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젠 로봇손 없어도 돼… 세준이 百日잔치 期待 커요”|동아일보

“이젠 로봇손 없어도 돼… 세준이 百日잔치 期待 커요”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4月 9日 03時 00分


코멘트

[리퍼트 美大使 인터뷰]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가 7일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자신의 왼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그는 한국어로 “손이 조금 피곤해요. 로봇 손 없어요”라며 일반 보호대를 착용한 이유를 밝혔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마크 리퍼트 駐韓 美國大使가 7日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自身의 왼팔 狀態를 說明하고 있다. 그는 韓國語로 “손이 조금 疲困해요. 로봇 손 없어요”라며 一般 保護臺를 着用한 理由를 밝혔다. 박영대 記者 sannae@donga.com
“봄 날씨 같네요. 歡迎합니다. 오늘은 로봇 손 없어요.(웃음)”

7日 이뤄진 마크 리퍼트 駐韓 美國大使 인터뷰는 韓國語 人事말을 始作으로 끝날 때까지 生氣가 넘쳤다. 3月 5日 被襲 뒤 한 달이 지나 한 時間餘 進行된 인터뷰는 韓國人에게 습격당한 美國大使가 韓國과 韓國人에게 監査하는, 逆說的이지만 意味 있는 자리였다.

被襲 當時 그는 오른쪽 뺨에 길이 11cm, 깊이 1∼3cm의 裂傷(찢긴 傷處), 왼팔에 貫通傷, 손등·손가락·오른쪽 허벅지 等에 자상(찔린 傷處) 等 總 6곳을 다쳤다. 하지만 다시 만난 大使는 生死를 넘나들었다고 하기 어려울 程度로 快活했다. 補助器具를 낀 왼손을 ‘로봇 손’이라고 弄談할 만큼 餘裕도 있었다. “萬若 내가 그런 攻擊을 받았다면 精神的, 肉體的으로 그렇게 빨리 日常으로 돌아올 수 있었을까. 리퍼트 같은 人物이 駐韓 大使여서 多幸”이라던 高位 韓國 外交官의 言及이 떠올랐다. 그는 裁判에 影響을 줄 수 있다며 事件에 對한 具體的은 發言은 避했다.

○ “아들 百日잔치 準備해요”


―只今 健康은 어떤가.

“運이 좋았다. 現場에서 對處를 잘했고 훌륭한 醫療陣 德分에 몸 狀態가 좋아 業務에도 잘 復歸했다. 손의 保護 장구를 풀기까지 數個月, 感覺이 完全히 돌아오기까지는 1年이 좀 넘게 걸릴 것 같다.”

그러면서 “(醫療陣은) 結局 100% 正常으로 돌아올 것으로 期待한다”며 활짝 웃었다. 言論에 話題가 됐던 로봇 손은 着用할 때도 있고, 벗을 때도 있다고 한다.

―夫人과 家族이 不安해하지 않나.

“(1月에 태어난) 세준이는 아직 狀況을 잘 모르고(웃음), 그저 ‘牛乳 주세요(한국어)’라고 한다. 로빈度 韓國 生活에 滿足하고 있다. 父母님도 우리가 서울에서 勤務하는 點을 자랑스러워하신다.”

―이달 末이면 아들이 태어난 지 100日인데….

“(百日)잔치를 準備하고 있다. ‘丈母님이 세준 韓服 샀어요(한국어)’. 外交官 同僚들을 招待하고 百日 떡도 만들 거다. 期待된다.”

○ “민화협 行事 招請에 다시 應하겠다”

事件 以後 安全 問題에 對해 “身邊 安全은 全혀 걱정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愛犬 ‘그릭스비’를 데리고 散策하거나 사람들을 만나는 예전 生活로 돌아왔다고 했다. 그릭스비는 이날은 데려오지 않았다.

―100% 日常으로 돌아온 것인가.

“大部分 돌아왔는데 兩손으로 他者를 치는 건 不便하다. 力器도 들 수 없다. 세준이 기저귀 가는 것이나 집안일을 못 하는 좋은 핑계가 되고 있다. 로빈에게는 잘 안 통한다는 게 問題이지만(웃음). 2, 3個月이면 完全히 日常으로 復歸할 것 같다.”

―行事를 主催한 民族和解協力汎國民協議會(민화협)가 被襲 事件에 對해 未安해하는데 다시 민화협 行事에 應할 생각인가.


“민화협 常任代表인 張倫碩, 설훈 議員이 官邸를 訪問해 좋은 對話를 했다. 特히 犯人을 制壓한 張 議員에게 뭐라고 感謝해야 할지 모르겠다. 민화협이 다시 부른다면 즐겁게 招請을 받아들이겠다.”

