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學生들 休校, 商人들은 撤市… 섬 곳곳서 喊聲-奉化 피어올라|동아일보

學生들 休校, 商人들은 撤市… 섬 곳곳서 喊聲-奉化 피어올라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5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2019 3·1運動 臨政 100年, 2020 동아일보 創刊 100年]
3·1運動 100年 歷史의 現場 2部 <제55화> 仁川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인천 계양구 황어장터기념탑 앞에서 열린 제1회 황어장터 만세운동 재현 행사에서 청소년들이 기념 공연을 펼치고 있다. 황어장터 만세시위는 인천 최대 규모의 만세운동이다. 인천 계양구 제공
3·1運動 100周年을 맞아 仁川 桂陽區 黃漁場터記念塔 앞에서 열린 第1回 黃漁場터 萬歲運動 再現 行事에서 靑少年들이 記念 公演을 펼치고 있다. 黃漁場터 萬歲示威는 仁川 最大 規模의 萬歲運動이다. 仁川 桂陽區 提供
3日 訪問한 仁川 東區 창영初等學校엔 아이들이 뛰어놀고 있었다. 옛 敎師인 붉은 甓돌 建物 앞에는 땅따먹기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1907年 세워진 仁川 最初의 公立學校이자, 메이저리그 野球選手 류현진의 母校로 有名한 곳이다.

仁川市는 이곳에서 올해 3月 1日 ‘100周年 3·1節 記念行事’를 開催했다. 行事에선 3·1運動 100周年 記念碑 除幕式과 타임캡슐 埋設式이 進行됐다. 市民 100名이 便紙와 寫眞 等 저마다의 意味 있는 物件을 담은 타임캡슐은 50年 뒤인 150周年 3·1節 記念式에 開封될 豫定이다.

100周年 3·1節 記念行事가 창영初等學校에서 열린 것은 이곳이 仁川 3·1運動의 發祥地라는 歷史的인 意味가 깃든 곳이기 때문이다. 100年 前 3月 6日 仁川公立普通學校 3學年 김명진 等 學生들이 休校를 主動한 것이 仁川 3·1運動의 始作이었다.

○ 萬歲運動에 나선 初等學生들


‘初等學生들이 萬歲運動에 나섰다’는 말을 듣는다면 요즘 基準에선 갸우뚱해질 수 있다. 하지만 近代 文物의 流入과 함께 세워진 普通學校에는 나이 많은 學生들이 적잖았다. 早婚으로 家庭을 이룬 家長들도 學校를 다녔다. 서울에서 들려온 3·1萬歲運動 消息은 이들 靑年 學生의 가슴에 불을 질렀다.

仁川은 釜山과 元山에 이은 開港場이며 서울과 이어지는 韓國 最初의 鐵道 京仁線이 놓인 곳이다. 일찍이 日本領事館과 銀行, 敎會, 學校 等이 設立됐고 3·1運動 當時 인천부(只今의 時) 人口 2萬211名 中 44.4%인 8973名이 日本人이었을 만큼 日帝의 植民地 支配 過程에서 重要한 據點都市였다.(김정인·이정은, ‘韓國 獨立運動의 歷史’) 日帝의 支配力이 絶對的이었기에 仁川의 3·1運動이 일어나기는 쉽지 않은 狀況이었다. 1919年 3月 6日 公立普通學校가 公立商業學校(現在 인천고) 學生들과 함께 同盟休學에 나선 것은 닷새 前 일어난 서울의 3·1運動으로 인해 日本 警察의 警戒가 森嚴했던 中에 斷行한 一大 事件이었다.

인천 창영초등학교(옛 인천공립보통학교)에 세워진 3·1운동 100주년 기념비.
仁川 창영初等學校(옛 仁川公立普通學校)에 세워진 3·1運動 100周年 記念碑.
3月 8日 午後 9時 公立普通學校 3學年 學生으로 當時 19歲였던 김명진이 學校로 들어가 2層으로 올라갔다. 같은 學校 學生이던 18歲 박철준이 밖에서 望을 보고 있었다. 김명진은 미리 準備한 切斷用 가위를 利用해 警察署로 통하는 學校의 電話線을 자르고 受話器를 박살냈다.(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韓國獨立運動史-3·1運動史’) 學校 敎職員들이 同盟休學 狀況을 警察에 報告하는 데 憤慨해 치른 居士였다. 이 事件으로 家宅 侵入 및 全身法 違反 嫌疑 等으로 붙잡힌 김명진은 警察을 向해 “내 나라 獨立을 위해 한 點도 부끄럽지 않다”고 외쳤다.

