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오렌지 - 나무위키

오렌지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다른 뜻 아이콘  
은(는) 여기로 연결(連結)됩니다.
다른 뜻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오렌지(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 오렌지색(오렌지色)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주황색(朱黃色)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프랑스 남부(南部)의 도시(都市)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오랑주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 에 대(對)한 내용(內容)은 문서(文書)
번(番) 문단(文壇)을
번(番) 문단(文壇)을
부분(部分)을
부분(部分)을
참고(參考)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장미(薔薇)
산딸기(山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無患子나무科)
박(朴)과
뽕나무과(科)
선인장(仙人掌)과
포도과(葡萄科)
기타
재배(栽培)
과일
수입(輸入)
과일
: 과채류(果菜類) · 종(種) : 일반적(一般的)으로 과일/견과류(堅果類)보다 종자(種子)에 가까움 · : 일반적(一般的)으로 산지(産地)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外)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 및 재배(栽培)물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 펼치기 · 접기 ]
독(毒)?립(立)?종(種)
주(週)?요 원?종(種)
시트론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불수감(佛手柑) · 에트로그
포(抛)멜로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독(毒)?립(立)?종(種)
교(校)?잡?종(種)
주(週)?요 교(校)?잡?종(種)
레몬 (비터오렌지×시트론) · 비터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자몽 (오렌지×포(抛)멜로)
오렌지?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만다린?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교(校)?잡?종(種)
감귤(柑橘)의 교잡종(交雜種)
기(基)?타(他)
영귤(英橘) (유자(柚子)×감귤(柑橘)) · 유자(柚子) (의창지(義昌地)×감귤(柑橘)) · 칼라만시(輓詩) | 사계귤(四季橘) (금귤(金橘)×감귤(柑橘))
시트론의 교잡종(交雜種)
키라임 (미크란타(亂打)×시트론)
포(抛)멜로의 교잡종(交雜種)
스위티 (자몽×포(抛)멜로)
레몬의 교잡종(交雜種)
베르가모트 (비터오렌지×레몬) · 페르시아라임 (키라임×레몬)
기타 잡감(雜感)
기타(其他) 분류(分類)?기준(基準)
라임 (형태(形態)) · 만감류(萬感類) (품종(品種) 그룹) · 파페다 (다계통군(契桶軍)) · 오렌지 주스 (음료(飮料)) · 기각(棄却) (한약재(韓藥材))
귤(橘)속 관련(關聯) 문서(文書)

1 . 개요(槪要) 2 . 특징(特徵) 3 . 산지(山地) 4 . 품종(品種)
4.1 .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4.2 . 교잡종(交雜種)
5 .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5.1 . 영어(英語) 'orange'
5.1.1 . 한국어(韓國語) '오렌지'와의 관계(關係)
5.2 . 네덜란드 오라녀(女)나사우와의 관계(關係)
6 . 매체(媒體)

1. 개요(槪要) [편집(編輯)]

?? / Orange

당귤나무(唐橘나무) 의 열매. 귤(橘)속에 속(屬)하는 과일 이다.

2. 특징(特徵) [편집(編輯)]

말 그대로 '오렌지색(오렌지色)', 즉(卽) 주황색(朱黃色) [1] 구(區) 모양(模樣) 과일이다. 귤(橘) 과 비슷하나 귤(橘)보다 더 크고 껍질이 두껍고 질겨 약간(若干) 단단한 느낌이 든다. 속껍질까지 해체(解體)하면 그냥 큰 귤(橘) 같다.

껍질이 두껍고 단단해 귤(橘)과 달리 맨손만으로는 깔끔하게 껍질을 까기가 어려운 편(便)이다. 미국(美國) 에서도 오렌지 압착기(壓搾機)가 발명(發明)되기 전(前)까지는 소비량(消費量)이 크지 않았다. 오렌지를 압착(壓搾)하여 주스를 짜내는 기계(機械)가 발명(發明)되면서 비로소 소비량(消費量)이 늘어나기 시작(始作)했다. 또 찾아보면 오렌지 전용(專用) 칼 내지(乃至)는 껍질 깎이도(度) 있다. 반면(反面) 한국(韓國)에서 파는 오렌지들은 크기가 작은 품종(品種)들이 많아서 칼집만 영리(怜悧)하게 내면 맨손으로도 쉽게 까진다. 크기가 작을수록 껍질이 얇아지기 때문이다. 미국(美國)의 오렌지들은 크기가 크기 때문에 칼집을 낸다 해도 쉽게 까지지(地) 않는다.

