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語 音韻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 文書에서는 韓國語 의 말소리를 音聲學 音韻論 의 觀點에서 記述한다. 主로 大韓民國 標準語 의 말소리에 關해 記述하고, 必要에 따라 文化語 의 말소리에 關해서 補充 說明한다.

韓國語 의 標準語 發音은 南北 모두 成文化된 規範에 依해 規定되어 있다. 그 意味에서 標準語 發音은 模範이 될 ‘理想的 發音’이라 할 수 있다. 남의 標準語 發音은 서울 의 發音에 依據하며, 北의 文化語 發音은 平壤 의 發音에 依據한다고 明示되어 있으나, 北의 境遇는 1933年 朝鮮語學會의 規範이 基盤이 되어 事實上 서울의 發音에 依據한 채 이를 平壤의 發音으로 받아들인 것에 가깝다. 《朝鮮語의 어음 轉寫法》은 文化語를 國際音聲記號로 表記하는 方法을 明示하고 있는데, 이는 大韓民國 學界에서 알려진 것과 다르다. 文化語의 發音은 韓國 學界에서 平壤 方言의 發音으로 알려진 것과 다르다.

音素 [ 編輯 ]

母音 [ 編輯 ]

韓國語의 長母音과 單母音. 이현복(1999)에 依據함.
韓國語의 單母音
韓國語의 長母音


單母音 [ 編輯 ]

標準語에서 單母音 (單母音) 音素 는 아래 열 가지다.

音素 代表的인 音聲 寂寥
/ㅏ/ /a/ 후설 悲願順 低母音 [vn 1] / a i/ 아이 [?.i]
/ㅓ/ /?/ 후설 悲願順 重低母音 [vn 2] / ? di/ 어디 [?.di]
/ㅗ/ /o/ 후설 圓脣 中古母音 / o i/ 오이 [o?.i]
/ㅜ/ /u/ 후설 圓脣 高母音 / u ?i/ 우리 [u.?i]
/ㅡ/ /?/ 후설 悲願順 高母音 /k ? / [k?]
/ㅣ/ /i/ 傳說 悲願順 高母音 / i ma/ 이마 [i.ma]
/ㅐ/ /?/ 傳說 悲願順 重低母音 [vn 3] /h ? / 해 [he?]
/ㅔ/ /e/ 傳說 悲願順 中古母音 [vn 3] /nu e / 누에 [nu.e?]
/ㅚ/ /ø/ 傳說 圓脣 中古母音 [vn 4] /s ø / [s???ø]
/ㅟ/ /y/ 傳說 圓脣 高母音 [vn 4] / y / [y]
  1. 韓國語의 中舌母音은 實際로는 中說 根底母音 [?] 이지만 慣例的으로 [a] 로 表記한다.
  2. 京畿 方言 의 /?/는 完全한 非圓脣 母音이 아니라 圓脣과 非원순의 中間的인 發音이다. 이에 反해 西北 方言 에서는 이 모음을 [?] 로 소리낸다.
  3. 韓國에서는 거의 모든 地域에서 老年層을 除外하고 /ㅐ/와 /ㅔ/義 區別이 喪失되어 同一한 소리로 발음된다. 그 音聲은 [?] [e] 의 中間 소리다.
  4. 京畿 方言 西北 方言 모두 單母音 音素로서 /ㅚ/, /ㅟ/가 存在하지 않는다. 京畿 方言 에서 /ㅚ/는 普通 [we] ( 西北 方言 에서는 [w?] )로 나타나며 /ㅟ/는 [?i] 로 나타난다.
【週】/  / 標示는 音素 表記, [  ] 標示는 國際音聲記號 에 依한 音聲 表記를 나타낸다(이하 같음).

長母音 [ 編輯 ]

長母音 은 單語 첫 音節에만 나타난다. 京畿 方言 의 境遇 老年層은 母音의 길고 짧음에 依해 單語의 意味를 區別할 수 있지만 그 外 世代에서는 母音의 장단 區別이 없고 모두 짧은 母音으로 나타난다.

