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명철 敎授의 高句麗 이야기] <12>바다를 制霸한 아시아의 바이킹, 渤海人들|東亞日報 </12>

[윤명철 敎授의 高句麗 이야기] <12>바다를 制霸한 아시아의 바이킹, 渤海人들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6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발해 선단들이 고국을 향해 출항했던 일본의 항구인 이시카와 현 노토 반도의 후쿠우라 항. 아시아의 바다를 제패한 발해의 융성함을 엿볼 수 있다. 윤명철 교수 제공
渤海 先端들이 故國을 向해 出港했던 日本의 港口인 이시카와 現 壚土 半島의 후쿠우라 港. 아시아의 바다를 制霸한 渤海의 隆盛함을 엿볼 수 있다. 윤명철 敎授 提供
윤명철 동국대 교수
윤명철 東國大 敎授
中國은 東北工程을 推進하면서 ‘渤海는 黨 王朝가 管轄한 少數民族 地方政權(渤海是我國唐王朝轄屬的少數民族地方政權)’이라고 했다. 甚至於 初期 國號를 ‘말갈國’이라고 했다. 歷史를 뒤엎는 詭辯이 아닐 수 없다.

日本의 歷史書 속일본기(續日本紀)의 記錄을 보자. ‘고제덕 等 8名 高麗의 使節들이 出憂國(出羽國·現在 日本 혼슈의 아키타 地方)에 到着했다. 聖務天皇이 迎接事를 보내 모셔다가 極盡히 待接하고, 國書를 주었으며 以後 鄭重히 돌려보냈다.’

때는 書記 727年, 渤海 2代 임금인 武王(武王) 時節에 있었던 일이다. 本文 첫머리에 나온 考慮는 渤海를 가리킨다. 武王은 日本에 보낸 國書에서 스스로를 ‘高麗國王(高麗國王)’이라고 稱했다. 國書에는 ‘渤海가 高句麗의 옛 領土를 回復하고 扶餘에서 傳해 내려온 風俗을 간직하고 있다(復高麗之舊居 有夫餘之遺俗)’는 宣言이 記錄되어 있었다. 日本國道 渤海에 派遣하는 使臣을 ‘犬高麗史(遣高麗使)’라 불렀다. 이런 事實들을 보면 渤海의 첫 國號는 陳(振, 震)國이면서 同時에 ‘高麗國’이었을 것이다.

○ 日에 公式使節만 34回 派遣

渤海는 698年부터 926年까지 228年 동안 存續했으며 海東盛國(海東盛國·바다 東쪽의 全盛期를 맞이한 나라라는 뜻)이라 불리기도 했다. 그들은 高句麗 滅亡 後 高句麗를 繼承하면서 復活했다. 自意識이 强해서 ‘하늘의 子孫’임을 標榜했고, 賃金은 新羅와 달리 徹底하게 獨自的인 年號를 使用했다.

渤海는 强大國이 되기 위해 해陽曆을 强化시켰다. 732年 9月에 渤海의 海陸軍이 唐나라를 侵攻한 記錄이 있다. 이때 張文休(張文休)는 數百 隻의 배를 거느리고 鴨綠江 河口의 朴作成(단둥 時)을 떠났다. 遼東半島 海岸에 이르러 隱密하게 航海하다 山東半島의 燈住港에 上陸했는데 電光石火 같은 上陸作戰으로 自社(刺史)인 爲準(韋俊)을 殺害하고, 最大의 海軍基地였던 等주성을 占領했다. 그 後 渤海는 黃海 北部 航路를 利用하면서 제나라(고구려 遺民들이 中國으로 건너가 山東半島를 掌握한 後 세운 나라)와 말 貿易을 벌였다.

渤海人들은 高句麗人들처럼 돛단배를 타고 東海를 건너 日本을 다녔다. 믿기 힘든 일이지만 220餘 年 동안에 公式的인 謝絶만 無慮 34回 派遣했고, 奇跡 같은 일이지만 746年에는 1100名에 達하는 民間人들이 건너가기도 했다.

여기에는 몇 가지 理由가 있다. 8世紀, 東아시아는 21世紀처럼 葛藤과 衝突의 冷戰 時期였다. 渤海는 新羅와 國境 紛爭을 일으켰고, 日本은 新羅의 日本列島 上陸을 두려워하면서 ‘新羅淨土론’을 宣言하고 本格的으로 戰爭 準備를 했다. 新羅 또한 戰爭 準備에 餘念이 없었다. 統一新羅를 南北에서 壓迫하던 두 나라는 自然스럽게 ‘발일(渤日)同盟’을 發動시켰다. 이 過程에서 東海를 건너 使臣들이 오고 갔다. 特히 日本은 渤海의 도움을 切實히 願했다.

그러다 冷戰이 끝나면서 貿易과 文化의 時代가 到來했다. 100名이 넘는 人員이 乘船한 2∼4隻의 船團들이 쉴 새 없이 東海를 건넜다. 一部는 現地에 남아 곳곳에 세워진 客觀이나 客員에 몇 달씩 머무르면서 장사를 하기도 했다. 一種의 保稅區域이었던 셈이다.