전용(專用) 칼 없이 껍질을 쉽게 까는 법(法)은 몇 가지가 있는데, 일단(一旦) 조금이라도 뜯어내서 틈새를 만들고 나면 그다음부터는 쉬운 편(便)이라 껍질에 칼질을 하는 게 보통(普通)이다. 또는 알맹이가 나눠지는 방향(方向)을 따라 칼질을 한번(番) 하고 둘로 쪼개는 방법(方法)이 있다. 한 바퀴 빙 둘러 껍질에 칼질한 다음 껍질이랑 과육(果肉) 틈새로 숟가락을 끼워 넣는 방법(方法)도 있다. 맨손으로 하고 싶다면, 탁상(卓上)같은 평평(平平)한 곳에 세게 누르면서 몇 바퀴 굴리면 된다. 이러면 껍질이랑 과육(果肉) 사이에 공간(空間)이 생기면서 그냥 하는 것보다 더 쉽게 뜯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위쪽이나 아래쪽 꼭지 부분(部分)부터 뜯으면 된다.

성분(成分)으로는 당분(糖分) 이 7~11%, 산이 0.7~1.2% 들어 있어 상쾌(爽快)한 맛이 난다. 신맛 보다는 단맛 쓴맛 이 좀 더 강(强)하지만 쓴맛은 좀 더 약(弱)하다. 귤(橘) 은 오렌지보다 신맛과 단맛이 강(强)한 편(便)이고, 자몽 은 쓴맛이, 레몬 은 신맛과 쓴맛이 더 강(剛)한 편(便)이다.

과육(果肉) 100g 중(中) 비타민 C 가 40~60㎎이 들어 있고 섬유질(纖維質) 비타민 A 가 풍부(豐富)하다. 다만 다른 음식(飮食)과 비교(比較)해 보면 비타민 이 그렇게 많이 들어있는 편(便)은 아니다. 비슷한 과일인 라임 은 훨씬 많이 들어있고, 고추 피망 등(等)에도 크게 밀린다. 대신(代身) 이들보다 맛이 순(順)하고 주스 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는 것이 장점(長點).

생으로(生으로) 먹는 것도 가능(可能)하지만, 보통(普通)은 앞서 설명(說明)한 것처럼 주스 로 만들어 먹는다. 오렌지 치킨 처럼 소스에 넣어도 맛있고, 아예 피자 에 올려 구워 먹어도 맛있는 과일이다. 한국(韓國)에선 보기 힘들지만 이탈리아 등(等)에서는 실제로(實際로) 오렌지를 올린 피자가 많다.

특유(特有)의 향(香)이 있으며, 시트러스 계열(系列) 향수(鄕愁) 의 원료(原料)로도 자주 쓰인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조(兆)말론 의 오렌지 블라썸, 세르주루(壘)텐 의 오랑쥬 등(等)이 있다.
Orange
(#ff8000)
웹 색상(色相) 에서 오렌지 색(色) (orange)은 주황색(朱黃色) (#ffa500)과는 달리 #ff8000 가리킨다. 주황색(朱黃色)과 구분(區分)하기 위해 Dark Orange 라고 하기도 한다.

