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대장공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제국대장공주
齊國大長公主
元 세조의 公主
高麗 忠烈王의 王妃
在位 1274年 6月 18日 ~ 1297年 5月 21日 (陰曆)
前任 경창궁주 劉氏
後任 계국대장공주
이름
보르지긴 쿠틀룩 켈미쉬
(??支斤 忽都魯揭里迷失)
別號 怨聲公州(元成公主), 安平公州 (安平公主)
시호 장목王后(莊穆王后)
尊號 人命太後(仁明太后)
身上情報
出生日 1259年 6月 28日 ( 1259-06-28 ) (陰曆)
出生地 蒙古 帝國
死亡日 1297年 5月 21日 ( 1297-05-21 ) (37歲) (陰曆)
死亡地 高麗 開京 현성사
國籍 元나라 · 高麗
父親 쿠빌라이
母親 車브이 카둔
配偶者 충렬왕
子女 2男 1女
충선왕 , 公州 (漕卒) , 王子 (漕卒)
陵墓 古陵 (高陵)

제국대장공주 (齊國大長公主, 1259年 7月 22日 ( 陰曆 6月 28日 ) [1] [2] ~ 1297年 6月 11日 ( 陰曆 5月 21日 ) [3] )는 高麗 충렬왕 의 第1비이다. 이름은 쿠틀룩 켈미쉬 (忽都魯揭里迷失, 홀도로게리미실, 또는 홀毒怯미사)이다. 高麗의 첫 元나라 出身 王妃로, 칭기즈 칸 의 曾孫女이며 元 世祖 쿠빌라이 칸 의 딸이다. 장목王后 (莊穆王后)라고도 한다. 怨聲公州(元成公主), 安平公州 (安平公主)로도 부른다.

生涯 [ 編輯 ]

家計 [ 編輯 ]

高麗가 元나라의 신하국을 自處하면서 처음으로 婚姻關係를 맺은 王妃로, 1259年 陰曆 6月 28日 元 世祖(쿠빌라이)와 亞屬眞價돈 (阿速眞可敦)의 딸로 태어났다. 姓은 보르지긴 (??支斤, 牌亞遲筋) 또는 器樂온(奇渥溫) [4] , 이름은 쿠틀룩 켈미쉬 (忽都魯揭里迷失, 홀도로게리미실, 또는 홀毒怯미사 [週 1] )이다. 제국대장공주 以後로 高麗의 王은 元나라 皇族 또는 貴族 家門과 婚姻하는 境遇가 많았으나, 皇帝의 直系로 考慮에 媤집을 온 境遇는 그女가 唯一하다(계국대장공주의 境遇 追尊皇帝의 直系이므로 實際로 皇帝 자리에 앉았던 皇帝의 直系로서 시집온 건 제국대장公主가 唯一하다.). [5] .

齊國大長公主의 아버지 쿠빌라이는 몽골 帝國 의 第5代 大칸 利子 元나라의 初代 皇帝 로, 칭기즈칸 의 4男 툴루이 의 넷째 아들이다. 蒙古 帝國의 이름을 大元帝國(大元帝國)으로 고치고 都邑을 베이징 으로 옮겼으며, 高麗와 日本 , 東南아시아 等을 征服하기도 한 皇帝이다 [6] . 그러나 제국대장公主는 쿠빌라이의 代카툰, 第2, 第3, 第4오르度의 小生이 아닌 其他 後宮의 所生이었다.

王妃 冊封 [ 編輯 ]