리퍼트 大使는 被襲 當日 病院 移送에 도움을 준 本報 記者에게도 “조숭호 記者가 自身을 돌보지 않고 決斷力 있게 도와주었다”며 各別한 感謝의 뜻을 나타냈다.

―被襲 當日 트위터에 한글로 ‘같이 갑시다’라고 쓸 생각을 어떻게 했나.

“그냥 마음에 떠올랐고 마음이 시키는 대로 했다. 나와 로빈은 事件 直後 보여 준 韓國人들의 聲援을 絶對 잊지 못할 것이다.”

○ “韓美, 韓中 關係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리퍼트 大使는 버락 오바마 美國 大統領의 最側近이다. 上院議員 時節 補佐官으로 因緣을 맺었고 大選 캠페인, 白堊館 生活을 같이했다. 오바마 大統領과의 親分이 부담스럽지 않으냐고 묻자 “大統領은 被襲 後 몇 分 만에 病院으로 電話를 걸어 주고 大使 就任 宣誓할 때 찾아온 좋은 親舊다. 하지만 ‘왜 大統領과 자주 弄口하지 않느냐’고 물을 때면 곤혹스럽다. 恒常 大統領이 나를 이기기 때문(웃음)”이라고 말했다.

―朴槿惠 政府가 中國에 기울어져 있다는 一部 指摘에 對해 어떻게 생각하나.

“美國은 韓中이 좋은 關係를 갖기 願한다. 韓美, 韓中 關係는 제로섬 게임이 아니다. 그렇게 이 地域의 모든 國家가 다 잘 지낼 수 있다.”

―美國의 거듭된 再考 要請에도 韓國은 最近 中國 主導의 아시아인프라投資銀行(AIIB) 加入을 決定했는데….

“韓國이 決定할 主權 事項이다. 다만 美國은 旣存의 多者開發銀行(MDB·아시아開發銀行 等을 뜻함)에 集中하고 있다. 美 議會는 1990年代부터 環境 勞動 基準에 깊은 關心을 갖고 있다. 特히 (인프라를 必要로 하는) 低開發國에는 이런 基準이 重要하다. 앞으로 韓國과의 緊密한 協議를 期待한다.”

리퍼트 大使는 高高度미사일防禦(THAAD·사드) 體系의 韓半島 配置 問題에 對해선 “그동안의 公式 發表 外에 오늘 덧붙일 말이 없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독자에 감사 메시지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는 7일 인터뷰를 마친 뒤 동아일보 독자들에게 “동아일보 독자 여러분,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ML(마크 리퍼트)”이라고 인사를 전했다.
동아일보 讀者에 感謝 메시지 마크 리퍼트 駐韓 美國大使는 7日 인터뷰를 마친 뒤 동아일보 讀者들에게 “동아일보 讀者 여러분, 持續的인 關心과 聲援에 感謝드립니다. ML(마크 리퍼트)”이라고 人事를 傳했다.

○ “워싱턴에 韓國 疲勞感 없다”

―韓日 歷史 葛藤 속에 韓國에선 資金力을 앞세운 日本의 로비가 美國 政治權에 影響을 미칠 것으로 憂慮하고 있다.

“數年間 白堊館과 議會에서 勤務하면서 지켜봤지만 韓國은 尊重받고 있다. 東北亞 이슈는 勿論 主要 事項을 決定할 때 美國은 恒常 韓國 政府와 緊密히 協議한다. 韓國의 목소리는 美國에 잘 傳達되고 있다.”

―워싱턴에 ‘韓國 疲勞感(韓國은 歷史 問題만 反復한다)’ 症狀이 있나.

“나는 全혀 보지 못했다. 韓美 間 高位級 對話의 頻度를 보라. 合參議長, 美國 國務部 副長官 等 美 當局者들도 韓國 訪問을 期待한다. 朴槿惠 大統領의 美國 上下院 合同 演說은 就任 3個月 만에 이뤄졌다. 前例가 없는 일이다.”

올해 朴槿惠 政府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라는 이름으로 많은 事業을 準備 中이다. 韓半島에서 出發해 시베리아를 貫通하는 ‘유라시아 親善 特級’ 鐵道 連結 行事, 羅津(北)∼하산(러시아) 間 鐵道 連結 事業 投資 等이 이뤄질 豫定이다. 美國이 우크라이나 事態로 對러 制裁를 斷行 中인 狀況에서 한-러 關係 進展을 美國이 憂慮하지 않느냐고 물었으나 大使는 “制裁에 對해 韓國과 緊密히 協議가 이뤄지고 있고 이 點을 滿足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숭호 shcho@donga.com·김영식 記者
#리퍼트 #인터뷰 #로봇손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