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르신 디지털 活用 돕는 ‘案內社’ 뜬다|동아일보

어르신 디지털 活用 돕는 ‘案內社’ 뜬다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4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앱으로 飮食注文… 줌 畫像會議… 키오스크 飮料注文…
서울市, 公園-映畫館 等에 100名 配置… 老人에게 디지털 機器 使用法 說明
‘디지털배움터’ ‘디지털 體驗존’ 運營… AI活用 맞춤型 敎育시스템 導入

한 노인이 서울 강동구 성내종합 사회복지관에서 디지털 교육을 받고 있다. 동아일보 DB
한 老人이 서울 강동구 성내綜合 社會福祉館에서 디지털 敎育을 받고 있다. 東亞日報 DB
老人들이 많이 利用하는 서울市 公園이나 映畫館 等에 디지털 機器 使用法을 알려주는 ‘디지털 案內社’가 配置된다. 人工知能(AI) 講師가 디지털 力量을 診斷한 뒤 敎育해주는 맞춤型 敎育도 이뤄진다. 市는 이 같은 內容이 담긴 ‘2022年 서울市 디지털 力量 强化 推進計劃’을 20日 發表했다. 이 計劃은 디지털 機器 使用을 어려워하는 老人들을 위해 마련됐다.

韓國知能情報社會振興院에 따르면 ‘2021 디지털情報隔差實態調査’에서 滿 55歲 以上의 디지털 情報化 水準은 一般 國民의 69.1%였다. △低所得層(95.4%) △障礙人(81.7%) △農漁民(78.1%) 等 다른 疏外階層에 비해 唯獨 낮았다. 市는 2026年까지 이들의 點數를 90點까지 올리고, 50萬 名의 高齡層에게 디지털 敎育을 한다는 計劃이다.
○ 公園, 映畫館에 ‘디지털 案內社’ 100名 配置
市는 7月부터 老人들이 자주 찾거나 모이는 ‘핫플레이스’에 ‘디지털 案內社’ 100名을 配置할 豫定이다. 受講生이 講義를 찾아 듣는 代身 直接 高齡層을 찾아가 敎育한다는 趣旨다. 이를 위해 通信社와 生活人口(서울에 살거나 出退勤 等의 目的으로 서울을 찾는 人口) 데이터를 土臺로 高齡層이 많은 公園, 散策路, 映畫館 等을 選定한다. 이 事業은 4次 産業革命 時代에 副應하는 디지털 일자리 모델 中 하나로 ‘安心일자리事業’과도 連繫해 進行된다.

滿 55歲 以上이 또래에게 디지털 機器 使用法을 알려주는 ‘어디나支援團’ 事業도 强化한다. 2019年부터 서울디지털財團이 進行했는데, 3年(2019∼2021年)間 350名의 講師가 1萬970名의 受講生을 敎育했다. 敎育 프로그램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活用 飮食 注文 △畫像會議 앱 ‘줌(Zoom)’ 設置 △키오스크 活用 카페 飮料 注文 等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以後 생긴 文化 適應을 돕는 內容이 있다. 올해는 講師 150名을 選拔해 敎育生을 지난해(8323名) 以上으로 늘릴 計劃이다.
○ AI 디지털 力量 診斷 後 맞춤型 敎育

이달부터 願하는 사람 누구나 디지털 力量 敎育을 들을 수 있도록 ‘디지털배움터’ 授業도 進行한다. 地域 住民센터, 福祉館 等 123곳의 디지털배움터에서 水準別 敎育課程을 無料로 들을 수 있다. 키오스크, 태블릿__ 等의 利用法을 體驗할 수 있는 ‘디지털 體驗존’도 이달 開館했다. 서울市廳 市民靑 內 ‘스마트서울展示館’, 九老區 ‘스마트九老弘報館’, 道峰區 倉洞아우르네 內 ‘스튜디오 體驗館’ 等 세 곳이다.

高齡層 맞춤型 敎育 콘텐츠 發掘에도 積極 나선다. AI 講師 基盤으로 受講生의 力量을 診斷해 맞춤型 敎育을 推薦하는 시스템을 올 下半期에 適用할 豫定이다. 서울디지털財團 어디나支援團의 임정빈 講師는 “같은 어르신 世代 內에서도 必要로 하는 디지털 敎育의 種類가 다르다”며 “80代는 敎育보다도 말벗이 되어주길 願하고 60代는 只今 當場 必要한 機能을 배우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市는 個別 力量 診斷과 敎育 콘텐츠를 한 番에 利用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構築할 計劃이다.

박종수 서울市 스마트都市政策官은 “어르신들이 디지털 社會의 一員으로 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社支援 記者 4g1@donga.com
#어르신 #디지털 活用 #案內社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