16歲 때인 1274年(元宗 15年) 陰曆 5月 11日 元나라에 立朝해있던 39歲의 世子 審(諶, 충렬왕)과 婚姻하였으며 [7] , 그 해 陰曆 6月 元宗 이 죽고 忠烈王이 卽位하면서 王妃에 冊封되었다. 元來 忠烈王은 1260年(元宗 元年) 이미 新種 의 曾孫女인 王氏( 정화궁주 )와 結婚하고 王氏는 이미 太子妃로 冊封된 狀態였으나 [8] , 王氏보다 14年이나 늦게 婚姻한 제국대장公主가 賞國인 元나라의 公主라는 理由로 第1비의 位置를 차지하고 王氏는 後宮 으로 물러나야 했다. 公主는 이 해 陰曆 10月 高麗에 들어왔는데, 忠烈王은 元나라式으로 辮髮을 하지 않은 臣僚들을 꾸짖기까지 하였다 [9] . 1275年(忠烈王 元年) 陰曆 1月 6日 怨聲公州 (元成公主)에 封해지고 [10] , 公主가 居處하는 곳을 京城宮 怨聲展(敬成宮 元成殿)이라 하였으며 公主를 위해 富(府)를 設置하여 그 이름을 응選(膺善)이라 하고 관속을 두었다 [11] .

高麗가 元나라의 駙馬國이 되면서 그 影響으로 1275年(忠烈王 1年) 高麗의 管制는 모두 한 段階 格下된 形態로 改編되었다. 이때 中書門下省 尙書省 이 합쳐져 僉議府 가 되었고, 中樞院 密直使 로, 御史臺 監察司 로, 二部 禮部 가 합쳐져 典理司 가 되었다 [12] .

王妃 時節 [ 編輯 ]

제국대장公主는 高麗로 시집오면서 元나라에서 自身의 侍從들을 그대로 데리고 왔는데, 이들은 高麗에 들어온 後에도 繼續해서 蒙古 風習을 維持하면서 高麗에 蒙古 風習이 蔓延하게 되었다. 그밖에 宴會를 즐기기를 좋아하였는데, 公主는 自身의 어머니가 죽었을 때에도 宴會를 즐기는 境遇가 있었다 [13] . 또 公主와 親分이 있으면 큰 罪를 지어도 今方 풀려나곤 하였다. 조인규 [週 2] 는 國家 財物을 橫領하고 罪없는 사람을 誣告했음에도 團地 公主와 親分이 있어 귀양에서 今方 풀려나고, 後날 監察大夫의 자리에까지 올랐다 [14] .

그러나 公主는 잦은 사냥을 나가는 忠烈王에게 사냥을 中止하고 國事에 힘쓸 것을 諫하는 等의 面貌를 보이기도 하였으며 [15] , 性格도 매우 嚴하고 밝아 自身의 側近들 中 잘못을 하는 者가 있으면 조금도 容恕하지 않았다 [16] .

1275年(忠烈王 元年) 陰曆 9月 30日 査辦宮(沙坂宮)에서 아들을 낳으니, 그가 곧 後날의 충선왕이다 [17] . 이 해 陰曆 12月, 公主가 아들을 낳은 것을 祝賀하는 宴會가 열렸다. 이 宴會에서 忠烈王은 命令을 내려 公主와 정화궁주의 자리가 같은 位置에 놓이게 했는데, 公主는 이를 自身과 정화궁주를 同格으로 取扱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크게 憤怒하여 結局 정화궁주의 자리를 옮기게 만들었다. 暫時 後 정화궁주가 무릎을 꿇고 公主에게 술盞을 올리자 忠烈王이 돌아보면서 눈짓을 하였는데, 公主는 이를 두고 "어째서 나를 흘겨보십니까? 정화궁주가 나에게 꿇어 앉아 그러는 것입니까?"라며 쏘아붙이기도 하였다. 結局 宴會는 곧바로 끝나고 말았다 [18] .

1276年(忠烈王 2年) 陰曆 5月에는 忠烈王과 公主가 興王寺 에 行次하였다. 그런데 公主가 興王寺에 있는 金塔을 宮內로 뺏어오고, 그 金塔의 裝飾은 公主를 따라 高麗로 들어왔던 始終 홀라대 (忽刺?), 삼가 (三哥)李 훔쳐가는 일이 있었다. 公主는 元來 이것을 解體하여 史跡으로 쓰고자 했는데, 忠烈王이 이를 못하게 하자 公主는 울기만 하였다. 얼마 後 忠烈王과 公主가 다시 興王寺에 흥차하였는데, 興王寺의 들이 金塔을 돌려달라고 哀乞하였지만 公主는 이를 拒否하였다 [19] .