2018년(年) 3월(月) 기점(起點)으로 한미(韓美) FTA 가 발효(發效)됨에 따라 미국산(美國産) 오렌지가 무관세(無關稅)로 수입(收入)이 되면서 당도(糖度)가 13~16 정도(程度) 되는 특대(特大) 오렌지를 900원에 구입(購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한국(韓國) 감귤류(柑橘類) 농가(農家)들이 타격(打擊)을 많이 입었다. 다만 타격(打擊)은 주로(主로) 고부가(高附加) 가치(價値) 품종(品種)을 시설(施設) 재배(栽培)하는 농가(農家)에 집중(集中)되었고, 대다수(大多數)의 농가(農家)에는 별다른 영향(影響)이 없다. 미국산(美國産) 오렌지라고 해서 일(一) 년(年) 내내 저렴(低廉)하게 수입(輸入)되는 것이 아니라 많이 풀리는 시즌이 있기 때문이다. 한-칠레 FTA로 포도(葡萄) 등(等) 국내(國內) 과수(果樹) 농가(農家)들이 큰 타격(打擊)을 겪으리라 예상(豫想)했던 것과 달리 실제로(實際로)는 출하(出荷) 시기(時期)가 정반대(正反對)여서 별(別) 타격(打擊)이 없었던 것과 같은 맥락(脈絡)이다. 제주(濟州) 감귤(柑橘)은 11월(月)~12월(月)이 제철인 반면(反面) 오렌지는 2월(月)은 되어야 대량(大量)으로 풀린다. 최근(最近) 2018~2019년(年)의 감귤(柑橘) 가격(價格) 하락(下落)은 오렌지 수입(收入)보다는 감귤(柑橘)의 생산량(生産量) 자체(自體)가 예년(例年)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大韓民國) 에서 수입(輸入)이 사실상(事實上) 금지(禁止)되었던 과거(過去) 1990년대(年代) 이전(以前)에는 오렌지를 비롯한 수입(輸入) 과일을 먹는다는 것은 꿈같은 일이었다. 그럼에도 1970년대(年代) 학교(學校) 앞에서는 오렌지 향(香)을 첨가(添加)한 오렌지맛 제품(製品)이 저가(低價)에 판매(販賣)되어 비슷한 기분(氣分)이나마 느낄 수 있었다. 오렌지 수입(輸入)이 어려웠던 시절(時節)이니 오렌지의 비중(比重)은 크게 낮았을 것이다. 2023년(年) 12월(月) 11일(日) 두시(時)의 데이트 에서 한 청취자(聽取者) 가 오렌지를 고등학교(高等學校) 때 처음 먹어봤다고 얘기했고, 이에 당시(當時) MBC FM4U에서 DJ를 바꾸는 이벤트인 패밀리데이의 일환(一環)으로 두데 의 일일(一日)DJ였던 배철수(裵哲秀) 도 어릴 때에는 오렌지를 아예 본 적이 없었고 귤(橘) 도 귀(貴)했고 바나나 도 20살이 넘어서 처음으로 먹어봤다고 밝혔다. 이러다보니 1980~1990년대(年代) TV에는 유동근 같은 인기(人氣) 연예인(演藝人)들이 껍질 깐 생(生) 오렌지를 한입 가득 깨물며 "이거야 이거!"라고 하는 광고(廣告)를 볼 수 있었지만, 실제(實際) 국민(國民)들 대부분(大部分)은 병(病)에 들어있는 오렌지주스 형태(形態)로만 오렌지를 접(接)한 경우(境遇)가 대다수(大多數)였다. [2] 또한 이렇게 오렌지가 귀(貴)한 과일이였다는 점(點)에서 1990년대(年代) 강남(江南) 부유층(富裕層) 자제(子弟)들의 행태(行態)를 비판(批判)하는 '수입(輸入) 오렌지족(族) ' 이라는 용어(用語)가 나오기도 했다.

이는 한국(韓國) 만(萬) 그랬던 것은 아니고 열대(熱帶) 지방(地方)에서 멀었던 과거(過去) 공산권(共産圈)이었던 동유럽(東유럽) 국가(國家) 사람들 [3] 은 1990년대(年代) 이전(以前)까지 오렌지, 바나나 같은 열대(熱帶) 과일은 잡지 TV 등(等)에서나 볼 수 있을 뿐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동서독 통일(統一) 후(後) 독일(獨逸)의 바나나 소비량(消費量)은 몇 곱절이나 급증(急增)했는데, 대부분(大部分) 동독(東獨) 지역(地域)의 수요(需要)였다. 이원복 현대문명진단(現代文明診斷) [4] 에서는 " 다윈 역시(亦是) 옳았어! " 라고 풍자되어 있다.


