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온주밀감(溫州蜜柑) - 나무위키

온주밀감(溫州蜜柑)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 펼치기 · 접기 ]
장미(薔薇)
산딸기(山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無患子나무科)
박(朴)과
뽕나무과(科)
선인장(仙人掌)과
포도과(葡萄科)
기타
재배(栽培)
과일
수입(輸入)
과일
: 과채류(果菜類) · 종(種) : 일반적(一般的)으로 과일/견과류(堅果類)보다 종자(種子)에 가까움 · : 일반적(一般的)으로 산지(産地)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外)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 및 재배(栽培)물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 펼치기 · 접기 ]
독(毒)?립(立)?종(種)
주(週)?요 원?종(種)
시트론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불수감(佛手柑) · 에트로그
포(抛)멜로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독(毒)?립(立)?종(種)
교(校)?잡?종(種)
주(週)?요 교(校)?잡?종(種)
레몬 (비터오렌지×시트론) · 비터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자몽 (오렌지×포(抛)멜로)
오렌지?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만다린?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교(校)?잡?종(種)
감귤(柑橘)의 교잡종(交雜種)
기(基)?타(他)
영귤(英橘) (유자(柚子)×감귤(柑橘)) · 유자(柚子) (의창지(義昌地)×감귤(柑橘)) · 칼라만시(輓詩) | 사계귤(四季橘) (금귤(金橘)×감귤(柑橘))
시트론의 교잡종(交雜種)
키라임 (미크란타(亂打)×시트론)
포(抛)멜로의 교잡종(交雜種)
스위티 (자몽×포(抛)멜로)
레몬의 교잡종(交雜種)
베르가모트 (비터오렌지×레몬) · 페르시아라임 (키라임×레몬)
기타 잡감(雜感)
기타(其他) 분류(分類)?기준(基準)
라임 (형태(形態)) · 만감류(萬感類) (품종(品種) 그룹) · 파페다 (다계통군(契桶軍)) · 오렌지 주스 (음료(飮料)) · 기각(棄却) (한약재(韓藥材))
귤(橘)속 관련(關聯) 문서(文書)
온주밀감(溫州蜜柑) (온주귤(溫州橘))
溫州蜜柑 | Citrus unshiu
온주밀감
학명(學名)
Citrus unshiu
( Swingle ) Marcow.
분류(分類)
장미군 Rosids
온주밀감(溫州蜜柑) C. unshiu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재배품종(栽培品種) 4 . 분류(分類) 5 .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중국(中國) 저장성(저장省) 원저우 (음독(飮毒): 온주(溫州)) 원산(原産)인 귤(橘)속 품종(品種). 보통(普通) 밀감(蜜柑)(蜜柑)이라고 하면 온주밀감(溫州蜜柑)을 뜻한다. 감귤(柑橘) 의 재배종(栽培種)으로 22% 정도(程度)의 포(抛)멜로 유전자(遺傳子)가 포함(包含)되어 있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온주밀감(溫州蜜柑) 최초(最初) 재배(栽培)는 20세기(世紀) 초(初) 프랑스 출신(出身)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宣敎師) 에밀 타케(Emile Taquet, 1873~1952) 신부(神父)다. [1] 1911년(年) 타케 신부(神父)는 일본(日本) 아오모리 에서 선교(宣敎)하는 위르뱅 포리(捕吏) 신부(新婦)에게 왕(王)벚나무 묘목(苗木)을 보낸 답례(答禮)로 온주밀감(溫州蜜柑) 묘목(苗木) 14그루를 받아 서귀포시 서홍동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韓國殉敎福者聖職修道會) '면형(面兄)의 집'에 심었다. 2019년(年) 마지막 남은 한 그루가 고사(枯死)하게 되면서 제주(濟州) 최초(最初)의 감귤(柑橘)나무는 역사(歷史)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기사(記事) . 제주(濟州)에서는 에밀 타케 신부(新婦)가 심(沈)은 때를 기(期)해 제주(濟州) 감귤(柑橘) 100주년(周年) 행사(行事)를 기획(企劃)한 적도 있었지만 윗사람이 바뀌고, 토종귤(土種橘)의 역사(歷史)가 더 오래되었다는 것을 근거(根據)로 +α 해서 무산(霧散)되었다.