같은 해 陰曆 12月에는 어떤 이가 當時 高麗에 다루가치 [週 3] 로 와 있던 席末天球 (石抹天衢)의 官舍에 한 匿名書를 投入하는 일이 있었다. 匿名書를 投入한 者는 匿名書를 投入한 後 곧 "옷이 있거든 입고 밥이 있거든 먹어 다른 이의 所得이 되게 하지 말라."고 외쳤다. 匿名書가 投入된 다음날 席末天球가 이러한 事實을 忠烈王과 公主에게 告하였는데, 그 匿名書에는 "정화궁주가 王의 寵愛를 잃자 女子 무당을 시켜 公主를 詛呪하게 하고 있다. 또 제안공 을 비롯한 43名이 不軌한 짓을 圖謀하여 다시 江華島 로 들어가려고 한다." 라고 적혀 있었다. 이에 憤慨한 公主는 정화궁주를 羅將(螺匠)에 가두고 그女의 訃告 [週 4] 를 封鎖하였다. 그러나 바로 다음날 유경 (柳璥)의 懇切한 呼訴를 듣고 公主가 感動하고 깨닫는 것이 있어서 정화궁주 等을 모두 석방시켰다 [19] .

1277年(忠烈王 3年) 陰曆 7月에는 忠烈王과 公主가 天孝社 (天孝寺)에 갔는데, 公主가 侍從들이 적다며 道路 돌아오는 바람에 충렬왕度 돌아와야 했다. 이때 公主는 忠烈王을 지팡이로 毆打하였고, 公主의 畫家 조금 풀려 다시 天孝社에 갔는데 이때는 忠烈王이 自身을 기다리지 않고 먼저 들어갔다며 또 忠烈王에게 辱을 하고 때리기도 하였다 [20] .

같은 해 陰曆 7月 29日에는 元宗의 第2비인 경창궁주 와 그 아들 순안공 王종이 詛呪를 行한다는 無辜가 올라왔다. 當時 詛呪의 內容은 경창궁주가 自身의 아들 순안공이 公主에게 장가들어 王位에 오르려 하게 한다는 것이었다 [21] . 이 報告를 받은 忠烈王은 大臣들을 시켜 경창궁주를 國文하고 순안공에 對해서는 親鞠까지 하였으나, 代身들이 경창궁주 帽子를 容恕하기를 請하여 忠烈王은 이들의 財産을 籍沒하는 線에서 일을 마무리지으려고 하였다. 하지만 이 亦是도 大臣들이 財産의 籍沒 또한 賞國인 元나라의 指示를 받아야 한다고 主張하여 그 方針대로 하기로 하였으나, 公主가 이러한 節次를 省略하고 財産을 籍沒해야 한다고 强力히 主張하는 바람에 結局 이들의 財産은 公主에게 沒收되었다 [22] . 以後 元나라의 指示에 依해 1277年(忠烈王 3年) 陰曆 9月 16日 경창궁주가 廢位되어 西人의 身分으로 轉落하였고, 순안공은 口音度 (仇音島) [週 5] 라는 섬으로 流配를 가야 했다 [23] .

한便 1281年(忠烈王 7年) 陰曆 3月 20日 元 世祖가 忠烈王을 釜馬國王(駙馬國王)으로 正式 冊封하였다 [24] .