渤海人들은 담비가죽, 虎狼이가죽, 豹범가죽, 말곰가죽, 明紬나 鐵, 洞 같은 高度의 技術 商品과 꿀, 人蔘, 다시마 같은 土産品을 輸出했다. 海豹皮(바다豹범가죽), 海上어 等으로 만든 手工業 製品은 勿論이고, 代母倍(玳瑁杯·東南亞産 붉은 바다거북 껍데기로 만든 술盞) 等 남房 物品까지도 中繼貿易을 했다. 勿論 歸國할 때는 輸銀, 面 等을 사갖고 와서 팔았다. 871年에 양성규가 使臣으로 왔을 때에는 日本 王政에서 支拂한 돈만 40萬 兩이었으니 貴族이나 管理, 一般人들이 支拂한 金額까지 合하면 엄청났다.

貿易 逆調 現象은 日本 國家 財政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래서 渤海山 毛皮 着用에 對한 規制를 發動시키기도 했고 使臣들은 12年마다 한 番씩 오도록 制限했으며 1回 人員數도 105名으로 묶었다.

○ 東아시아 最初 東海貿易權 成立

渤海人들은 東아시아 歷史上 처음으로 本格的인 東海貿易權을 성립시켰다. 이 過程에서 많은 이들이 犧牲되기도 했다. 初期에는 小規模 人員이었지만 漸次 100名이 넘고, 359名(779年)이 온 적도 있었다. 739年에는 全員이 죽는 慘事가 發生하기도 했고 776年에는 187名 가운데에서 46名만 살아 돌아왔으며 786年에는 漂流하다가 65名 가운데 12名은 原住民에게 죽고 나머지 53名만 生存한 일도 있었다. 그 後로도 이런 悲劇은 되풀이됐다.

日本 學者들은 우리 歷史와 文化를 縮小하기 위해 그동안 渤海의 배가 작고 難破 事例가 많은 點을 들며 渤海의 造船術과 航海術이 뒤떨어졌다는 詭辯을 늘어놓았다. 안타까운 것은 우리도 渤海의 歷史와 科學技術을 깊이 硏究함이 없이 그들의 主張을 追從해 왔다는 點이다.

渤海人들은 2, 3番의 例外를 두고는 大部分 陰曆 10月에서 陰曆 1月 사이에 東海를 건넜다. 뒷바람人 北西風을 利用해야 하기 때문이다. 겨울의 東海는 水溫이 낮고, 暴風이 몰아칠 땐 風速이 秒速 20m 以上이며, 波濤는 5m가 넘어 航海가 不可能하다. 더군다나 107萬 km²에 達하는 茫茫大海라서 高度의 天文航法(太陽, 달, 별 等과 같은 天體의 高度와 方位를 觀測하여 船舶의 位置 및 航路를 測定하는 航法)李 必須的이다.

그래서 日本은 東海를 건널 엄두조차 못 냈다. 200餘 年 동안에 겨우 9回, 그것도 答禮辭라는 名目으로 함께 갔다. 甚至於 唐나라에 派遣한 使臣들도 때로는 渤海 배를 얻어 타고 다녔다. 勿論 사신단에는 高麗氏(高麗氏)를 비롯해 航海士 等 高句麗 遺民들이 多數 타고 있었다.

○ 冒險心-挑戰精神 뛰어난 高句麗의 後裔

渤海는 우리 歷史에서 잊혀진 나라, 實體가 不分明한 안갯속에 싸인 나라로 取扱되어 왔다. 하지만 總 228年을 存續한 그들은 貿易과 經營 能力이 뛰어났으며, 冒險心과 挑戰精神, 悲劇的인 狀況에 屈服하지 않는 强靭한 精神力을 갖춘, 名實相符한 高句麗의 後續 國家였다. 또 목숨을 내걸고 險한 바닷길을 건너다니던 아시아의 바이킹이었다.

그들은 咸鏡道 海岸, 沿海州의 크라스키노, 블라디보스토크, 나홋카 等의 海岸을 出港하여 日本 列島 北쪽의 아키타 縣에서 南쪽 규슈 地方에 이르기까지 모든 港口에 到着했고 아무르 江(黑龍江) 河口나 周邊의 港口들을 出港하여 타타르 海峽을 넘어 사할린과 홋카이도(北海道)에도 到着하였을 것으로 推定된다. 오호츠크 해 어느 마을에서 渤海人들의 자취가 發見될 날을 苦待해본다.

政治 軍事的으로 重要한 東海는 東아시아의 새로운 經濟 中心 地帶가 될 可能性이 높아지고 있다. 中國과 러시아는 옛날 渤海 領土인 沿海州를 놓고 葛藤을 벌이고, 쿠릴 列島에서는 러시아와 日本이 領土 紛爭 中이다. 그리고 中國은 豆滿江 河口인 羅津선봉을 通해서 東海 進出을 試圖하고 있다.

未來를 向한 國家 戰略의 再設計가 切實한 時代다. 그 무엇보다도 東海를 누비고 日本 列島로 勢力을 擴張했던 渤海의 雄壯한 스케일을 되새겨볼 必要가 있다.

윤명철 東國大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