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뿌리읽기] <236>艮(어긋날 間)|東亞日報 </236>

[漢字 뿌리읽기] <236>艮(어긋날 間)

  • 入力 2005年 8月 8日 03時 07分


코멘트
艮의 資源은 明確하지 않다. ‘說文解字’에서는 匕(비수 비)와 目(눈 목)으로 構成되어 ‘服從하지 않다. 서로가 노려보며 讓步하지 않음을 말한다’고 했다. 甲骨文에서는 크게 뜬 눈으로 뒤돌아보는 모습을 그렸고, 今文에서는 눈을 사람과 分離해 뒤쪽에 配置하여 意味를 더 具體化했다. 이들 字形을 綜合해 보면, 艮은 ‘눈을 크게 뜨고 머리를 돌려 노려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推定된다.

그래서 艮의 元來 뜻은 부라리며 노려보는 ‘눈’이다. 하지만 艮이 싸움하듯 ‘노려보다’는 意味로 擴張되자, 元來의 뜻은 目을 더한 眼(눈 안)으로 分化했는데, 眼이 그냥 ‘눈’이 아니라 眼球(眼球)라는 뜻을 가지는 것도 이의 反映일 것이다.

먼저, 艮에서 派生된 글字들 中 ‘노려보다’는 뜻을 가진 境遇로, 恨(한할 한)은 서로를 노려보며(艮) 怨望하는 마음(心·心)을, b(개 싸우는 소리 한)은 個(犬·犬)가 서로 싸우는(艮) 것을 말하는데, 개는 두 마리만 모여도 서로 물어뜯고 싸우는 動物로 이름이 나 있다.

限(限界 한)은 머리를 돌려 부릅뜬 눈으로 노려보는 視線(艮) 앞에 높다란 언덕(阜·部)李 ‘가로막혀 있음’으로부터, 障壁에 부딪힘과 限界(限界)의 뜻을 그렸다. 또 흔(패려궂을 흔)은 큰 길(尺·척)에서 눈을 부라리며 反抗하는 모습에서 公開된 場所에서조차 反抗할 程度로 凶惡하고 程度가 ‘甚함’을 그렸고, 根(뿌리 斤)도 한 치의 讓步도 없이 生存競爭을 벌이는 나무의 뒤엉킨 ‘뿌리’의 이미지를 잘 나타냈다.

그런가 하면, 近(발꿈치 近)은 ‘뒤’의 意味를 가져, 발(足·발)의 뒤쪽(艮)을 말하며, 이로부터 발꿈치를 보며 ‘뒤따라가다’는 뜻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서로 讓步하지 않아 일어나는 싸움과 ‘困難’의 뜻을 담은 것으로, 艱(어려울 間)李 있다. 艱을 構成하는 a(노란 진흙 近)은 元來 祈雨祭를 지낼 때 祭物로 쓸 사람을 두 손을 묶고 목에 칼을 씌운 채 불에 태우는 모습을 그린 글字인데, 以後 艮을 더해 그런 ‘어려움(艱苦·諫鼓)’을 더욱 强調했다.

하영삼 경성대 敎授 ysha@ks.ac.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