1282年(忠烈王 8年) 陰曆 8月에는 元 世祖가 忠烈王에게 옛 宋나라 議官 年德臣 (鍊德新)을 하사하였는데 [25] , 年德臣이 精力이 剛해지는 藥인 조양환(助陽丸)을 만들어 바친 적이 있었다. 하지만 當時 高麗의 天文家 오윤부 (伍允孚)가 '이 藥은 王의 몸에 좋지 못하니, 삼한의 子孫을 蕃盛하지 못하게 할 사람은 바로 이 者다.'라고 하였고, 正말 忠烈王이 그 藥을 먹은 後 結婚 初 해마다 胎氣를 보이던 公主는 다시는 妊娠을 하지 못하였다 [26] . 한便 오윤부는 忠烈王이 太廟 에 새로운 神位 를 모시면서 이에 祭祀를 지낼 때, 公主가 함께 祭祀에 參與하겠다는 것을 "太廟는 祖上의 神靈이 있는 곳"이라고 主張하여 參與하지 못하게 하였다. 또 公主가 새 宮闕의 新築 工事를 벌이자 하늘에 特異한 現象이 나타났음을 들어, 公主에게 宮闕 工事를 中斷하고 德을 닦을 것을 勸誘하였다. 그러나 公主는 이 말을 듣지 않고 다시 宮闕 新築을 벌이는데, 이때 公主는 오윤부에게 擇一을 命하였으나 이를 拒否하여 削奪官職을 當하였다. [27] .

1294年(忠烈王 20年) 陰曆 6月 29日 公主는 조카인 원 成宗 에 依해 安平公州 (安平公主)에 封해졌다 [28] . 이때부터 충렬왕 元나라 쿠릴타이 에도 序列 7位 資格으로 參與할 權限이 주어졌다.

死亡 [ 編輯 ]

1297年(忠烈王 23年) 公主는 壽康宮 香閣에 있으면서 始終에게 활짝 핀 芍藥 을 하나 꺾어오라고 시켰다. 그리고는 이 芍藥을 한참동안이나 바라보고 흐느끼더니, [29] 얼마 後인 陰曆 5月 9日 病이 들었다. [30] 3日 後인 陰曆 5月 12日 忠烈王과 公主는 현성사 (賢聖寺)에 行次하였는데, [31] 公主는 陰曆 5月 21日 현성사에서 39歲를 一期로 死亡했다. [3] 古陵 (高陵)이며, 같은 해 9月에 장목人命王后 (莊穆仁明王后)의 시호 [32] , 이어 정민장선인名太後 (貞敏莊宣仁明太后)의 諡號를 받았으며 [33] , 1298年(忠宣王 卽位年) 陰曆 8月 14日에는 忠宣王에 依해 正式으로 人命太後 (仁明太后)로 追尊되었다 [34] . 한便 1310年(忠宣王 2年) 公主의 宗孫自認 원 武宗 皇考 제국대장공주 (皇姑 齊國大長公主)에 追封하였고 [35] , 이 해 陰曆 9月 忠烈王과 함께 太廟에 祔廟되었다 [36] .

公主가 死亡하고 約 두 달이 지난 1297年(忠烈王 23年) 陰曆 7月 27日, 忠宣王은 어머니가 病을 얻게 된 것이 임금의 寵愛를 投機하는 者들의 所致라 하여 忠烈王의 後宮 무비 를 殺害하고, 그와 關聯된 여러 사람을 귀양 보내거나 죽이고 가둔 後 [37] 예쁜 寡婦 하나(後날의 숙창원비 )를 忠烈王에게 바쳤다 [38] . 이에 衝擊을 받은 忠烈王은 忠宣王에게 讓位하고 太上王으로 물러나게 된다 [39] .

後孫 [ 編輯 ]

충렬왕과의 사이에서 2男 1女를 낳았다. 그러나 長男 忠宣王을 除外한 나머지 1男 1女에 對해서는 낳았다는 記錄만 있을 뿐 [13] [40] , 그 生涯에 對한 記錄은 남아있지 않다.

충렬왕 事後 충선왕부터 昌王 까지 모두 公主의 後孫으로 王統이 이어진다 [週 6] . 그리고 며느리인 계국대장공주 는 齊國大長公主의 조카인 원 顯宗 (辰王 [週 7] )의 딸로 公主의 從孫女가 되는 等, 제국대장공주 以後로 登場하는 元나라 出身의 王妃들도 모두 그女와 血族 關係에 있다.