한편(한便) 타케 신부(神父)의 온주밀감(溫州蜜柑)이 잘 크는 것을 본 일본인(日本人) 미네(峯)가 1913년(年) 온주밀감(溫州蜜柑) 2년생(年生) 묘목(苗木)을 도입(導入), 나중에 제주농원(濟州農園)이 된 서귀읍(西歸邑) 서홍리에 심어 대량(大量) 상업화(商業化)를 시도(試圖)한다. [2] 또한 일본인(日本人) 미(美)네는 조선인(朝鮮人) 박영효(朴泳孝)와 함께 온주밀감(溫州蜜柑)뿐 아니라 워싱톤 네블, [3] 하밀감(夏蜜柑)(夏蜜柑) 등(等)을 1910년경(年頃) 전파(傳播)하면서 1920년(年)부터 매년(每年) 귤나무(橘나무) 7천(千)~8천(千) 본(本)이 일본(日本) 에서 제주(濟州) 로 유입(流入)되었다고 한다.

중국(中國) 저장성(저장省) 원저우 에서 온주밀감(溫州蜜柑)이 일본(日本) 규슈 로 건너가 씨가 없는 감귤(柑橘)로 개량(改良)된 품종(品種)도 전파(傳播)되었고 재일교포(在日僑胞) 들이 친척(親戚)에게 보내준 묘목(苗木)에서 조금씩 생산(生産)하기 시작(始作)해 제주(提州)를 대표(代表)하는 산업(産業)으로 성장(成長)했다.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에는 일본산(日本産) 귤(橘)이 유통(流通)되었으나 그 이후(以後) 일본산(日本産) 귤(橘)이 수입(輸入)되지 못한 영향(影響)이 컸다. 단(單), 제주도(濟州道) 의 감귤재배(柑橘栽培)가 확산(擴散)되는 계기(契機)는 1964년(年) 2월(月) 박정희(朴正熙) 대통령(大統領)이 연두순시(年頭巡視)에서 제주도(濟州島)의 감귤(柑橘)을 중점적(重點的)으로 키우라는 지시(指示)를 내린 것이었다. 이듬해 1965년(年)부터 감귤심기(柑橘心氣) 붐이 일어났다. 박정희(朴正熙) 정부(政府)는 일본(日本) 농림성(農林省)으로부터 감귤(柑橘) 묘목(苗木)을 수입(輸入)해 농가(農家)에 보급(普及)하였다. 과거(過去) 귤나무(橘나무)는 키가 커서 사다리를 타고 귤(橘)을 수확(收穫)해야 했는데, 현대(現代)의 관목(灌木)처럼 키가 작은 귤나무(橘나무)는 바로 이때 일본(日本)에서 도입(導入)된 것이다.

3. 재배품종(栽培品種) [편집(編輯)]

