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창일의 갯마을 探究]〈21〉그물에 걸린 屍身에 例를 다하다|동아일보

[김창일의 갯마을 探究]〈21〉그물에 걸린 屍身에 例를 다하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2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가엾은 주검들이 洞口 밖에 누워있다. 風浪에 배가 뒤집혔다. 바다에서 鍛鍊된 사내들은 검은 波濤의 恐怖를 느끼며 生을 마감했다. 그 주검들이 거적 위에 나란히 누웠다. 바닷가 마을은 一時에 陰散한 기운에 휩싸였다. 어둠이 깔리면 사람들은 집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바다에서 生을 마감한 주검을 두려워했다.

1980年代 初盤, 筆者가 南海의 섬에 살며 겪었던 幼年期의 記憶이다. 葬禮가 끝난 後에도 한동안 주검을 뉘었던 洞口 밖 언덕배기는 忌避의 空間이었다. 冤魂이 떠돌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洞네 조무래기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그곳을 지나다니기를 꺼렸다. 우리의 傳統的인 죽음觀에는 天壽를 누리고 집 안에서 죽음을 맞이하면 祖上神이 된다. 反面 밖에서 事故로 죽거나 婚姻을 못 하고 죽으면 客鬼, 몽달鬼, 處女귀 等의 冤魂이 된다. 冤魂은 저승으로 가지 못하고 周邊을 떠돌며 산 사람에게 害코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結婚을 못 하고 죽은 젊은 男女를 婚姻시키는 獅子婚禮式을 치르기도 했다. 죽은 이의 恨을 풀어서 산 사람의 安寧을 圖謀한 것이다.

갯마을에서의 삶은 不確實性의 連續이다. 누구나 滿船의 꿈을 품고 出港하지만 時時때때로 빈 배로 入港한다. 過去에는 날씨 豫測을 船長의 經驗에 依存했기에 豫想치 못한 風浪에 難破돼 목숨을 잃는 境遇가 茶飯事였다. 農村에 비해 漁村 住民의 삶이 不安定할 수밖에 없었다. 依支할 곳을 必要로 한 漁村 사람들은 다양한 民俗信仰에서 慰安을 얻었다.

氣象豫報의 正確度가 높아졌고, 魚群探知機 等 最新의 裝備를 裝着한 只今도 바다에 生命을 依託하고, 바다가 내어주는 만큼의 물고기를 잡을 수밖에 없는 삶의 不安定性은 如前하다. 그래서 바다를 管掌하는 龍王에게 祭를 지내기도 한다. 바다거북이 그물에 걸리면 술을 먹여 待接한 後 다시 바다로 돌려보낸다. 거북을 龍王의 代理人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칼을 바다에 떨어뜨리는 것은 龍王의 등에 칼을 꽂는 行爲로 看做되어 금기시된다. 龍王의 實在를 믿지 않더라도 거친 바다 위에서 人間은 懦弱한 存在이기에 依支할 對象을 必要로 했다. 延坪島에 居住하며 꽃게잡이 漁業을 調査할 때의 일이다. 漁船이 操業 中 屍身을 건져서 入港했다. 船員들이 屍身을 收拾해 차분히 海警에 引繼하는 모습이 印象的이었다. 延坪島에서는 每年 한두 番은 屍身이 그물에 걸려서 올라온다. 漢江, 禮成江, 臨津江에서 바다로 흘러드는 물길이 延坪島 近海를 通過하기 때문이다.

바다에서 屍身을 發見하면 배를 돌려서 船舶의 왼쪽으로 끌어올린다. 뱃사람들의 오랜 慣習이다. 屍身을 잘 거둬주면 海上 安全과 豐漁를 불러온다고 믿는다. 反面 屍身을 發見하고도 外面하면 詛呪를 받아서 물고기를 잡지 못하게 된다고 여긴다. 漁民들의 俗信(民間信仰의 一部로 呪術的 含蓄性이 짙은 信仰體系)에는 自然과 人間을 對하는 삶의 姿勢가 녹아있다. 삶과 죽음에 對한 認識, 제액과 起伏에 對한 所望, 神에 對한 人間의 敬拜와 人間에 對한 神의 態度가 담겨있다. 漁民들의 俗信은 現代人에게 迷信이고, 拒否해야 할 것으로 置簿되지만 數千 年 동안 그들과 함께하며 慰勞해 준 손길이었다.
 
김창일 國立民俗博物館 學藝硏究士
#漁民들의 俗信 #迷信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