單母音 長母音
/a/ 말[馬] [mal] /?ː/ 말[言] [m?ːl]
/?/ 벌[罰] [p????l] /?ː/ 벌[蜂] [p????ːl]
/o/ 보리 [p???o?.?i] /oː/ 保守(報酬) [p???oː.su]
/u/ 눈[眼] [nun] /uː/ 눈[雪] [nuːn]
/?/ 어른 [?ː.??n] [vn 1] /?ː/ 飮食 [?ːm.?ik?]
/i/ 市場(배고픔) [?i.d?aŋ] /iː/ 市場(市場) [?iː.d?aŋ]
/?/ 太陽 [t??.jaŋ] /?ː/ 態度 [t??ː.do]
/e/ 베개 [p???e.??] /eː/ 베다 [p???eː.da]
/ø/ 敎會 [k????oː.?we ~ k????oː.?ø] /øː/ 外套 [weː.t?u ~ øː.t?u]
/y/ 慰勞 [y.?o ~ ?i.?o] /yː/ 귀리 [kyː.?i ~ k?iː.?i]
  1. 老年層의 京畿 方言 에서 /ㅓ/義 長母音이 [?ː] 로 나타나며 짧은 母音으로 발음되는 境遇와 陰性이 다른 것이 特徵이다.

半母音과 二重母音 [ 編輯 ]

韓國語에는 /j/ [j] 와 /w/ [w] 두 가지의 半母音 이 있다. 硏究者에 따라서는 半母音을 認定하지 않고 ‘半母音 + 單母音’을 二重母音 (上昇 二重母音)으로 본다.

單母音 / a ㅏ/ / ? ㅓ/ / o ㅗ/ / u ㅜ/ / ? ㅡ/ / i ㅣ/ / ? ㅐ/ / e ㅔ/ / ø ㅚ/ / y ㅟ/
/j/+모음 / ja ㅑ/ / j? ㅕ/ / jo ㅛ/ / ju ㅠ/ / j? ㅒ/ / je ㅖ/
/w/+모음 / wa ㅘ/ / w? ㅝ/ (/ ?i ㅢ/) [vn 1] / w? ㅙ/ / we ㅞ/
  1. /?i ㅢ/라는 소리의 連續體는 ‘半母音+單母音’으로 보지 않고 二重母音으로 보는 見解가 一般的이다. 그러나 /ㅢ/는 京畿 方言 에서 單母音化되어 /ㅡ/(語頭에서) 또는 /ㅣ/(語頭 以外에서)로 나타날 境遇가 많다.

子音 [ 編輯 ]

標準語에서 子音 音素는 總 열아홉 가지다.

초성 [ 編輯 ]

子音 音素 열아홉 가지 모두가 初聲 位置에 올 수 있다.

兩脣音 齒莖音 硬口蓋音 軟口蓋音 聲門音
閉鎖音 摩擦音


平音 /ㅂ/
[p???~b]
/ㄷ/
[t???~d]
/ㅅ/
[s???~z],[????~?]
/ㅈ/
[t????~d?]
/ㄱ/
[k???~?]
激音 /ㅍ/
[p? ~b?]
/ㅌ/
[t? ~d?]
/ㅊ/
[t?? ~d??]
/ㅋ/
[k? ~??]
/ㅎ/
[h ~?]
硬音 /ㅃ/
[?p]
/ㄸ/
[?t]
/ㅆ/
[?s~??]
/ㅉ/
[?t??]
/ㄲ/
[?k]
비음 /ㅁ/
[m]
/ㄴ/
[n]
/ㅇ/
[ŋ]
流音 /ㄹ/
[?~l]

韓國語의 障礙音은 無聲音 · 有聲音 의 對立이 音韻論的으로 意味를 갖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韓國語 話者는 無聲音 · 有聲音 을 區別하지 못하며 둘다 同一한 音韻으로 認識한다. 한便 韓國語에는 平音 · 激音 · 硬音 이라는 對立이 있다. 이 소리들은 숨의 强度와 목의 緊張 與否에 依해 서로 다른 音韻으로 認識된다.

平音 (例事소리, 順한소리)는 숨을 거세게 내지 않으며 목을 긴장시키지 않는 소리다. /ㅅ/을 除外한 平音 /ㅂ, ㄷ, ㅈ, ㄱ/은 有聲音 사이(卽 모음-모음 사이, 비음-모음 사이, 流音-모음 사이)에서 儒城 無氣音 으로 나타나며 그 以外 環境(具體的으로는 어두)에서 無性無氣音(話者에 따라서는 若干 숨을 隨伴할 수 있음)으로서 나타난다.