한便 정화궁주의 所生인 강양공 王子는 元來 忠烈王의 長男이나, 元나라 公主의 小生이 아니라는 理由로 [41] 王位에 오르지도 못한 채 忠淸道 아주 (牙州) [週 8] 에 있는 桐審査 (東深寺)에 出家해야 했다 [42] . 그러나 강양공의 次男인 王考 는 忠宣王의 寵愛를 받아 나중에 瀋陽王 의 자리에 오를 뿐 아니라 [43] , 이를 基盤으로 하여 忠宣王의 아들인 충숙왕 의 王位를 넘보거나 元나라에 충숙왕을 誣告하여 곤란하게 하기도 하였다 [44] .

影響 [ 編輯 ]

제국대장公主가 高麗로 媤집 온 것을 起點으로 하여, 高麗의 王들은 모두 元나라의 皇族 出身의 女人을 王妃로 맞이하게 된다 [45] . 또 高麗의 王位는 元나라의 公主와 結婚한 者에게만 돌아갔다 [5] . 實際로 충혜왕 이 元나라로 끌려간 後 그 王位는 장성한 동생 공민왕 이 아닌 어린 아들들( 충목왕 , 충정왕 )에게 돌아갔다. 恭愍王의 境遇 어머니마저 高麗人( 명덕태후 )이었기 때문에 王位에 오를 可能性이 稀薄해지자, 일부러 元나라의 皇族 노국대장공주 와 結婚을 하게 된다. 以後 1351年(恭愍王 卽位年) 恭愍王은 王으로 登極하는데 成功한다 [46] .

評價 [ 編輯 ]

一部 學者는 제국대장公主가 旣存의 高麗 出身 王妃와는 完全히 다른 待接을 받았으며, 상국의 公主라는 身分을 앞세워 國王보다 强力한 權限을 行使하였다고 評價하였다 [44] . 더불어 지나치게 佛敎 를 믿는 바람에 佛事에 國庫를 浪費하였다는 評價가 있다 [47] .

한便 釜山日報 는 2005年 10月 6日의 記事에서, 제국대장공주 所生의 忠宣王을 始作으로 元나라 出身 王妃들 所生의 高麗의 王들이 大部分 性格이 좋지 않고 一部는 夭折까지 하였기 때문에, 이들이 어떠한 遺傳的 缺陷을 가지고 있지 않았을까라는 推測을 하였다 [45] .

기타 [ 編輯 ]

  • 제국대장公主가 高麗에 들어올 때 公主를 따라서 들어온 侍從들 中 一部가 高麗에 定着하면서 이름을 考慮式으로 바꾸고, 一部 姓氏의 始祖가 되었다. 이들은 忠烈王에게 高麗式 이름을 下賜받고, 모두 中浪腸이 되어 內侍府에 所屬되었다. [48]
    • 인후 : 1275年(忠烈王 1年) 公主의 怯靈柩 [49] 로 高麗로 들어온 몽골인 中 後라타이(홀라대, 忽刺?)라는 이가 있었는데, 後라타이는 大將軍이었던 인공수 의 집에서 지내면서 自身의 이름을 인후 로 바꾸었다. 인후는 沿岸 印氏의 始祖가 되었다. [50]
    • 장순룡 : 公主를 따라서 怯靈柩로 高麗로 들어왔던 이슬람系 사람인 상기(三哥)는 元나라로 歸國하지 않고 高麗에서 繼續 살았는데, 後날 이름을 장순룡 (張舜龍)으로 고쳤다. 장순룡은 덕수 張氏 의 始祖가 되었다. [51]
    • 谷山 延氏  : 公主를 따라 高麗로 들어온 硏修窓 (延壽菖)李 始祖로, 硏修窓은 谷山 [週 9] 에 定着하여 살면서 谷山 延氏의 始祖가 되었다 [52] .
    • 此身 (車信)은 本來 高麗 사람인데, 몽골의 侵攻 時期에 끌려간 어머니가 齊國大長公主의 乳母가 되어 車신은 公主의 寵愛하는 臣下였다. 齊國大長公主의 怯靈柩 身分으로 公主와 함께 高麗로 歸國하여 1290年 上將軍, 1308年(忠宣王 卽位年)에 僉議贊成事 판醫調査가 되었다 [53]
    • 露營 (盧英)은 元來 이름은 詩투르[式篤兒]로, 下西國(河西國)(티베트系의 당항(黨項)) 사람으로, 亦是 公主를 따라 高麗로 들어왔다. 以後 이름을 노영으로 바꾸었다. [54]
  • 仁川廣域市 江華郡 에 있는 査察 傳燈寺 에는 벌거벗은 女人을 彫刻한 나負傷이 있다. 이에 對해 정화궁주를 嫉妬한 제국대장공주를 벌주기 위해 옷을 벗은 形態로 彫刻했다는 說이 傳한다 [55] . 傳燈寺는 정화궁주의 願刹 이었다 [56] .
  • 忠宣王은 忠烈王과 제국대장공주를 위해 禁書大藏經 (金書大藏經)을 製作하였다 [57] .

