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뜨거운 季節에도 如前히 겨울을 살고 있는 사람이 있다”|신동아

視線集中

“이 뜨거운 季節에도 如前히 겨울을 살고 있는 사람이 있다”

5年 만에 新作 小說集 發表한 小說家 김애란

  • 글·조종엽 동아일보 記者 jjj@donga.com 寫眞提供·문학동네

    入力 2017-07-20 21:41:3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오래前 小說을 마쳤는데도 가끔은 이들이 如前히 갈 곳 모르는 얼굴로 어딘가를 돌아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이들은 모두 어디에서 온 걸까. 그리고 이제 어디로 가고 싶을까.”(‘바깥은 여름’ 作家의 말에서) 小說家 김애란(37)李 ‘飛行雲’ 以後 5年 만에 新作 小說集 ‘바깥은 여름’을 내놨다. 발칙한 想像力의 作家가 이番엔 묵직함으로 勝負를 걸었다. 그는 小說集 題目을 그 안에 실린 小說의 題目 中 하나에서 따오지 않고 굳이 ‘바깥은 여름’이라고 따로 붙였다. 暴炎이 大地를 달구는 이 季節에도 如前히 겨울을 사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몰라.” 後進하는 어린이집 車에 치여 子息이 숨진 夫婦는 이런 말을 주고받는다. “많은 이들이 ‘내가 이만큼 울어줬으니 너는 이제 그만 울라’며 줄기 긴 꽃으로 아내를 채찍질하는 것처럼 보였다.”(‘입동’) 남겨진 이들을 救援하는 건 또 다른 남겨진 이의 共感이다. 물에 빠진 弟子를 救하려다 목숨을 잃은 男便을 怨望하던 아내는 弟子의 누나가 보낸 感謝 便紙를 받는다(‘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小說은 뭔가를 잃어버린 뒤의 風景만큼 뭔가를 떠나보내는 이들의 內面도 파고든다. 오래된 男子親舊에게 離別을 通告하려는 女性은 그가 큰 잘못을 저질러주기를 기다렸음을 깨닫는다(‘건너편’). 遺棄犬을 거둬 동생처럼 키운 어린이는 老衰해 病苦에 시달리는 개를 ‘安樂死’시킬 돈을 모으지만 좋아하는 漫畫 캐릭터 製品을 사는 데 헐어 쓴다(‘노찬성과 에반’).

    冊에 실린 7篇의 小說 中 ‘사라지는 言語들의 영(靈)’이라는 獨特한 話者를 내세운 ‘沈默의 未來’를 除外하면 나머지는 結局 容恕에 對한 이야기다. “없던 일이 될 수도 없고, 잊을 수도 없는 일은 나중에 어떻게 되나. 그런 건 모두 어디로 가나.”(‘노찬성과 에반’) 人間의 祈禱는 ‘그저 한番 봐달라’는 것일 뿐이다.




    He & She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