오렌지 속을 파내고 그 껍질로 과일 그릇을 만들어 데코레이션하는 것도 가능(可能)하다. 오랜지를 반(半)으로 가르거나 꼭지 부분(部分)만 잘라서 떼어낸 후(後) 속을 다 파내고 안에 셔벗이나 아이스크림을 넣어 파는 상품(商品)들도 있다. 한국(韓國)에선 '아이스디저트'라는 이름으로 반(半)으로 가른 오렌지의 속을 파내서 안에 셔벗을 채워넣은 아이스크림 상품(商品)이 한때 팔렸다. 조금 규모(規模)가 큰 마트형(型) 슈퍼마켓이나 대형(大型)마트, 백화점(百貨店) 등(等)에선 가끔 가다 외국(外國)에서 들여온 '아이스디저트' 와 유사(類似)하게 생긴 ' 오렌지 소르벳 ' [5] 등(等)의 오렌지 아이스크림을 팔기도 한다. 이런 오렌지 아이스크림의 오렌지 껍질은 속을 거의 다 파내서 얇으면서도 원형(原形)을 유지(維持)하고 있다는 게 포인트. 통(桶)오렌지 샤베트 만드는 법(法) [6] 1980년대말(年代末) 롯데삼강 에서 출시(出市)했던 ' 대롱대롱 '이라는 오렌지 아이스크림이 바로 이 오렌지샤베트를 상품(商品)으로 만든 것. 물론(勿論) 생(生)오렌지 껍질이 아니라 뚜껑달린 오렌지모양(模樣) 플라스틱 통(桶)에 담아서 팔았다.

이탈리아 북부(北部) 이브레아에서는 매년(每年) 2~3월(月)에 4일(日) 동안 '오렌지 전투(戰鬪) 축제(祝祭)'가 열린다. 두 개(個)의 팀 [7] 으로 나뉘어 서로 오렌지를 던지는 난투극(亂鬪劇)을 벌이는 축제(祝祭)로, 여기서 사용(使用)되는 오렌지는 시칠리아산(山)이며 상(傷)하거나 상품가치(商品價値)가 떨어져 식용(食用)으로 부적합(不適合)한 것만 사용(使用)된다. 또한 사전(事前)에 오렌지를 손으로 세게 쥐거나 주물러서 물렁거리게 한 뒤에 던져 부상(負傷)을 최대한(最大限) 예방(豫防)하는 조치(措置)를 취(取)한다.

귤(橘)처럼 곰팡이 가 보관(保管) 도중(途中)에 필 수 있다. 귤(橘)의 곰팡이는 주로(主로) 흰색(흰色)~녹색(綠色)이고 오렌지는 이거 외(外)에도 회색(灰色) 곰팡이가 핀다. 껍질에 곰팡이가 상당(相當) 부분(部分) 묻어있을 정도(程度)라면 그걸 다 닦아내도 상해(傷害)있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可及的) 먹지 않는 게 좋다. [8] 오렌지를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기 전(前)에 미리 베이킹소다를 이용(利用)해 깨끗하게 씻어놓는 것이 좋다. [9] 흠집(欠집)이 있거나 곰팡이로 의심(疑心)되는 얼룩이 있는 것이라면 따로 격리(隔離)해 두고 빨리 먹는 게 좋다. 만약(萬若) 냉장고(冷藏庫) 안에서 오렌지에 곰팡이가 피었다면 빨리 버리고 냉장고(冷藏庫)를 다 청소(淸掃)해야 한다.

스페인 등(等) 지중해(地中海) 권(卷) 국가(國家)에서는 종종(種種) 가로수(街路樹)로 오렌지나무를 심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주황색(朱黃色)으로 잘 익은 오렌지가 탐스럽게 열려 있지만 가로수(街路樹)로 심은 오렌지는 맛이 없기 때문에 아무도 따 가지 않는다.

치질(痔疾) , 하지정맥류(下肢靜脈瘤) 등(等) 정맥(靜脈) 개선제(改善劑)로 쓰이는 디오스민(民) 이라는 물질(物質)이 거의 오렌지에서 나온다는 사실(事實)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事實)이다.