  • 비누 / p inu/ [p???inu] ― 나비 /na b i/ [na b i]

/ㅅ/은 有聲音 사이에서도 恒常 無聲音으로 나타난다. 또 /ㅅ/은 모음 /ㅣ/(半母音 /j/ 包含) 直前에서 [?] 로 나타난다. /ㅅ/은 一般的으로 平音으로 區分되지만 이것을 激音으로 區分하는 硏究者도 있다.

  • 歌手 /ga s u/ [k???asu]
  • 가시 /ga s i/ [k???a?i]

激音 (거센소리) /ㅍ, ㅌ, ㅊ, ㅋ/은 숨을 거세게 내는 소리며 어떤 位置에서든 茂盛 有氣音 으로 나타난다. 中國語 의 有氣音과 같은 性質을 지닌 소리다.

  • 도토리 /to t? ori/ [t???ot?o?i]

激音 /ㅎ/은 有聲音 사이에 있을 적에 有聲音化되어 [?] 로 나타나며 境遇에 따라서는 소리가 없는 것처럼 들린다. 有聲音化라는 特性에서 이를 平音으로 區分하는 硏究者도 있다.

  • 地下 /ji h a/ [t????i?a]

硬音 (된소리)은 목을 긴장시키면서 내는 無性無氣音이다. 國際音聲記號 로는 이 소리를 正確히 標示하기 위한 記號가 없어 城門 閉鎖音을 나타내는 [?] 를 子音 記號 왼쪽 어깨에 달거나 放出音 을 나타내는 [?] 를 使用하는 等 嗜好를 代用하는 境遇가 많다. 또 音聲學 論文 等에서는 [p#], [p*]와 같은 表記도 볼 수 있다.

  • 꼬리 / k? ori/ [k?o?i]

硬音 /ㅆ/은 平音 /ㅅ/義 境遇와 마찬가지로 모음 /ㅣ/(半母音 /j/ 包含) 直前에서 [??] 로 나타난다.

  • 金氏 /gim ?? i/ [k???im??i]

비음 은 /ㅁ, ㄴ, ㅇ/ 세 가지가 있지만 /ㅇ/은 語頭에 오지 않는다.

流音 /ㄹ/은 初聲 자리에서 普通 彈音 [?] 로 나타나지만 終聲 /ㄹ/ 直後에 나타나는 初聲 /ㄹ/은 舌側音 [l] 로 나타난다.

  • 物理 /mur r i/ [mulli]

平壤 方言에서는 /ㅈ, ㅊ, ㅉ/이 치硬口蓋音 [t?/d?] , [t??] , [t??] 가 아니라 治經破擦音 [ts???/dz] , [ts?] , [ts?] 로 나타난다. (이는 17世紀 以前의 韓國語 發音과 一致한다.) 文化語는 平壤 方言이 아니라 위의 基準을 따른다.

알 수 없는 理由로 韓國의 國語 敎育 過程에서는 齒莖音을 齒槽音으로, 치硬口蓋音(ㅈ,ㅊ,ㅉ 等)을 硬口蓋音으로 區分한다.

宗姓 [ 編輯 ]

音節말 位置에 있는 子音을 宗姓 理라 한다. 초성 자리에는 열아홉 가지 子音 모두가 올 수 있으나 終聲 자리에는 다음 일곱 가지 子音밖에 올 수 없다.

兩脣音 齒莖音 軟口蓋音
障礙音 /p ㅂ/
[p?]
/t ㄷ/
[t?]
/k ㄱ/
[k?]
비음 /m ㅁ/
[m]
/n ㄴ/
[n]
/ŋ ㅇ/
[ŋ]
流音 /r ㄹ/
[l]

障礙音 終聲은 調音 機關을 開放시키지 않는 沸波音 이다. 다만 /ㅆ/ 앞에서는 開放이 되며 /ㅆ/ 앞에서 /ㄷ/은 [s] 로 나타난다.

  • 젖소 /젇쏘 j? d σo/ [t?????ss?o]

流音 終聲 /ㄹ/은 普通 [l] 로 나타나지만 直後에 /ㅎ/이 올 때는 [?] 로 나타난다.

  • 括弧 /gwa r ho/ [k????a??o]

音素 配列上의 制約 [ 編輯 ]

韓國語에는 다음과 같이 音素 配列上의 制約이 있다.