극조생종(劇早生種)·조생종(早生種)·중생종(中生種)·만생종(晩生種) 등(等) 종류(種類)가 있다. 다음은 대표적(代表的)인 재배품종(栽培品種)이다.
  • 극조생종(劇早生種)
    • 일남(一男)1호(號) - 1979년(年) 일본(日本)에서 흥진(興振)조생의 돌연변이종(突然變異種)으로 확인(確認)되어 1988년(年)에 일남(一男)1호(號)라 명명하였다. 제주감귤연구소(祭主柑橘硏究所)에서 1990년(年)에 접수(接受)로 도입(導入)하였고, 1993년(年)에 선발(選拔)하였다. 대부분(大部分)의 제주(濟州) 극조생(劇早生) 감귤(柑橘)이 여기에 해당(該當)한다. 최근(最近)에는 유라조생(早生)이나, 유라실생(實生)으로 조금씩 대체(代替)를 진행(進行)하고 있는 상황(狀況)이다.
    • 유라조생(早生) - 일본(日本)에서 궁천조생(宮千兆生)을 변이(變異)시켜서 만든 것으로 1995년(年)에 품종(品種) 등록(登錄)되었다. 2006년(年)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에서 선발(選拔)하였다. 일남(一男)1호(號)에 비해 산도(酸度)가 낮고 당도(糖度)가 높은 품종(品種)이다. 그러나 극조생(劇早生)답게 여전히(如前히) 새콤달콤한 맛을 지니고 있다. 일남(一男)1호(號)를 대체(代替)하는 품종(品種)으로 권장(勸奬)된다. 최신(最新) 품종(品種)인 유라실생(實生)의 품질(品質) 재배(栽培)에 불리(不利)한 환경(環境)을 가진 서귀포(西歸浦) 동쪽지역(東쪽地域)(화산회토양(火山灰土量), 완전(完全) 검정 흙)에서 권장(勸奬)되는 품종(品種)이다.
    • 유라실생(實生)(YN-26) - 유라조생(早生)에 베니마도(馬島)카를 교배(交配)하여 만든 것으로 2012년(年)에 등록(登錄)되었다. 2014년(年)에 선발(選拔)하였다. 유라조생(早生)보다도 더 신맛을 낮추고 당도(當到)를 높임으로써 품종(品種) 개량(改良)이 되었으나 재배환경(栽培環境) 영향(影響)을 크게 받는 품종(品種)으로 제주(濟州) 도내(道內)에서는 대정읍(大靜邑) 등(等)의 '비화산회토양(非火山灰土量), 갈색(褐色) 흙'에서의 재배(栽培)가 권장(勸奬)된다. [4]
  • 조생종(早生種)
    • 궁천조생(宮千兆生)/미야가와 조생(早生)(宮川早生) - 1910년(年) 일본(日本)에서 발견(發見)된 온주밀감(溫州蜜柑)의 돌연변이종(突然變異種)으로 1925년(年)에 등록(登錄)되었다. 재배(栽培)가 쉽고 수율(收率)이 뛰어나고 맛도 좋아 전국적(全國的)으로 재배(栽培)되고 있다. 온주밀감(溫州蜜柑)을 대표(代表)하는 품종(品種) 중(中) 하나이며, 제주(濟州) 도내(道內) 대부분(大部分)의 온주밀감(溫州蜜柑) 이 해당(該當) 품종(品種)이다.
    • 흥진조생(興振早生)/오키쓰 조생(早生)(興津早生) - 1940년(年) 일본(日本) 연구기관(硏究機關)에서 미야가와 조생의 선별(選別) 통해 탄생(誕生)한 재배품종(栽培品種)으로 온주밀감(溫州蜜柑)의 대표(代表) 품종(品種) 중(中) 하나다.
    • 하례조생(賀禮早生)(下禮早生) - 대한민국(大韓民國)에서 육성(育成)한 첫 온주밀감(溫州蜜柑) 품종(品種). 1992년(年) 난지농업연구소(暖地農業硏究所)에서 입간조생(早生)(立間早生)에 하귤(下橘) (夏橘)을 교배(交配)하여 나온 주심배실생(主審倍實生) 품종(品種)으로, 2014년(年) 최종(最終) 선발(選拔) 후(後) 2015년(年) 등록(登錄)이 이루어진 품종(品種).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서귀포시(西歸浦市) 지역(地域) 생육(生育) 결과(結果)로 궁천조생(宮千兆生) 대비(對備) 우수(優秀)한 품질(品質)을 보였다. # 최근(最近) 제주(濟州)에서는 온주밀감(溫州蜜柑) 과수원(果樹園)을 새로이 시작(始作)하거나 수명(壽命)이 다된 35-40년이상(年以上) [5] 의 감귤(柑橘)나무를 베어내어 온주밀감(溫州蜜柑)을 다시 식재(植栽)할 때 '하례조생(賀禮早生)'으로 많이 식재(植栽)되고 있다.
  • 만생종(晩生種)
    • 청도온주(淸道溫州)/아오시마 온주(溫州)(?島?州) - 1935년(年) 발견(發見)된 온주밀감(溫州蜜柑)의 돌연변이종(突然變異種)으로 과실(過失)이 크고 당도(糖度)가 높다. 장기간(長期間) 저장(貯藏)이 가능(可能)하며 고당도(高糖度) 온주밀감(溫州蜜柑)의 대표(代表) 품종(品種)이다.

4. 분류(分類) [편집(編輯)]

다나카 체계(體系) 는 주요(主要) 귤(橘) 품종(品種)들을 여러 개(個)의 종(種)으로 세분화(細分化)하였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아시아의 온주밀감(溫州蜜柑)( C. unshiu ), 미주(美洲)의 탄제린 ( C. tangerina ), 유럽의 지중해감귤(地中海柑橘) ( C. × deliciosa ) 등(等)이 있다. 스윙글 체계(體系) 는 모든 감귤(柑橘) 품종(品種)을 단일(單一) 종(種) 감귤(柑橘)( C. reticulata )로 귀속(歸屬)시켰고, 위의 품종(品種)들을 감귤(柑橘)의 변종(變種)으로 본다.