3. 산지(山地) [편집(編輯)]

자연(自然) 서식지(棲息地)가 확인(確認)되지 않아 귤(橘) 포(抛)멜로 사이의 인공(人工) 교잡종(交雜種)으로 추정(推定)되며, 인도(印度) 북동부(北東部), 중국(中國) 남서부(南西部), 인도차이나 반도(半島) 일대(一帶)에서 교잡(交雜)되어 이란 · 아라비아 · 포르투갈 · 스페인 · 브라질 등(等)으로 퍼져나갔다. 이슬람 팽창(膨脹) 의 일환(一環)으로 우마이야 왕조(王朝) 가 스페인을 정복(征服)하며 유럽에 소개(紹介)되었다.

태양(太陽)이 작렬(炸裂)하는 카탈루냐 지방(地方), 그중(그中)에서도 발렌시아 의 오렌지가 유명(有名)하다. 세계적(世界的)으로 브라질 미국(美國) 서부(西部)의 캘리포니아 , 남부(南部)의 플로리다 가 오렌지 생산지(生産地)로 각광(脚光)을 받는다.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오렌지주스 의 원료(原料)도 모두 브라질 미국(美國) 산(山)이 많은 편(便). 그래서 캘리포니아 학교(學校) 급식(給食)에서는 허구(許久)한 날 나오는 게 오렌지다. 한국(韓國)에는 2010년(年) 이후(以後) 브라질 의 농사(農事) 흉작(凶作)의 이유(理由)로 스페인 호주(濠洲) 산(山)이 많이 보인다. 가끔 남아공(南아共) 산(山)도 있다. 특히(特히) 스페인산(産)은 가공용(加工用)으로 비율(比率)을 높이고 있다.

미국(美國) 캘리포니아에서 1월(月)~5월(月)에 출하(出荷)하기 때문에 한국(韓國)에서는 2월(月)~6월(月)이 가장 저렴(低廉)하다. 하지만 11월(月)까지 재배(栽培)가 되므로 거의 1년(年) 내내 오렌지를 맛볼 수 있다.

4. 품종(品種) [편집(編輯)]

4.1.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편집(編輯)]

주요(主要) 오렌지 품종(品種)
여러 품종(品種)이 있지만 주로(主로) 상품성(商品性) 있고 가공(加工)하기 좋은 용도(用途)로는 대표적(代表的)으로 네이블오렌지 , 발렌시아오렌지 , 블러드오렌지 등(等)이 있다. 이 중(中) 평소(平素)에 한국(韓國) 기준(基準) 흔히 생으로(生으로) 먹는 오렌지는 네이블오렌지, 오렌지 주스 용(用)으로 사용(使用)되는 오렌지는 발렌시아오렌지이다. 오렌지 중(中) 붉은 기(氣)가 감도는 블러드오렌지는 크기는 작지만 맛은 일반(一般) 오렌지보다 달콤하고 비타민C 가 매우 풍부(豐富)해 하나만 먹어도 일일(一日) 비타민 C 권장량(勸奬量)을 거의 채운다.