公立普通學校의 休學은 一週日 넘게 繼續됐다. 警察이 學父母會議를 召集해 主謀者 25名을 處罰하겠다는 强勁策을 發表하자 學生들은 3月 14日 어쩔 수 없이 休學을 접고 學校로 돌아왔다. 그럼에도 全校生 405名 中 85名이 缺席해 抵抗意識을 숨기지 않았다.

公立普通學校의 休學은 萬歲運動에 對한 市民들의 意志를 일깨웠다. 3月 9日 아침 50餘 名이 京仁街道에 모여 獨立萬歲를 불렀고 以內 群衆이 數百 名으로 불어났다. 이날 午後 5時에는 敎會 靑年들과 學生들이 만국공원에 모여 示威를 벌이다가 警察에 强制로 解散당하기도 했다. 다음 날 市內 中心街에서 市民과 學生 200餘 名이 獨立萬歲를 부르면서 示威行進을 하다가 警察의 出動으로 8名이 拘束됐다.

강옥엽 仁川廣域市 時事編纂委員會 專門委員은 仁川 萬歲運動의 特徵 中 하나로 撤市(撤市)를 꼽는다. 實際로 ‘韓國獨立運動史’에는 잇단 撤市 狀況이 詳細하게 描寫돼 있다. 仁川 各地에서 萬歲 示威가 한창이던 3月 27日 朝鮮人 가게에 어디서 왔는지 알 수 없는 檄文과 함께 地下新聞인 ‘朝鮮獨立新聞’李 날아 들어왔다. ‘萬歲를 불러라, 撤市하라’는 內容이었다. 사흘 뒤인 3月 30日부터 商人들은 撤市를 始作하며 日帝에 對한 抗爭을 벌였다. 日本人 府尹이 警察署에 連絡해 商店을 開店하도록 脅迫하면 눈가림으로 門을 열었다가도 곧 닫는 式으로 抵抗을 繼續했다.

日帝의 壓迫에 못 이겨 開店하는 一部 商人들은 市民들의 强力한 警告에 부딪쳤다. 잠깐 撤市했다 門을 연 우각리(現在 東區 금창동) 17個 店鋪에 4月 1日 警告文이 날아들기도 했다. ‘鐵視하지 않으면 最後의 手段을 쓰겠다’는 內容으로 내리(現在 中區 내동) 住民 김삼수와 임갑득이 作成한 것이었다. 그래도 商店 몇 곳이 營業을 繼續하자 김삼수와 임갑득은 다시 警告文을 만들었다. ‘仁川에 있는 商業家 여러분이 鐵視하지 않으면 仁川市街는 焦土化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韓國獨立運動史’는 ‘焦土化한다 하니 이는 仁川市街를 불바다로 만든다는 것인데 이 大膽한 警告文章을 내리에 있는 數 名의 店鋪에 (4月 2日) 집어넣었다’고 記錄했다. 그래도 商店이 門을 닫지 않자 김삼수는 ‘最後의 通牒’이라는 題目으로 ‘速히 鐵視하지 않으면 最後의 手段을 取하겠다’는 警告文을 作成한다. 이 警告文을 店鋪에 넣으려다가 日帝 警察에 發覺돼 붙잡혔지만, 세 次例에 걸친 김삼수의 激烈한 警告文들은 그만큼 撤市 鬪爭이 强勁했음을 確認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철시 抗爭으로 ‘朝鮮人 商店이 거의 門을 닫아 쓸쓸한 거리가 되어 갔으며 武器美한 雰圍氣가 돌고 있었다.’(‘한국독립운동사’)

仁川은 섬이 많은 곳이다. 100年 前 섬 곳곳에서도 萬歲 喊聲이 울려 퍼졌다. 江華島에서는 삼산면(3月 10日), 强化邑內(3月 18日), 갈산면(3月 19日) 等에서 萬歲示威가 일어났고 3月 27日엔 强化 全體 9個 地域에서 大規模 萬歲運動이 펼쳐졌다. 4月 9日 德積島 明德學校 運動會 때 敎師 임용우 等이 主導해 烽火를 올리고 萬歲를 부른 示威는 隣近 문갑도와 鬱陶까지 影響을 미쳐 이들 섬에도 萬歲 運動이 일어났다.