(1) 南과 北의 標準語에서는 硬口蓋音 /ㅈ, ㅊ, ㅉ/ 直後에 半母音 /j/가 올 수 없다. 綴字上으로 半母音이 表記되어 있더라도 實際 發音은 半母音을 隨伴하지 않는다. 韓國의 一部 學說과 달리 北의 文獻에서도 /ㅈ, ㅊ, ㅉ/을 硬口蓋音으로 分類하기도 한다.

  • 저 /저/ ― 져 /저/

平壤 方言에서는 /ㅈ, ㅊ, ㅉ/은 治經破擦音 [ts/dz] , [ts?] , [t?s] 로 나타나는데 /j/와 結合될 境遇에는 軟口蓋音 [t?/d?] , [t??] , [t??] 로 나타날 수 있다.

  • 저 /저/ [ts?]
  • 져 /져/ [t??]

(2) 남의 標準語는 漢字語 에서 /ㄹ/이 語頭에 오지 않는다. 音節 秒에 元來 /ㄹ/을 가진 漢字音이 語頭에 올 境遇, /ㄹ/ 直後가 모음 /ㅣ/ 或은 半母音 /j/이면 /ㄹ/이 脫落되고 그 以外이면 /ㄹ/이 /ㄴ/으로 발음된다. 마찬가지로 音節 秒에 元來 /ㄴ/을 가진 漢字音이 語頭에 올 境遇, /ㄴ/ 直後가 모음 /i/ 또는 半母音 /j/이면 /ㄴ/이 脫落된다. 韓國에서는 이 現象을 ‘ 頭音 法則 ’이라 부른다. 北의 標準語는 語頭의 /ㄹ/, /ㄴ/이 元來대로 維持된다.

漢字 原音(北의 標準語) 남의 標準語
臨時 /臨時/ /臨時/
勞動 /勞動/ /勞動/
女子 /女子/ /女子/

그런데 外來語 發音이건 北의 漢字語 發音이건 語頭의 /ㄹ/은 元來 韓國語에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特히 老年層에서는 外來語와 漢字語의 語頭에 있는 /ㄹ/을 자주 탈락시키거나 /ㄴ/으로 發音한다.

  • 라이터 / 利他/

높낮이 [ 編輯 ]

韓國語의 標準語는 높낮이에 依해 單語의 뜻을 區別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韓國語 發火에서 높낮이가 秩序 없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소리의 오르내림이 있고, 그것을 어긋나는 높낮이는 韓國語 話者에게 語塞한 發音으로 받아들여진다.

서울 方言의 境遇 連續하여 발음되는 單位에서 第2音節이 가장 높은 소리로 발음되고 그 以後의 音節은 漸漸 내려간다. 第1音節은 初聲이 激音, 硬音, /ㅅ/인 境遇에 第2音節과 같은 높이로 發音되며 初聲이 그 以外의 子音이거나 母音으로 始作되는 境遇에는 第2音節보다 낮은 소리로 발음된다.

東南 方言 과 東北 方言에는 聲調 體系가 있으며 높낮이에 依해 單語의 뜻을 區別한다.

音節 構造 [ 編輯 ]

韓國語의 音節 은 母音을 核으로 이뤄진다. 母音은 半母音과 單母音의 結合(上昇 二重母音)일 수 있다. 母音 앞에는 子音(初聲)이 한 개 올 수 있고 母音 뒤에도 子音(鐘城)이 한 개 올 수 있다. 따라서 韓國語 音節 構造 가운데 가장 複雜한 構造는 ‘子音+半母音+모음+자음’이다.

音節 構造


母音 이 /i/ [i]
半母音+모음 요 /jo/ [jo]
子音+모음 소 /so/ [so]
子音+半母音+모음 혀 /hj?/ [hj?]


모음+자음 안 /an/ [an]
半母音+모음+자음 王 /waŋ/ [waŋ]
子音+모음+자음 길 /gir/ [kil]
子音+半母音+모음+자음 狂 /gwaŋ/ [kwaŋ]

音素 交替 [ 編輯 ]

韓國語에는 音素 交替의 種類가 많아 다음과 같은 交替들이 있다.

音韻論的인 交替 [ 編輯 ]

音韻論的인 交替란 音素 가 놓이는 소리의 環境으로 알미암아 該當 音素가 다른 音素로 바뀌는 現象을 이른다. 子音 音素는 許容되지 않는 音素 配列이 있기 때문에 그런 境遇에는 該當 音素가 다른 音素로 交替된다.