이 외(外)에도 전(全) 세계(世界)에 걸쳐 수많은 오렌지 품종(品種)이 재배(栽培)되고 있다.
  • 발리(Bali):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재배(栽培). 다른 오렌지종(種)보다 큼.
  • 벨라돈나(Belladonna): 이탈리아에서 재배(栽培)
  • 베르나(Berna):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비온도(非溫度) 코무네(Biondo Comune): 지중해(地中海),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 이집트, 그리스, 이탈리아,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비온도(非溫度) 리치오(誤)(Biondo Riccio): 이탈리아에서 재배(栽培)
  • 병귤(病橘) (Byeonggyul): 제주도(濟州道) 에서 재배(栽培).
  • 카다네라(Cadanera): 씨 없는 오렌지 알제리, 모로코,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칼라브레세(歲), 칼라브레세(歲) 오(吳)발레(Calabrese, Calabrese Ovale): 이탈리아에서 재배(栽培)
  • 카르발(發)랴(Carvalhal): 포르투갈에서 재배(栽培).
  • 카스테야나(Castellana):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체리 오렌지(Cherry Orange): 중국(中國) 남부(南部)와 일본(日本).
  • 클래(來)너(Clanor):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 재배(栽培).
  • 동주앙(洞注秧)(Dom Joao): 포르투갈에서 재배(栽培).
  • 후쿠하라(Fukuhara): 일본(日本)에서 재배(栽培).
  • 가드너(Gardner):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
  • 햄린(Hamlin):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
  • 호모사(社)싸 (Homosassa):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
  • 자파(自派)(Jaffa orange): "샤무티(Shamouti)"라고도 함(函). 중동(中東)에서 재배(栽培).
  • 진청(眞靑)(Jincheng): 중국(中國)에서 재배(栽培).
  • 조파(早播)(Joppa): 남아공(南아共), 텍사스에서 재배(栽培).
  • 켓트몰리(Khettmal(리__301/NNG)i): 이스라엘, 레바논에서 재배(栽培).
  • 코나(Kona): 하와이에서 재배(栽培). 발렌시아를 변형(變形).
  • 루이 짐 공(Lue Gim Gong): 미국(美國)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 플로리다로 이민(移民)한 중국인(中國人) '루이 짐 공'이 만듦.
  • 마세테라(Macetera):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독특(獨特)한 향기(香氣)로 유명(有名).
  • 몰타(MALTA): 파키스탄에서 재배(栽培).
  • 말티스 블론드(Maltaise Blonde):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에서 재배(栽培)
  • 말티스 오벨(Maltaise Ovale): 남아공과 캘리포니아에서 재배(栽培).
  • 마스(Marrs): 미국(美國) 텍사스, 캘리포니아, 이란에서 재배(栽培). 산성(酸性)이 비교적(比較的) 적다.
  • 메단(Medan): 인도네시아 메단에서 재배(栽培).
  • 미드(美드)스위트(Midsweet): 미국(美國)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
  • 모로타(打)로코(Moro Tarocco): 이탈리아에서 재배(栽培). 타원형(楕圓形)이고 독특(獨特)한 카라멜 색(色)의 내피(內皮)가 있다.
  • 나린자(子)(Narinja): 남인도 안드라에서 재배(栽培)함. [10]
  • 파슨 브라운(Parson Brown): 미국(美國) 플로리다, 멕시코, 터키에서 재배(栽培). 한때 플로리다에서 널리 재배(栽培)되었던 종(種). 주스용(用)으로 재배(栽培)되었음.
  • 페라 코로아(Pera Coroa): 브라질에서 재배(栽培).
  • 페라 나탈(Pera Natal): 브라질에서 재배(栽培)
  • 페라 리오(Pera Rio): 브라질에서 재배(栽培).
  • 파인애플(Pineapple 오렌지종(種) 이름임): 북미(北美) 및 남미(南美) 및 인도(印度)에서 재배(栽培).
  • 폰티아낙(Pontianak): 인도네시아에서 재배(栽培).
  • 프리미어(Premier):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에서 재배(栽培).
  • 로드 레드(Rhode Red): 플로리다에서 발견(發見)된 발렌시아 오렌지의 돌연변이(突然變異). 1955년(年) 폴 로드(Paul Rhode) 가 처음 재배(栽培).
  • 로블(Roble): 1851년(年) 조셉 로블(Joseph Roble)이(李) 플로리다의 탐파(貪派)(Tampa)에서 처음 재배(栽培). 높은 당(糖) 함량(含量)으로 유명(有名)함.
  • 퀸(Queen):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에서 재배(栽培).
  • 샐루스티아나(Salustiana): 북아프리카(北아프리카)에서 재배(栽培).
  • 삿구디(Sathgudi): 남인도(南印度) 타밀 나두에서 재배(栽培).
  • 셀레타(打)(Seleta, Selecta): 호주(濠洲)와 브라질에서 재배(栽培). 산성(酸性)이 높음.
  • 샤무티 마스리(Shamouti Masry): 이집트에서 재배(栽培)
  • 쇼군(Shogun): 태국(泰國)에서 재배(栽培). [11]
  • 샤오 도이(Xao đoai): 베트남에서 재배(栽培)
  • 깜산(山) (Cam sanh): 베트남에서 재배(栽培). 킹 오렌지(King orange)라고 불리기도 한다.
  • 썬스타(Sunstar): 플로리다에서 재배(栽培)되는 새로운 품종(品種)
  • 타록코(Tarocco): 이탈리아에서 개발(開發).
  • 트로비타(Trovita): 미국(美國) 캘리포니아, 이스라엘에서 재배(栽培)
  • 토만고(高) (Tomango): 남아프리카(南아메리카)에서 재배(栽培).
  • 베르나(Verna): 알제리, 멕시코, 모로코 및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비시에다(Vicieda): 알제리, 모로코 및 스페인에서 재배(栽培).
  • 웨스틴(Westin): 초기(初期)에는 '클레멘타인'으로 불렸으나, 개발(開發) 공로자(功勞者)의 이름으로 개명(改名)됨. 브라질에서 재배(栽培).
  • 카라카라(Cara Cara): 1976년(年) 베네수엘라 카라카라 지역(地域)에서 발견(發見)됨. 네이블 오렌지 나무에서 발생(發生)한 돌연변이(突然變異)로 분홍빛(粉紅빛)을 띤다. 베네수엘라 ,캘리포니아,호주(濠洲)에서 재배(栽培).

