 比率로 답답한 느낌이 들게끔 담아낸 反面 韓國은 탁 트인 畵面에 담아냈다. 沈 監督은 “캐나다라는 큰 땅에 사는 移民者들의 외로움을 强調하고 싶어 좁은 畵面을 擇했다”며 “韓國 땅은 좁지만 解放感을 주는 만큼 큰 畵面에 담았다”고 했다.

‘LA 酒類가게의 아메리칸 드림’은 1960, 70年代 美國으로 건너간 뒤 로스앤젤레스(LA)에서 主流가게를 연 ‘酒類가게 1世代’와 이들의 子女 이야기를 다룬다. 1980年代 로스앤젤레스 南部 地域 酒類가게 運營者의 75%가 韓人日 程度로 酒類가게는 아메리칸 드림의 象徵이었다. 嚴 監督은 最近 本報와의 인터뷰에서 “나도 LA ‘酒類가게 베이비’”라며 “내가 가장 잘 아는 이야기를 다뤄 보고 싶었다”고 했다. 이어 “‘폴링다운’(1993年) 等 1980, 90年代 할리우드 映畫 相當數는 韓人 가게 主人을 우스꽝스럽고 偏狹한 캐릭터로 描寫해 왔다”며 “移民者 立場에서 우리를 제대로 다뤄 보고 싶었다”고 했다.

1992年 로스앤젤레스 黑人 暴動의 原因을 韓人, 黑人 等 누구의 잘못도 아닌 美國 司法 시스템의 問題로 짚어낸 點도 눈에 띈다. 酒類가게를 이어받은 2世와 嚴 監督처럼 꿈을 좇아가는 2世 等 子女 世代의 다양한 모습도 보여준다.


釜山=손효주 記者 hjson@donga.com
#釜山映畫祭 #라이스보이 슬립스 #la 酒類가게의 아메리칸 드림 #미나리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