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記者의 눈/차지완]‘規制 電報대’ 뽑아낸 認證마크 單一化|東亞日報

[記者의 눈/차지완]‘規制 電報대’ 뽑아낸 認證마크 單一化

  • 入力 2008年 8月 26日 03時 01分


市中에서 販賣되는 螢光燈의 包裝材를 有心히 살펴보면 K, UL, SA, FC 等이 標示된 것을 發見할 수 있다. 製品의 性能이나 安全을 保障하는 認證마크이지만 電氣 技術者나 關聯業 從事者가 아니면 좀처럼 分揀하기 힘든 標示들이다.

이런 認證마크는 螢光燈뿐 아니라 우리가 日常에서 使用하는 거의 모든 工産品에 붙어 있다. 檢, MIC, 안, EK, KPS 等을 携帶電話機와 電子製品, 노트북, 乳母車 等에서 確認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政府가 이처럼 亂立하는 認證마크를 ‘KC(Korea Certification)’로 單一化하고 認證 節次도 大幅 簡素化하는 等 本格的으로 認證 規制 改善作業에 나섰다.

▶本報 25日子 A1面·5月 30日子 A1面 參照

自國(自國)의 國家標準을 世界標準으로 採擇하려는 世界標準競爭은 갈수록 熾烈해지고 있다. 이런 現實을 떠올리면 ‘너무 늦었다’는 느낌도 들지만 只今이라도 對策을 마련한 것은 다행스러운 決定이다.

政府가 이番에 ‘手術臺’에 올린 認證마크는 K처럼 附着하지 않으면 市場에 팔 수 없는 法廷 强制 認證마크다. 政府가 消費者 保護를 名分으로 競爭的으로 導入한 結果 10個 部處가 39個 分野에서 13個 法廷 强制 認證마크를 運營하고 있을 程度다.

제대로 알지도 못하는 認證마크가 늘면서 消費者의 混亂은 加重됐고, 비슷한 認證을 받기 위해 重複 審査를 甘受해야 하는 企業의 負擔은 커져만 갔다.

그동안 이런 認證마크를 先進國처럼 統合 運營하자는 목소리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하지만 引證 權限은 該當 部處 公務員의 ‘밥그릇’이어서 産業界에서는 오랜 期間 뽑히지 않았던 ‘認證 規制의 電報대’로 불리기도 했다.

이러는 동안 美國은 ‘UL’, 유럽聯合(EU)은 ‘CE’, 中國은 ‘CCC’ 等으로 認證마크를 單一化하고 世界的 認證 브랜드로 育成하고 있다. 이는 該當國과의 貿易에서 ‘與圈’ 役割을 하기 때문에 韓國의 輸出企業들은 每年 莫大한 費用을 認證 獲得에 쏟아 붓는 實情이다.

이番 引證 規制 改善作業이 完了되면 企業 負擔은 7900億 원 節減되고, 認證을 받는 데 必要한 期間도 平均 5.5個月에서 4個月로 短縮된다는 게 政府의 推算이다. 國家統合引證마크의 誕生을 契機로 ‘企業 하기 좋은 나라’를 위한 規制 改革 速度가 더욱 빨라지고, KC가 韓國의 國家標準을 알리는 世界的 브랜드로 발돋움하길 期待해 본다.

차지완 産業部 c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