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 이야기]神話는 삶의 모둠이다|동아일보

[날씨 이야기]神話는 삶의 모둠이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1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반기성 케이웨더 예보센터장·한국기상협회 이사장
반기성 케이웨더 豫報센터長·한국기상협회 理事長
神話에는 그 當時 사람들의 생각이 묻어난다. 제우스는 人間에게 불을 가져다 준 프로메테우스에게 永遠한 刑罰을 내린다. 그리고 人間에게도 女子, 판도라(Pandora)를 만들어 罰을 준다. 人間에게 女子를 준 것이 왜 벌일까? 제우스가 婦人 헤라 女神의 바가지로 苦生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當時엔 女子는 말이 많으며, 믿음이 없다고 여겨졌던 것 같다. 게다가 好奇心까지 많아서 神들이 그렇게나 열지 말라고 當付하던 ‘판도라의 箱子’를 열었다. 그 때문에 關節炎, 痛風, 神經痛, 結核 같은 疾病은 勿論이고 嫉妬, 怨恨, 復讐心까지 人間 世上에 잔뜩 퍼졌다고 했다.

여기서 잠깐. 正말 제우스는 사람에게 女子를 주어 罰주는 데 成功한 것일까? 아니다. 女子가 있었기에 人間은 子孫을 蕃盛시키고 더 나아가 幸福에 이를 수 있게 됐다. 世上 男子들은 제우스의 罰로 오히려 福을 받았다. 女子가 없었다면 얼마나 이 世上이 索莫했을까? 판도라 箱子의 맨 밑바닥에 있던 ‘希望’으로 人類는 絶望하지 않는다.

太陽과 關聯한 神話를 보면 그 當時 사람들의 科學的 思考를 알 수 있다. 最初로 하늘을 날았던 사람이 이카로스多. 그의 아버지인 다이달로스는 크레타섬의 迷宮에 갇힌다. 脫出할 수 있는 길은 하늘을 날아오르는 方法밖에 없었다. 다이달로스는 監獄 窓으로 날아온 새들의 깃털을 모았다. 새의 큰 깃은 실로 묶고 작은 깃은 初(蜜蠟)로 붙인다. 드디어 날개가 完成되었고 다이달로스는 아들의 두 팔에 날개를 달아준다. 脫出에 成功한 이카로스는 하늘 높이 날아오른다. 神話에서는 이카로스가 太陽 가까이 올라가 날개의 초가 녹아 떨어져 죽었다고 나온다.

그런데 人類가 숨 쉬고 사는 對流圈은 높이 올라갈수록 氣溫이 急激히 낮아진다. 그러기에 神話와 달리 초는 녹지 않고 오히려 단단해진다. 當時 사람들의 科學的 思考는 太陽에 가까이 가면 더울 것이라는 水準이었다.

“太陽神 헬리오스는 每日 아침 太陽 馬車를 몰고 東쪽에서 떠올라 하늘을 가로질러 저녁에는 먼 바다 西쪽에 내립니다.” 太陽의 움직임에 對한 當時 생각이다. 헬리오스가 바람을 피우고 난 아들이 파에톤이다. 아버지를 찾아간 파에톤은 太陽 馬車를 몰게 해달라고 떼를 쓰고 結局 許諾을 받는다. 意氣揚揚하게 太陽 馬車에 올라탄 파에톤은 馬車를 끄는 말들의 反抗(?)으로 困境에 處한다. 馬車가 하늘 높이 솟아올랐다가 땅바닥으로 내리박기를 反復했다. 太陽 馬車가 땅에 가까이 닿으면 뜨거운 熱氣로 인해 江과 바다가 말라 버릴 地境이었다. 제우스는 더 以上 世界가 망가지는 것을 볼 수 없어 벼락을 던져 파에톤을 죽였다. 當時 사람들의 科學的 思考는 太陽이 地球를 돈다는 것이었다. 에티오피아인들이 皮膚가 검은 것은 이때의 熱氣로 인해 피가 살갗으로 몰렸기 때문이며, 아라비아 沙漠도 이때 생긴 것이라고 한다.

事實 地球와 太陽 거리가 只今보다 半으로 줄어들면 에너지 量은 4倍 增加한다. 皮膚가 검어지는 水準이 아니라 生存이 不可能하다. 神話에 나오는 古代人들의 事故에는 愛嬌가 있지 않은가.
 
반기성 케이웨더 豫報센터長·한국기상협회 理事長
#神話 #太陽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