○ 黃魚場터에서 울려 퍼진 “獨立萬歲”의 喊聲

黃魚場터는 仁川 桂陽區 장기리(當時 부천군 桂陽面 장기리)에 位置한 市場으로, 3日場과 8日場이 定期的으로 열리는 곳이었다. 소가 주된 去來 品目이었던 이곳에는 場날이면 1000餘 名의 場꾼들이 모여들었고 500∼600마리의 소가 去來됐다. 牛市場의 特性上 一般 章보다 他 地域 場꾼들이 더 많이 모일 수 있었기에, 3·1運動의 特性 中 하나인 公開性과 집合成을 充足시킬 수 있는 場所였다.(양윤모 ‘仁川에서의 3·1獨立運動과 漢城臨時政府 樹立’)

이곳에서 仁川 地域 最大 規模의 萬歲運動이 展開된 것은 1919年 3月 24日이었다. 午後 2時 桂陽面 五柳里 住民 심혁성(1888∼1958)을 비롯한 두세 名이 太極旗를 휘두르면서 萬歲를 불렀다. 薄宦 수원대 敎授는 천도교인으로 黃漁場터 萬歲運動을 主導한 심혁성이 天道敎 本部 孫秉熙와 交感이 있었던 것으로 把握한다.(‘경기지역 3·1獨立運動史’) 實際로 天道敎는 문학동과 평화동, 月尾島 示威 等 仁川 地域 萬歲運動에 關與했다.(인천광역시 時事編纂委員會, ‘仁川의 歷史와 文化’)

심혁성은 곧 警察에 붙잡혔지만 示威隊는 거세게 反撥했다. 住民들은 巡査를 向해 “심혁성을 풀어달라”고 소리쳤다. 賣藥商 임성춘이 200餘 名 群衆들에게 “자! 가거라, 가거라” 하고 외치면서 氣勢를 돋웠다. 群衆들은 “붙잡아라, 붙잡아라”라고 외치거나 “심혁성을 내놓아라”라고 소리치면서 巡査들을 包圍했고 심혁성을 묶은 捕繩을 풀었다.

이때 決定的인 事件이 일어났다. 巡査들이 칼을 빼어 群衆 속 住民 이은선을 칼로 찌른 것이다. 이은선은 그 자리에서 殉節했고, 住民들은 심혁성을 그대로 두고 물러나야 했다. 하지만 示威隊의 氣勢가 꺾인 것은 아니었다. 이은선의 六寸 이담이 거적에 싸인 채 面事務所에 放置된 이은선의 屍體를 옮겨 埋葬했다. 그는 그날 밤 面內 各 洞里에 通文을 돌렸다. ‘죽은 사람에게 同情하는 者는 集合하라’는 內容의 글이었다. 消息을 接한 住民 200餘 名이 桂陽面事務所 앞에 모였다. 面事務所를 襲擊한 群衆들은 民籍部와 朝鮮人居住 登錄簿, 課稅湖水大將 等 日帝의 朝鮮人 統治와 關聯된 書類들을 불살랐다. 다음 날 午前 11時 300餘 名이 다시 面事務所에 모여 獨立萬歲를 부를 만큼 桂陽 住民들은 萬歲運動에 積極的이었다. 40餘 名이 逮捕됐고 심혁성, 이담, 임성춘 等 中心人物들은 그해 10月 京城地方法院에서 有罪判決을 받았다.

薄宦 수원대 敎授는 黃漁場터 獨立萬歲 運動의 가장 큰 意味로 影響力을 꼽는다. 黃漁場터 萬歲運動을 통해 서울과 金浦地域 萬歲運動의 餘波를 富平과 仁川에 傳播했고, 그 結果 連달아 示威가 일어나고 商家 철시運動이 展開될 수 있었다는 說明이다. 朴 敎授는 “京畿 西部地域 全體의 萬歲運動을 이끄는 先驅的 役割을 했다”고 强調했다.

仁川=김지영 記者 kimjy@donga.com
#3·1運動 100年 #창영初等學校 #仁川公立普通學校 #初等學生 #萬歲運動 #黃漁場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