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 읽는 大韓民國/21世紀 新古典 50卷] <16>고요한 돈강|東亞日報 </16>

[冊 읽는 大韓民國/21世紀 新古典 50卷] <16>고요한 돈강

  • 入力 2005年 8月 26日 03時 04分


코멘트
올해는 옛 蘇聯의 作家 미하일 숄로호프(1905∼1984)가 誕生한 지 100周年을 맞이하는 해다. 그럼에도 그의 傑作 大河小說인 ‘고요한 돈강’(1928∼1940)을 求해 보기가 쉽지 않다. 事實 그동안 이 作品은 韓國의 讀者들과 隔離되어 왔다. 蘇聯 文學에 對해서 批判的인 西矩도 1965年 노벨文學賞을 授與함으로써 이 作品을 뒤늦게 追認했음에도 不拘하고 嚴格한 反共 體制를 堅持한 韓國에서는 團地 風聞으로만 떠돌 뿐이었다. 出版의 自由가 그래도 너그러웠던 1949年 玄德(玄德) 先生에 依해 第1部가 飜譯돼 大學出版社에서 나왔지만 6·25戰爭 以後 忘却됐다. 7卷짜리의 完譯本은 1985年에야 일월서각에서 빛을 보게 된다. 이 作品은 出版 運動의 열매로 비로소 韓國 讀者들에게 穩全히 公開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東유럽 革命의 물결 속에서 蘇聯이 崩壞되면서 이 作品은 다시 빛을 잃게 되는 反語的 狀況을 맞이했던 터이다. 果然 이 作品은 ‘소비에트聯邦’의 浮沈(浮沈)에 依해 左右되는 그런 이데올로기 小說에 지나지 않는 것인가?

이 作品은 우크라이나 카자흐 마을 타타르스크에서 始作하여 그곳에서 마감될 만큼 돈 카자흐의 集合的 生態를 生動的으로 追跡하고 있다. 카자흐의 野生的 姿態를 처음으로 呼名한 니콜라이 고골리(1809∼1852)의 ‘타라스 불리바’를 잇고 있다는 點에서 카자흐 最高의 種族地(種族誌)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숄로호프는 돈 카자흐의 歷史的 運命을 第1次 世界大戰(1914∼1918)과 러시아革命(1917), 그리고 內戰(1918∼1920)이라는 世界私的 激動의 터널을 통해서 照明함으로써 種族指摘 豐饒에 敍事詩的 威嚴을 附與하는 데 成功한다.

러시아革命을 돈 카자흐의 눈으로 보듯이 作家는 돈 카자흐의 運命을 主人公 그리고리 멜레호프를 通해서 본다. 그리고리는 不斷히 搖動한다. 革命 直後 赤衛軍에 加擔한 그는 負傷을 하고 歸鄕한 뒤에는 白軍에 加擔한다. 그러다가 赤衛軍에 붙잡힌 뒤에는 다시 赤衛軍에 服務한다. 除隊 後에 歸鄕한 그는 다시 脫出하여 이제는 非敵으로 轉落한 카자흐 白軍의 殘黨에 몸을 부치다가 運命의 女人 惡詩냐와 만난다. 그는 惡詩냐와 먼 脫出을 꾀하다가 그女가 赤衛軍의 銃에 맞아 죽자 모든 希望을 잃고 마침내 隱身處에서 나와 荒廢한 모습으로 歸家한다.

이 虛妄한 結末도 그렇지만 根本的으로 反革命의 人物을 主人公으로 삼은 이 小說의 메시지는 무엇일까? 알다시피 카자흐는 種族이 아니라 옛 領地에서 러시아 南部의 廣大한 스텝地帶로 脫出한 農奴들의 集團이다. 그런데 農民 戰爭의 英雄 스텐카 라진과 에멜랸 푸가초프의 後裔인 그들이 內戰에서는 大擧 反革命에 加擔하였다.

여기에 러시아革命의 限界가 露出된다. 革命에 隊伍를 함께했던 農民들이 革命 以後에 失望하여 反革命으로 돌아서는 한 傾向을 象徵한 事件이 革命에 熱狂한 最後의 農民 詩人 세르게이 예세닌의 自殺이다.

이 點에서 그리고리의 運命의 變轉은 그 反映일 터이다. 作家는 카자흐에서 農民的 抵抗의 表象을 發見함으로써 不屈의 自由를 謳歌한 돈 카자흐, 이 高尙한 野蠻人들의 滅亡에 對한 衷心의 輓歌를 獻呈한다. 숄로호프는 이미 러시아革命의 破局을 내다본 것인가?

최원식 인하대 敎授 文學評論家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