家族 關係 [ 編輯 ]

元나라 出身 高麗 王妃들과의 關係 [ 編輯 ]

  • 충선왕 第1비 계국대장공주 : 齊國大長公主의 조카인 원 玄宗의 딸로, 齊國大長公主의 從孫女이다 [58] .
  • 충숙왕 第1비 복국장공주  : 齊國大長公主의 男妹이자 元 世祖의 6男 後게치 의 孫女로, 영왕 에센티무르 (也先帖木兒)의 딸이다. 齊國大長公主의 從孫女이다 [58] .
  • 충숙왕 第2비 조국장공주  : 齊國大長公主의 조카인 원 純宗 의 長男 에무게 (阿木可)의 딸로, 齊國大長公主의 從曾孫女이다 [59] .
  • 충혜왕 第1비 정순숙醫公州  : 齊國大長公主의 男妹이자 元 世祖의 7男 오그룩치 (?都赤)의 曾孫女로, 진서무정왕 超팔 (焦八)의 딸이다. 齊國大長公主의 從曾孫女이다 [58] .
  • 공민왕 第1비 노국대장공주 : 齊國大長公主의 조카인 원 順從의 長男 아목가의 孫女이며, 조국장공주의 조카이다 [58] .
  • 충선왕 第2비 倚毗 와 충숙왕 第3비 熟供휘령공주 에 對해서는 그 家計에 對한 仔細한 記錄이 없어, 제국대장公主와 그女들과의 關係는 알 수 없다 [60] .

제국대장公主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註解 및 各州 [ 編輯 ]

