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田과 어깨 견주던 交通-物産 中心, 50年 뒷걸음질… 驛앞엔 텅 빈 商店들|東亞日報

大田과 어깨 견주던 交通-物産 中心, 50年 뒷걸음질… 驛앞엔 텅 빈 商店들

  • 東亞日報
  • 入力 2014年 8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國家大革新 '골든타임']
富農의 고장 옛말… 全北 정읍시 신태인읍 가보니

全北 정읍시 신태인읍. 韓國의 穀倉인 湖南平野에 자리 잡아 예부터 논과 富者가 많은 곳이었다. 1912年 湖南線 鐵道가 開通돼 신태인역이 생기면서 1970年代까지 周邊을 아우르는 交通과 物産의 中心地가 됐다. 日帝强占期에 지어진 韓半島 最大의 벼 搗精工場이 1980年代까지 돌아갔고 논 100餘 마지기(2萬餘 坪)는 지어야 대농(大農)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었다.

신태인읍은 大田과 비슷한 時期인 1940年 面에서 邑으로 昇格됐지만 住民 數는 70餘 年 前보다 훨씬 줄었다. 신태인읍의 現在 人口는 6600名. 1960年代 2萬6000餘 名의 4分의 1水準이다. 같은 期間 大田은 人口 150萬 名의 大都市로 成長했다. 91年 歷史의 신태인初等學校는 學生 數가 3000餘 名(1970年代)에서 270名으로 줄었다. 그것도 數年 前 隣近 4個 初等學校와 統廢合한 結果다. 最高 72學級으로 2部制 授業을 하던 이 學校는 이제 한 學年에 두 班을 꾸리기도 벅차다.

14日 신태인 邑內는 오가는 사람이 거의 눈에 띄지 않는 텅 빈 모습이었다. 驛 바로 앞에도 먼지를 뒤집어쓴 채 비어 있는 가게가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驛 앞에서 가게를 運營하는 金某 氏(59)는 “30餘 年 前 3.3m²(1坪)當 500萬 원까지 하던 商家 땅값이 只今은 100萬∼150萬 원에도 去來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每日 아침 益山行 通學列車를 타러 나온 學生들이 數百 名씩 몰려들고 서울行 特急列車가 하루 10餘 次例 설 때마다 타고 내리는 乘客들로 붐비던 驛은 하루 利用客이 150餘 名에 不過한 閑散한 시골驛으로 變했다. 扶安 等 隣近 地域에서 온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던 在來市場은 現代化 事業으로 外樣은 말끔해졌지만 손님보다 物件 파는 商人이 더 많았다. 最大 規模의 搗精工場은 痕跡도 없이 사라졌고 糧穀倉庫는 마트로 變한 지 오래다.

신태인 出身 이익규 井邑市議員(60)은 “農業이 衰退한 데다 鐵道와 高速道路 等 交通이 發達하니 보니 일자리와 子女敎育 때문에 都市로 떠난 사람들이 유난히 많았다”며 “서울에서 同窓會를 열면 故鄕에서 열 때보다 더 많이 모인다”고 말했다. 全北道 김철모 行政支援官은 “現行 8 對 2人 國稅와 地方稅 比率을 적어도 6 對 4로 바꿔야 地域 開發과 住民이 願하는 일에 投資할 餘力이 생긴다”고 말했다.

井邑=김광오 記者 kokim@donga.com
#井邑 #신태인읍 #全北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