平音의 硬音化 [ 編輯 ]

平音 /ㅂ, ㄷ, ㅅ, ㅈ, ㄱ/은 障礙音 終聲 /ㅂ, ㄷ, ㄱ/ 直後에 올 수 없다. 그 境遇 平音은 硬音 (된소리) /ㅃ, ㄸ, ㅆ, ㅉ, ㄲ/으로 各各 交替된다.

  • 入試 /입 /
  • 국밥 /國 /

/ㅎ/義 激音化 [ 編輯 ]

/ㅎ/은 障礙音 終聲 /ㅂ, ㄷ, ㄱ/ 直後에 올 수 없다. 그 境遇 /ㅎ/은 直前 障礙音과 同一한 調音 位置에서 발음되는 激音 /ㅍ, ㅌ, ㅋ/으로 各各 交替된다.

  • 入學 /이 /
  • 却下 /가 /

障礙音의 鼻音化 [ 編輯 ]

障礙音 終聲 /ㅂ, ㄷ, ㄱ/은 비음 /ㅁ, ㄴ/科 流音 /ㄹ/ 直前에 올 수 없다. 그 境遇 障礙音 終聲은 비음 /ㅁ, ㄴ, ㅇ/으로 各各 交替된다.

  • 欲望 / 網/
  • 앞날 / 날/

/ㅂ, ㄷ, ㄱ/ 直後에 /ㄹ/이 올 때 남의 標準語에서는 /ㄹ/도 同時에 /ㄴ/으로 交替된다. 北의 標準語에서 /ㄹ/은 /ㄴ/으로 交替되지 않고 /ㄹ/이 維持된다.

  • 獨立 / 동닙 / (남의 標準語) ― / 립/ (北의 標準語)

流音의 鼻音化 [ 編輯 ]

남의 標準語에서 流音 /ㄹ/은 비음 /ㅁ, ㅇ/ 直後에 올 수 없다. 그 境遇 /ㄹ/은 비음 /ㄴ/으로 交替된다. 北의 標準語에서 /ㄹ/은 그대로 維持된다.

  • 通路 /通 / (남의 標準語) ― /通 / (北의 標準語)

/ㄴ/義 流音化 [ 編輯 ]

/ㄴ/은 流音 /ㄹ/ 直前이나 直後에 올 수 없다. 그 境遇 /ㄴ/은 流音 /ㄹ/로 交替된다. /ㄹㄹ/이라는 소리 連續體의 實際 音聲은 [ll] 이다.

  • 新羅 / 라/
  • 刹那 /찰 /

形態音韻論的 交替 [ 編輯 ]

同一한 形態素 가 일정한 音韻的 環境에 따라 몇 가지 이형태 로 나타날 적에 이형태 사이에서 音韻이 交替되는 것을 形態音韻論的 交替라 한다. 韓國語에는 形態音韻論的 交替가 많다.

終聲의 形態音韻論的 交替 [ 編輯 ]

體言 用言 은 御間 끝소리에 子音이 있는 境遇에 御間 끝 子音이 交替될 수 있다. 交替 類型은 아래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소리의 中華 [ 編輯 ]

例를 들어 /老婆/(높아)는 /老ㅍ/이 語幹인데 御間 끝소리 /ㅍ/은 /老婆/처럼 直後에 母音이 와서 /ㅍ/이 初聲 자리에 오게 되면 激音 /ㅍ/으로 나타나지만 /ㅍ/이 終聲 자리에 올 境遇에는 /놉따/(높다)처럼 /ㅂ/으로 바뀐다. 이것은 激音 /ㅍ/이 終聲 자리에 올 수 없고, 終聲 자리에서는 /ㅂ/科 /ㅍ/義 區別이 喪失되어 平音 /ㅂ/만이 나타난다(이 現象을 中華(中和)라 한다).