오렌지에는 보통(普通) #3107이나 #4012 같은 숫자(數字)가 적힌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 이 숫자(數字)의 의미(意味)는 오렌지의 종류(種類), 크기와 농약(農藥) 사용(使用) 등(等)의 정보(情報) 를 나타낸다. 또한 당(黨)도 선별(選別)을 거친 오렌지에는 블랙라벨을 붙인다. 이는 일본(日本)에서 사업(事業)을 시작(始作)한 오렌지 수출입(輸出入) 업체(業體) 퓨어스펙트사(社)(Purespect社)가 당(黨)도 선별(選別) 오렌지를 차별화(差別化) 전략(戰略)으로 내놓고, 등급별(等級別)로 흰색(흰色), 빨간색(빨간色), 검은색(검은色)으로 라벨을 구분(區分)한 것이 원조(元祖)이다. 퓨어스펙트는 오렌지 농장(農場) 하나 보유(保有)한 게 없는 순수(純粹) 유통사(流通社)지만, 당(黨)도 선별(選別) 차별화(差別化)가 굉장(宏壯)한 대박(大舶)을 쳐서 오렌지 시장(市長)에 굉장(宏壯)한 파장(波長)을 일으켰다. 한국(韓國)이나 일본(日本)에서야 당(黨)도 선별(選別)이 워낙 당연(當然)하다 보니 별(別) 신기(神奇)할 것도 없지만, 미국(美國)의 크고 아름다운 농업(農業)에서는 품질(品質) 등급화(等級化)가 잘되지 않는다는 점(點)에 주목(注目)한 틈새시장(틈새市場) 공략(攻掠)이다. 오렌지가 차고 넘치는 산지(産地)에 가도 당도(糖度)가 상당히(相當히) 복불복(福不福)이었기에 이게 싫어서 짜증 내는 사람이 꽤 많았던 것을 잘 공략(攻掠)한 셈. [12] 그런데 이제는 너도 나도 당(黨)도 선별(選別) 오렌지를 따로 내놓고 블랙라벨을 붙인다. 물론(勿論), 한국(韓國)에서 상등품(上等品) 김(金) 이 죄다 일본(日本)에 수출(輸出)되듯이, 정작 오렌지를 생산(生産)하는 나라에 가보면 당(黨)도 선별(選別) 오렌지는 전혀(全혀) 찾아볼 수 없는 게 대부분(大部分)이다.

4.2. 교잡종(交雜種) [편집(編輯)]

오렌지와 다른 품종(品種) 간(間)의 교배(交配)는 수많은 교잡종(交雜種)을 탄생시켰다. 대표적(代表的)으로 오렌지와 포(抛)멜로 의 교잡종인(交雜種人) 자몽 이 있다. 자몽과 오렌지의 교잡종(交雜種)으로 오란젤로류(類)(orangelo)가 있고, 오렌지와 감귤(柑橘) 또는 탄제린 의 교잡종(交雜種)으로 만감류(萬感類) (tangor)가 있다. 만감류(萬感類) 중(中)에서도 깜산(山) , 청견(請見) 등(等)이 원시적(原始的)인 품종(品種)으로 오렌지와 가장 가까우며, 나중에 재배(栽培)를 통해 한라봉 , 레드향(香) , 천혜향(千蕙香) 등(等) 품종(品種)이 속속히(速速히) 개발(開發)되었다.

