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원의 옛글에 비추다]탐욕을 빨아먹는 파리들|東亞日報

[이정원의 옛글에 비추다]탐욕을 빨아먹는 파리들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1月 23日 03時 00分


코멘트
《貪而不知? 是用刑章明
(貪耳部지집 施用刑場名)

―이만도 ‘향산집(響山集)’》
 

추운 겨울에는 파리가 없지만 날이 따뜻해지면 무척 귀찮은 것이 파리이다. 요즘에는 웬만하면 防蟲網이 設置돼 있고 各種 防止裝置가 있어 귀찮음을 덜 수 있다. 하지만 시원한 바람을 맞이하기 위해선 반드시 門을 열어야 했던 옛날에는 그 성가심을 堪當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얼마나 귀찮음이 甚했던지 많은 文人들의 文章과 詩에도 심심치 않게 素材로 登場한다.

舊韓末의 文臣이자 學者였던 이만도는 ‘파리를 잡다(捕蠅)’란 詩를 남겼다. 앵앵거리는 파리 때문에 便히 잠을 잘 수 없어 木枕에 파리를 誘引할 먹이를 두었다가 파리가 몰려들면 신발로 내려치기를 反復하며 파리를 잡았지만 繼續해서 몰려드는 파리를 當해낼 수가 없었다. 그러다 이웃사람이 새로운 方法을 알려주었는데, 毒藥인 飛翔을 물에 타서 놓아두는 것이었다. 그러자 파리들은 먹는 데만 精神이 팔려 自身이 죽는 줄도 모르고 몰려들었고 큰 힘을 들이지 않고 파리를 잡게 되었다고 했다. 詩의 마지막은 “너희들의 本性도 本來 죽는 걸 싫어하고 나의 마음 또한 살리는 걸 좋아하지만, 貪慾하여 멈출 줄 모르기에 刑罰을 분명하게 하였네”라는 말로 마무리된다.

朝鮮 後期의 學者 유의건(柳宜健)의 ‘火계집(花溪集)’에도 어떤 山僧이 같은 方法으로 파리를 撲滅하는 모습을 素材로 한 글이 있는데, 탐욕스러운 人間에 對한 評價로까지 思考를 擴張하고 있다. “먹을 것을 탐하여 飮食 안에 毒이 있다는 것도 몰랐구나. 아, 파리는 微物이라 이러한 行動이 怪異할 것이 없지만, 世上에 財物을 탐하다가 스스로 죽음을 招來하는 者는 모두 파리와 같은 者들이로다.” 그리고 파리는 사람이 誘引하여 죽인 것이지만 이러한 사람들은 스스로 죽음을 招來한 것이기에 오히려 파리만도 못하다는 말을 마지막에 덧붙이며, 利益을 탐하면서 제 죽을 줄 모르는 者들을 警戒하였다.

이만도(李晩燾·1842∼1910)의 本貫은 眞性(眞城), 號는 향산(響山)이다. 文科에 壯元及第하여 工曹參議 等을 歷任하였으나, 世上이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斷念하고 學問에 專念했다. 斷髮令 以後 外勢 侵奪에 抗拒하는 義兵을 일으키기도 하였고, 나라가 竝呑되자 斷食하여 목숨을 끊었다.

이정원 韓國古典飜譯院 責任硏究員
#이만도 #향산집 #貪慾 #파리 #유의건 #火계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