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월귤(越橘) - 나무위키

월귤(越橘)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장미(薔薇)
산딸기(山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無患子나무科)
박(朴)과
뽕나무과(科)
선인장(仙人掌)과
포도과(葡萄科)
기타
재배(栽培)
과일
수입(輸入)
과일
: 과채류(果菜類) · 종(種) : 일반적(一般的)으로 과일/견과류(堅果類)보다 종자(種子)에 가까움 · : 일반적(一般的)으로 산지(産地)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外)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 및 재배(栽培)물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Vaccinium vitis-...
Vaccinium vitis-idaea L.
Lingonberry
이명(耳鳴): V. vitis-idaeus
분류(分類)
식물계(植物界)
현화식물문(顯花植物門)
쌍떡잎식물강(雙떡잎植物江)
진달래목
철쭉과
산앵두나무(山앵두나무)속
월귤(越橘)

1 . 개요(槪要) 2 . 특징(特徵) 3 . 생육(生育) 환경(環境) 4 . 이용(利用) 5 . 기타 6 . 관련(關聯) 문서(文書)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월귤(越橘) ( )은 블루베리 의 사촌(四寸)뻘 되는 과일이다. 영어(英語)로는 'lingonberry' 표현(表現)이 일반적(一般的)이지만 'cowberry'나 'partridgeberry', 'mountain cranberry'란 표현(表現)도 사용(使用)된다.

2. 특징(特徵) [편집(編輯)]

소관목(小灌木)으로써 10cm~30cm 내외(內外)의 작은 크기로 자란다.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한 짙은 녹색(綠色)으로 꽃은 종(鐘) 모양(模樣)으로 흰색(흰色) 또는 분홍색(粉紅色)이 섞인 흰색(흰色)을 띄며 6~7월(月)에 꽃이 핀다. 열매는 9~10월(月)에 나며 과즙(果汁)이 많고 신맛이 강(强)하다.

3. 생육(生育) 환경(環境) [편집(編輯)]

1400m 이상(以上) 고산지대(高山地帶) 혹은(或은) 북위(北緯) 50도(度) 이상(以上) 고위도(高緯度)에서 볼 수 있으며, 척박(瘠薄)한 산성토양(酸性土壤)에서 잘 자란다. 유라시아 북부(北部)와 북미(北美)에 널리 분포(分布)한다. 한반도(韓半島) 에도 널리 분포(分布)하였으나 마지막 빙하기(氷河期) 가 끝나고 점차(漸次) 북쪽(北쪽)으로 올라갔다.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雪嶽山) 이북(以北)이나 북부지방(北部地方)의 높은 백두산(白頭山) 의 바위 틈이나 습(濕)한 곳에서 일부(一部) 존재(存在)하나 지대(地帶)가 낮고 온난(溫暖)한 황해안(黃海岸)에서는 아예 볼 수 없다. 주로(主로) 북한(北韓) 에서 자생(自生)하지만 [1] 우리나라에서도 2006년(年) 홍천(洪川) , 2008년(年) 지리산(智異山) 에서 자생(自生)하는 것이 확인(確認) 되었다. 다만 홍천(洪川) 자생지(自生地)의 경우(境遇) 지구(地球) 온난화(溫暖化) 로 인해 사라질 위험(危險)이 있어 보호(保護) 필요성(必要性)이 제기(提起)되고 있다.

위도(緯度)가 높은 시베리아 북유럽(北유럽) 은 상황(狀況)이 정반대(正反對)이다. 해발(海拔) 200m도 안 되는 저지대(低地帶)에서까지 자주 볼 수 있으며 빌베리, 산딸기(山딸기) 와 함께 국민(國民)과일로 통(通)한다.

4. 이용(利用) [편집(編輯)]

신맛이 강(强)하기 때문에 설탕(雪糖)을 타서 으로 만들어 먹는다. 달지 않은 요리(料理)나 고기 요리(料理)와도 어울리므로 스웨덴 식(式) 미트볼 삼겹살(三겹살) 구이 에는 항상(恒常) 그레이비 소스 , motti (Navgrot)라는 미숫가루 와 함께 월귤(越橘) 이 곁들여질 정도(程度). 이케아 에서도 판다. 또한 오스트리아 식(式) 커틀릿 인(人) 비너 슈니첼 에도 월귤잼이 곁들여진다. 알프스 고산지대(高山地帶)에 흔하기 때문이다. 러시아에서 자주 마시는 '모르스'(морс)란 주스 역시(亦是) 월귤(越橘)과 넌출월귤(넌출越橘) 로 만든다.

한국(韓國)에서도 과거(過去)에는 월귤나무(越橘나무)의 잎과 열매를 약(藥)으로 사용(使用)했다. 특히(特히) 류마티스 또는 통풍(通風)에 열매를 달인 물을 사용(使用)했고, 항생제(抗生劑) 대용(代用)으로 사용(使用)하기도 했다. 허나 월귤(越橘) 자체(自體)가 동해안(東海岸) 고산지대(高山地帶)에서 희귀(稀貴)하게 자라는 관목(灌木)인 탓에 대다수(大多數)는 '월귤(越橘)'이란 단어(單語)조차 생소(生疏)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러다 2021년(年) 7월(月) 25일(日) 방영(放映)된 어서와~ 한국(韓國)은 처음이지? 시즌 2의 빌푸네 밥상(밥床) 편(便) 을 통해 잼이 우리나라에 소개(紹介)됐다. 핀란드식(式) 순대에 월귤잼을 [2] 곁들여 먹는 것에서 착안(着眼)해 순대에 소금 대신(代身) 월귤(越橘)잼을 찍어서 먹었더니, 한국인(韓國人)들도 매우 맛있다고 평가(評價)했다.

많은 베리류(類)와 마찬가지로 월귤(越橘) 역시(亦是) 방사능(放射能) 이슈가 잊을만하면 터지므로, 활용(活用)에 유의(留意)가 필요(必要)하다. 기사(記事)

사진(寫眞)을 보면 알겠지만 귤(橘) 이라는 이름이 들어가기만 할뿐 귤(橘) 하고는 아무 상관없는 식물(植物)이다.

5. 기타 [편집(編輯)]

스카이림(林) 에 등장(登場)하는 연금술(鍊金術) 재료(材料) 겸(兼) 요리(料理) 재료(材料)인 인동(忍冬)딸기(Snowberries)의 모티브 중(中) 하나로 추측(推測)된다. 스카이림(林)의 모티브인 북유럽(北유럽) 지방(地方)에서 많이 쓰이는 음식재료(飮食材料)라 그런 듯.

6. 관련(關聯) 문서(文書) [편집(編輯)]

[1] 여기서도 산림(山林)이 많이 훼손(毁損)되고 민둥산(민둥山) 천지(天地)라 개마고원(蓋馬高原) 빼면 멸종위기(滅種危機) 상태(狀態)이다. [2] 방송(放送)에서는 월귤(越橘)이라는 용어(用語)가 생소(生疏)했는지, 영어식(英語式) 표현(表現)인 링곤베리(리) 잼으로 소개(紹介)했다. 핀란드어로는 'puolukkahillo'(푸올루카힐로)라 부른다. (hillo가 잼이라는 뜻)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