  • /ㅍ/~/ㅂ/
    • 잎이 /i p i 이피/ ~ 잎 /i b 입/
  • /ㅌ, ㅅ, ㅆ, ㅈ, ㅊ/~/ㄷ/
    • 밭에 /ba t e 바테/ ~ 밭 /ba d 받/
    • 옷이 /o s i 오시/ ~ 옷 /o d 옫/
    • 있어 /i σ ? 이써/ ~ 있자 /i d ζa 읻짜/
    • 낮에 /na j e 羅濟/ ~ 낮 /na d 낟/
    • 빛이 /bi c i 비치/ ~ 빛 /bi d 빋/
  • /ㅋ, ㄲ/~/ㄱ/
    • 부엌에 /bu ? k e 部어케/ ~ 부엌 /bu ? g 부억/
    • 밖에 /ba γ e 바께/ ~ 밖 /ba g 朴/
소리의 脫落 [ 編輯 ]

/발바/(밟아)는 /발ㅂ/이 語幹인데 이처럼 御間 끝에 子音이 두 個 連續될 境遇, 御間 맨 끝 子音이 /발바/처럼 初聲 자리에 오게 되면 連續되는 두 子音이 다 나타난다. 그러나 御間 끝 子音이 終聲 자리에 올 境遇에는 /밥(따)/처럼 두 個 子音 中 한쪽이 脫落된다( 자음군 單純化 ). 이것은 韓國語에서 音節 끝자리에 子音이 두 個 以上 한꺼번에 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 /ㅂㅆ/~/ㅂ/
    • 값이 /ga i 갑씨/ ~ 값 /ga b 甲/
  • /ㄹㅂ/~/ㅂ/
    • 밟아 /ba rb a 발바/ ~ 밟자 /ba: b ζa 밥:짜/
  • /ㄹㅍ/~/ㅂ/
    • 읊어 / ? rp ? 乙퍼/ ~ 읊자 / ? b ζa 邑짜/
  • /ㄹㅁ/~/ㅁ/
    • 삶이 /sa: rm i 살:美/ ~ 삶 /sa:m 三:/
  • /ㄴㅈ/~/ㄴ/
    • 앉아 /a nj a 안자/ ~ 앉자 /a n ζa 안짜/
  • /ㄹㅂ/~/ㄹ/
    • 넓어 /n ? rb ? 널버/ ~ 넓다 /n ? r δa 널따/
  • /ㄹㄱ/~/ㄹ/
    • 읽어 /i rg ? 一擧/ ~ 읽고 /i r γo 일꼬/
  • /ㄱㅆ/~/ㄱ/
    • 넋이 /n ? i 넉氏/ ~ 넋 /n ? g 넉/
  • /ㄹㄱ/~/ㄱ/
    • 읽어 /i rg ? 一擧/ ~ 읽자 /i g ζa 益짜/

初聲의 形態音韻論的 交替 [ 編輯 ]

위에서 言及한 音韻論的인 交替 以外의 條件에서 이뤄지는 硬音化, 激音化, 鼻音化는 形態音韻論的 交替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交替는 形態素 의 境界에서 일어난다.

硬音化 [ 編輯 ]

子音語幹 用言 御間 에 平音으로 始作되는 接尾辭 , 어미 가 붙을 때는 御間 끝 子音이 鼻音이나 流音이라도 接尾辭, 語尾의 첫소리인 平音이 硬音으로 交替된다.

  • 삼고 /sa:m γ o 三:꼬/
  • 핥고 /har γ o 할꼬/

體言 의 境遇 合成語에서 平音이 硬音으로 바뀌는 現象이 있다. 또 一部 漢字語 에서도 硬音化 現象을 볼 수 있다.

  • 말버릇 /ma:r β ? r ? d 말:뻐륻/
  • 保險證 /bo:h ? m ζ ? ŋ 報:險쯩/
激音化 [ 編輯 ]

用言 가운데 接尾辭, 語尾의 첫소리가 平音으로부터 激音으로 바뀌는 것이 있다.( 激音化 , 有氣音化 ) 이와 같은 用言은 御間 끝에 /ㅎ/을 가진다고 생각하는 境遇가 많다. 맞춤法上으로 ‘ㅎ’ 받침을 가진 것(ㅎ, ㄶ, ㅀ)이 이에 該當한다.

  • 놓고 /no k o 怒코/
鼻音化 [ 編輯 ]

漢字語 에서 終聲 /ㄴ/ 直後의 流音 /ㄹ/이 /ㄴ/으로 바뀌는 現象이 있다. 宗姓 /ㄴ/科 初聲 /ㄹ/ 사이에 形態素 의 境界가 있는 境遇에 /ㄹ/이 /ㄴ/으로 交替된다. 다만 北의 標準語 發音으로는 /ㄹ/이 그대로 維持된다.