註解
  1. 忽篤?迷思. 《東文選》權62 Archived 2017年 3月 23日 - 웨이백 머신 , 《益齋亂藁》第9卷 上 Archived 2017年 3月 23日 - 웨이백 머신 等 參考
  2. 忠宣王의 第5비 조비 의 아버지
  3. 元나라에서 總督이나 支社 等을 일컫는 單語로, 高麗에도 內政干涉을 위해 1231年(高宗 18年)부터 派遣되었다. 韓國民族文化大百科 〈다루가치〉項目 , 네이버 百科事典 〈다루가치〉項目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參考
  4. 物件을 保管하던 倉庫를 말하며, 庫집 또는 庫間과 같은 말이다. 네이버 語學事前 參考
  5. 高麗史 》〈地〉에서는 江華島 에 屬한 곳으로 記錄되어 있으나, 現在는 그 仔細한 位置를 알 수 없다. 《東史綱目》第12하 - 1283年 Archived 2016年 3月 21日 - 웨이백 머신 參考
  6. 高麗의 마지막 王인 공양왕 은 新種의 7代孫이다.
  7. 晉王. 이름은 카말라(甘麻剌)이다.
  8. 只今의 忠淸南道 牙山市 이다. 韓國民族文化大百科 〈아주〉項目 參考
  9. 只今의 黃海道 谷山郡 이다. 韓國學中央硏究院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谷山郡〉項目 參考
  10. 元나라의 初代 皇帝 稱기스 칸(怨 太祖)의 아들
  11. 齊國大長公主의 조카 원 玄宗의 딸
各州
  1. 《高麗史》 卷89 〈列傳〉 卷2 后妃 列傳 - 충렬왕 后妃 제국대장공주
  2. 《高麗史》 卷28 〈勢가〉 卷28 - 忠烈王 元年 6月 淨妙(丁卯) 記事
  3. 《高麗史》 卷31 〈勢가〉 卷31 - 忠烈王 23年 5月 壬午(壬午) 記事
  4. “《東史綱目》第11하 1274年” . 2017年 3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1月 1日에 確認함 .  
  5. 최영창 (2010年 11月 17日). “高麗 王-元나라 公主 80年間의 ‘通婚 政治’” . 文化日報 . 2012年 6月 16日에 確認함 .  
  6. 네이버 知識百科 〈쿠빌라이 칸〉
  7. 《高麗史》權27〈勢가〉권27 - 元宗 15年 5月 - 世子 心이 원 公主에게 장가들다
  8. 《高麗史》權25〈勢가〉권25 - 元宗 元年 11月 - 王仁의 딸을 太子妃로 삼다
  9. 《高麗史》權28〈勢가〉권28 - 忠烈王 卽位年 10月 - 王이 辮髮을 하지 않은 臣僚들을 責望하다
  10. 《高麗史》權28〈勢가〉권28 - 忠烈王 元年 1月 - 원 公主를 怨聲公主로 冊封하다
  11.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쿠투루칼리미쉬공주를 怨聲公主로 冊封하다
  12. “《拙藁千百》權2 - 同人四六(東人四六) 序文” . 2017年 3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1月 1日에 確認함 .  
  13.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怨聲公主가 自己 어머니의 訃告에도 잔치에 參與하다
  14. 김영인 (2003年 4月 17日). “(DT 詩論) 아랫물 맑은데…” . 디지털타임스 . 2012年 6月 16日에 確認함 .  
  15.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怨聲公主가 忠烈王의 사냥에 同行하였다가 王에게 忠告하다
  16. “《東文選》權118 - 光祿大夫 平章政事 上洛府院君 房公社黨費” . 2016年 3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1月 1日에 確認함 .  
  17. 《高麗史》權28〈勢가〉권28 - 忠烈王 元年 9月 - 公主가 아들을 낳다
  18. 《東國通鑑》權 37 高麗技 1275年
  19. 《東國通鑑》權37 高麗技 1276年
  20. 《東國通鑑》權37 高麗技 1277年
  21. 《高麗史》權28〈勢가〉권28 - 忠烈王 3年 7月 - 경창궁주와 王종이 詛呪를 行한다는 告變이 들어오다
  22. 《高麗史》權91〈列傳〉權4 - 순안공 王種
  23. 《高麗史》權28〈勢가〉권28 - 忠烈王 3年 9月 - 원 皇帝의 指示에 따라 경창궁주를 廢位시키고 王種을 流配보내다
  24. 《高麗史》權29〈勢가〉권29 - 忠烈王 7年 3月 - 원 皇帝가 王을 釜馬國王으로 冊封하다
  25. 《高麗史》權29〈勢가〉권29 - 충렬왕 8年 8月 - 원 皇帝가 藥물을 보내다
  26.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怨聲公主가 忠烈王에게 美女를 받친 김중경을 巡馬所에 下獄하다