5.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편집(編輯)]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온주밀감(溫州蜜柑)( ), 온주귤(溫州橘)(溫州橘)
(온주밀감(溫州蜜柑))
Citrus unshiu, satsuma orange, unshiu mandarin, satsuma
ウンシュウミカン(Unsh? mikan), 溫州蜜柑 ( うんしゅうみかん ) (Unsh? mikan)
(w?nzh?u mig?n)
일본(日本) 에서는 에도 시대(時代) 부터 많은 품종(品種) [6] 이 개발(開發)되어 영어권(英語圈) 에서는 일본(日本)에서 유래(由來)된 이름을 사용(使用)한다. 일본(日本) 사쓰마 지역(地域)의 온주밀감(溫州蜜柑)을 미국(美國) 플로리다 주로(主로) 도입(導入)하게 되면서 satsuma orange 라고 불리게 되었고, 온주(溫州)(?州)의 일본식(日本式) 한자(漢字) 음독(飮毒)으로 unshiu mandarin 으로도 불린다.

[1] 이재수의 난(亂)으로 파괴(破壞)된 제주(濟州) 신앙공동체(信仰共同體)를 회복(回復)하는 등(等) 선교사(宣敎師)로서의 활동(活動)도 많았지만 식물학자(植物學者)로 더 유명(有名)한 사람이며 왕(王)벚나무의 발견자(發見者)이기도 하다. 한국명(韓國名)은 엄택기. [2] 이 농원(農園)에는 이후(以後) 심(審)은 하귤(下橘)(夏橘), 워싱톤네블, 기주밀감(寄主蜜柑), 문단(文段) 등(等)의 품종(品種)이 남아있다. [3] 일본산(日本産) 워싱톤 네블은 1909년경(年頃) 서귀포(西歸浦) 출신(出身) 김진태(金鎭台)라는 농민(農民)이 처음 재배(栽培)했다고 한다. [4] '화산회토양(火山灰土量)'에서는 '부피과'가 많이 발생(發生)하는 단점(短點)이 있음. '부피과'라는 것은 과피(果皮)(껍질)과 과육(果肉)(알맹이) 사이에 큰 공간(空間)이 생기는 증상(症狀)을 나타낸 열매를 의미(意味)한다. 해당(該當) 열매는 당도(糖度)가 떨어지고 열매를 따는 도중(途中)에 수확(收穫) 가위 날이 과피(果皮)를 쉽게 손상(損傷)시켜서 부패(腐敗)되기도 쉬우며, 저장(貯藏)이나 택배(宅配) 운송(運送) 도중(途中)에 눌리면서 부패(腐敗)되는 등(等) 저장성(貯藏性)이 많이 떨어진다. [5] 자연(自然) 상태(狀態)로 키운 나무는 100여년(餘年)이상도 살 수 있다. 그러나, 농가(農家)에서 과실(過失) 수확용(收穫用)으로 쓰인 나무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수명(壽命)이 비교적(比較的) 짧다. 실제로(實際로) 이정도(程度) 연령(年齡)이 되면 과수목(果樹木)이 죽어가기 시작(始作)하며, 설령(設令) 살아있다고 하더라도 상품(商品) 과실(過失) 수확성(收穫性)이 떨어진다고 하여 과수목(果樹木) 교체(交替)를 진행(進行)하기 시작(始作)한다. [6] 특히(特히)나 기슈번(番)(오늘날의 와카야마현(縣) )에서 재배(栽培)한 밀감(蜜柑)이 크고 작은 다이묘부터 덴노까지 선물(膳物)할 정도(程度)로 인기(人氣)가 있었다.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문서(文書)의 r1015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以前) 역사(歷史) 보러 가기
CC-white 이 문서(文書)의 내용(內容) 중(中) 전체(全體) 또는 일부(一部)는 다른 문서(文書)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文書)의 r1015 ( 이전(以前) 역사(歷史) )
문서(文書)의 r ( 이전(以前) 역사(歷史)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