  • 生産量 /s ? ŋsan n jaŋ 生産兩/ (남의 標準語) ― /s ? ŋsan r jaŋ 生産量/ (北의 標準語)
口蓋音化 [ 編輯 ]

御間 끝소리로 /ㄷ/을 가진 御間 뒤에 /ㅣ/ 또는 /히/로 始作되는 接尾辭, 語尾가 붙을 때 /ㄷ/科 /ㅣ/, /히/가 어울리면서 /지/ 또는 /치/로 나타나는 現象. 맞춤法으로는 받침 ‘ㄷ, ㅌ’ 뒤에 ‘李, 히’를 적는다.

  • 미닫이 /mida ji 美다지/
  • 같이 /ga ci 價値/
  • 닫힌다 /da ci nda 다친다/
  • 핥인다 /har ci nda 할친다/

音素 交替와 맞춤法 [ 編輯 ]

韓國語 맞춤法에서는 同一한 形態素 는 恒常 同一하게 적는 것이 原則이다(형태주의). 따라서 위와 같은 다양한 音素 交替가 있어도 發音대로 적지 않는다.

모음 調和 [ 編輯 ]

韓國語는 지난날에 比較的으로 明確한 모음 調和 가 있었다. 中世 韓國語 에서 母音은 陽聲母音 /ㅏ, ㅗ, ㆍ/, 音聲母音 /ㅓ, ㅜ, ㅡ/, 中性母音 /ㅣ/ 세 가지 그룹으로 區分되며 原則的으로 한 單語 內部에서는 同一 그룹에 屬하는 母音만이 使用되었다. 다만 中性母音은 陽聲母音, 陰性母音 어느쪽과도 함께 나타날 수 있었다.

陽聲母音 /a ㅏ/ /o ㅗ/ / ? ㆍ/
音聲母音 / ? ㅓ/ /u/ ㅜ / ? ㅡ/
中性母音 /i ㅣ/
  • /s a s ? m/ ― 陽母音
  • / ? rg u r/ ― 陰謀陰

中世 韓國語의 母音 調和는 한 形態素 內部에 그치지 않고 그 形態素에 附屬되는 語尾類까지 미쳤다. 例를 들어 ‘-는’은 /n ? n/~/n ? n/처럼 陽性母音型과 音聲母音型이 있고 語幹이 陽性母音이냐 音聲母音이냐에 따라 가려서 쓰였다.

  • /na n ? n / (나는) ― 陽聲母音
  • /n ? n ? n / (너는) ― 音聲母音

現代 韓國語에서 母音 調和는 거의 무너져 있으며 몇 가지가 化石敵으로 그 痕跡을 간직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나는 用言 活用形 /아/~/어/이다. 그러나 口語에서는 陽聲母音 語幹에서도 /어/가 나타날 수 있다.

  • 받아 /바다/ (陽聲母音 御間) ― 받어 /바더/ (口語)
  • 먹어 /머거/ (音聲母音 御間)

用言 中에는 母音의 陰陽에 따른 雙을 가지는 것이 있다.

  • 작다 ― 적다

義城 擬態語를 비롯한 音聲象徵魚는 現代 韓國語에서 母音 調和가 가장 잘 남아 있는 語彙 部類이다. 陽聲母音 單語가 ‘밝음, 작음, 가벼움’과 같은 뉘앙스를 가지는 데 反해 音聲母音 單語는 ‘어두움, 큼, 무거움’과 같은 뉘앙스를 가진다고 한다.

  • 반짝 ― 번쩍
  • 활활 ― 훨훨
  • 졸졸 ― 줄줄

다만 中世 韓國語와 現代 韓國語는 母音 體系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現代 韓國語 音聲象徵魚에서 볼 수 있는 母音 調和의 雙들은 中世 韓國語의 그것과 同一하지 않다. 다음 表는 現代 韓國語 音聲象徵魚에서 볼 수 있는 母音 調和의 雙들이다.

陽聲母音 /ㅏ/ /ㅗ/ /ㅐ/
音聲母音 /ㅓ/ /ㅡ/ /ㅜ/ /ㅣ/
  • 꼴깍 ― 꿀꺽
  • 싹싹 ― 쓱쓱
  • 뱅뱅 ― 빙빙

參考 文獻 [ 編輯 ]

  • 배주채(2013) “韓國語의 發音”, 改訂版, 三更文化史
  • 이현복(2002) “韓國語 標準發音事前”, 서울대학교출판부
  • 이호영(1996) “國語音聲學”, 太學士
  • 허웅(1985;1997) “國語 音韻學”, 샘 文化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