  27. 이한우 (2012年 8月 30日). 《高麗史로 考慮를 읽다》. 21世紀북스. 286~287쪽. ISBN   978-89-509-3901-4 .  
  28. 《高麗史》權31〈勢가〉권31 - 忠烈王 20年 6月 - 원 皇帝가 公主를 安平公主로 冊封하다
  29. 『高麗史』 卷89, 「列傳」2, 제국대장공주
  30. 『高麗史』 卷31, 「世家」31, 忠烈王 23年(1297) 5月 9日(경오)
  31. 『高麗史』 卷31, 「世家」31, 忠烈王 23年(1297) 5月 12日(戒喩)
  32.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安平公主의 葬禮를 지내고 諡號를 내리다
  33. 《高麗史》權33〈勢가〉권33 - 충선왕 卽位年 1月 - 王이 各種 赦免과 褒賞을 行한다는 敎書를 내리다
  34. 《高麗史》權33〈勢가〉권33 - 충선왕 卽位年 8月 - 安平公主를 人命太後로 推尊하다
  35.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원 武宗이 安平公主를 秋捧하다
  36. “《東史綱目》第13床 1310年” . 2016年 3月 2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1月 1日에 確認함 .  
  37. 《高麗史》權31〈勢가〉권31 - 忠烈王 23年 7月 - 世子가 무비와 도성기 等을 處刑하다
  38. 《高麗史》權31〈勢가〉권31 - 忠烈王 23年 8月 - 世子가 예쁜 寡婦를 王에게 바치다
  39. 《高麗史》權31〈勢가〉권31 - 忠烈王 24年 1月 - 새 王이 王에게 尊號를 바치다
  40. 《高麗史》權89〈列傳〉權2 - 제국대장공주 - 怨聲公主가 忠烈王과 함께 원에 入朝하다가 되돌아오다
  41. 《東國通鑑》權42 高麗技 1313年
  42. 《高麗史》權91〈列傳〉權4 - 강양공 - 강양공 王子가 童心社에 出嫁하였다가 還俗하다
  43. 《高麗史》權34〈勢가〉권34 - 충선왕 5年 3月 - 王이 心王 자리를 世子 號에게 傳하다
  44. 朴榮圭 (2000年 3月 25日). 《한卷으로 읽는 考慮王朝實錄》. 들녘. 416쪽. ISBN   89-7527-154-4 .  
  45. “(科學으로 여는 世上) 王家의 遺傳子學 小鼓(小考)” . 釜山日報. 2005年 10月 6日 . 2012年 6月 30日에 確認함 .  
  46. 《韓國史 傳》第51回 - 神話가 된 사랑, 恭愍王과 魯國公主, 2008年 7月 26日 放送, KBS1.
  47. 韓國學中央硏究院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제국대장공주〉項目
  48. 『高麗史節要』 卷19, 忠烈王 3年(1277) 1月條
  49. 몽골語의 게르엔케헤드의 音域(音譯)으로, 겹聯句(怯憐口)라고도 表記된다. 몽골국에서 皇室, 帝王(諸王), 貴族 等의 社속인(私屬人)을 가리킨다. 書院團(徐元端)의 『이학지남』 호계(戶計) 및 『高麗史』 卷123, 「列傳」36, 인후 參照.
  50. 『高麗史』 卷123, 「列傳」36, 인후(印侯) 및 인승단(印承旦)
  51. 『高麗史』 卷123, 「列傳」36, 장순룡
  52. 네이버 知識事前 〈谷山延氏〉項目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53. 『高麗史』 卷123, 「列傳」36, 차신
  54. 『高麗史』 卷123, 「列傳」36, 장순룡 部 露營
  55. 宋永吉 (2012年 1月 18日). “鼎足山城에서 본 日出, 傳燈寺 探訪記” . 아주經濟 . 2012年 6月 16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56. 김정봉 (2005年 3月 23日). “10餘 年만에 다시 찾은 傳燈寺” . 오마이뉴스 . 2012年 6月 16日에 確認함 .  
  57. 홍찬식 (1989年 5月 24日). “처음 햇빛本 金書 大藏經” . 東亞日報 . 2012年 6月 16日에 確認함 .  
  58. 이한수 (2006年 11月 13日). 《高麗에 시집온 칭기즈칸의 딸들(世界를 制霸한 몽골帝國의 딸들이 完成한 高麗 末 波瀾의 歷史)》. 김영사. 13쪽. ISBN   89-3492-351-2 .  
  59. 韓國學中央硏究院 - 韓國民族文化大百科 〈조국장공주〉項目
  60. 朴榮圭 (2000年 3月 25日). 《한卷으로 읽는 考慮王朝實錄》. 들녘. 434, 446쪽. ISBN   89-7527-154-4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