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헌영 강원대 總長 “地域大學 안에 革新成長 센터 學生-地域民 일자리 據點으로”|동아일보

김헌영 강원대 總長 “地域大學 안에 革新成長 센터 學生-地域民 일자리 據點으로”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8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基調發題 김헌영 강원대 總長

現 政府의 核心 國政課題인 國立大 育成 政策을 現場 意見을 바탕으로 設定하기 위해 올 3月부터 8月까지 ‘國立大學 育成方案 共同硏究 태스크포스(TF)’를 만들었다. 本人이 委員長을 맡은 TF에는 國公立大學總長協議會, 國家敎育委員會 等에서 推薦한 20餘 名의 專門家가 參與했다. 國立大 中長期 비전 樹立, 國立大 運營 關聯 法令 및 行政·財政的 制度 改善, 大學 네트워크 構築 等에 對한 硏究를 進行했다. TF는 高等敎育의 危機 및 現況을 把握하고 이에 對應하는 國立大의 役割과 비전 및 推進 課題를 提示한 硏究 結果를 敎育部에 提出했다.

TF는 高等敎育 危機 및 現況을 △劣惡한 敎育·硏究 環境 △基礎學問 枯死 및 高等敎育 市場化 △地方 空洞化 △階層移動 사다리 崩壞 △4次 産業革命 時代 일자리 消滅 等 5가지로 診斷했다.

이에 對應하는 國立大들의 役割로 △私立大 對備 劣惡한 環境에도 不拘하고 敎育·硏究의 수월性 維持 △基礎學問 保護 및 高等敎育 公共性 擴大 △地域均衡 發展의 善循環 核心 動力 提供 △階層移動 사다리 復元 △4次 産業革命 先導的 對應을 꼽았다.

劣惡한 敎育·硏究 環境을 改善하기 위한 推進 課題로는 學生 1人當 敎育費 私立大 水準 擴大를 骨子로 한 敎育 與件 改善策을 提示했다. 基礎學問 枯死 및 高等敎育 市場化에 對한 對應은 基礎學問 保護 및 高等敎育 公共性 擴大가 바람직하다는 意見을 냈으며 地方 空洞化는 地域均衡 發展을 위한 革新네트워크 構築을 통해 對應해야 한다고 指摘했다.

特히 TF는 國立大-地方自治團體 間 連繫 및 協力 채널 構築이 重要하다고 强調했으며 國立大 간 革新 네트워크 構築, 國立大-地自體-企業 連繫 體系 構築도 時急하다고 봤다. 강원대가 春川캠퍼스 遊休 用紙를 利用해 造成 中인 江原大 産學協力團知人 ‘K-CUBE’가 國立大-地自體-企業 連繫의 한 例가 될 수 있다. 9月 完工 豫定인 K-CUBE는 約 1200m² 面積에 江原大 特性化 分野와 江原道 主力産業 分野인 바이오, 醫療機器 等을 中心으로 就業과 創業의 地域産業 新生態系를 育成하는 ‘캠퍼스 産學協力團지’ 造成을 目標로 하고 있다.

K-CUBE는 江原大 學生과 地域民을 위한 일자리 創出은 勿論이고 地域産業 發展의 求心點 役割을 할 것으로 展望된다. K-CUBE는 일자리와 일거리를 創出하는 大學 主導 産學協力의 先導 모델이 될 것으로 豫想한다. 이는 地域大學에 國家均衡 發展에 必要한 多核化된 革新成長據點센터(假稱)가 들어서는 것을 意味한다.

TF는 階層移動 사다리 崩壞에 對한 對應으로 △國家奬學金 上限額의 國立大 學生 實質 受惠 保障 △低所得層 地域 優秀人材 支援 시스템 構築 △脆弱階層 學習者를 爲한 支援센터 建立 等 階層移動 사다리 復元에 힘써야 한다고 指摘했다.

4次 産業革命 時代의 일자리 消滅에 對備하기 위해서는 未來社會에 對備한 융·複合形 敎育體制 革新을 通해 4次 産業革命 時代에 先導的 對應을 해야 한다고 勸告했다.
#國立大學 育成方案 #江原大 #김헌영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