5.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편집(編輯)]

언어별(言語別) 명칭(名稱)
오렌지
naranja(나랑하) [13]
????????? (burtuq?l, 부르투칼) [14] (복수(復讐)), ???????????? (burtuq?la)(단수(段數))
orange([?ː????nd?/aː????nd?], 오린지)
オレンジ (orenji, 오렌지)
橙(cheng), 橙子(chengzi), [15] 橘子(juzi), 桔子(juzi), 柳丁(li?d?ng) [16]
orange(오(誤)헝주(週))
기타 [ 펼치기 · 접기 ]
πορτοκαλ?(portokali, 포르토칼리)
ch?il łitsxooi
sinaasappel(시(時)나사펄) [17]
appelsin(아펠신(新))
Orange(오랑제(第)) [18]
arancium(아란키움) [19]
jeruk manis, limau, jeruk
???? ??????(madhura n?ra??a), ??????(??anc?)
cam, qu? cam, trai cam
????(kamal?)
apelsin(아펠신(新))
oran?o(오란조)
апельси?н(apel?syn, 아뻴씬), помара?нча(pomaran?a), помара?нч(pomaran?)
arancia(아란차), arancio
??????(?rancu), ???????? ???????(carkkarai n?rattai)
???(som, 쏨)
??????(n?rinja), ????????(kamal?phalamu)
portakal(포르타칼)
?????? (tsha lu ma)
????? (n?r?n?), ????? (m?l?a), ????? (turan?)(오렌지의 한 품종(品種))
????? (naranj), ?????? (porteqal), ????? (malte)
афлесун(aflesun), норан?(noranj)( 타지크어(語) )
laranja
pomara?cza(포마란챠) [20]
appelsiini [21]
?alani(알라니)
???????? (tapuz)
??????(n?ra?g?), ?????(santr?), ?????(mausm?), ??????(m?l??), ??????(ra?gatr?), ??????(sa?gatr?)
????? (m?l??), ?????? (n?ra?g?), ????? (santar?)( 우르두어(語) )
드라비다어 계열(系列)
??????(나랑기(機))
naranja(나랑하)
laranja(라란자)
arancia(아란차)
arancium(아란키움/아란치움)
orange(오(誤)헝주(週))
orange(오린지)
オレンジ (오렌지)
오렌지
Orange(오랑제(第))
oran?o(오란조)
pomara?cza(포마란챠)
'포르투갈' 계열(系列)
?????????(부르투칼)
portakal(포르타칼)
πορτοκ?λι(포르토칼리)
'압펠+신(新)(중국(中國) 사과(沙果))' 계열(系列)
sinaasappel(시(時)나사펄)
appelsiini
appelsin(아펠신(新))
apelsin(아펠신(新))
апельсин(아삘씬)
апельсин(아뻴씬)
기타
橙子(cheng zi)(중국(中國) 대륙(大陸)), 柳丁(li?d?ng)(대만(臺灣))
???(쏨)
'오렌지'라는 단어(單語)는 타밀어 '나람'(?????), 텔루구어(語) '나림자(子)'(??????), 말라얄람어(語) '나랑아'(???????) 등(等) 드라비다계 언어(言語) 가 어원(語源)으로 이것이 산스크리트어(語) '나랑'(??????) 또는 '나랑가'(naranga), 페르시아어(語) '나랑'(?????), 아랍어(아랍語) '나란즈'(?????)를 거쳐 고대(古代) 이탈리아어(語) '멜라렌시오'(melarencio), 고대(古代) 프랑스어(프랑스語) '오랑주'(orenge)의 형태(形態)로 유럽에 전파(傳播)되는 과정(過程)에서 어두(語頭)의 [n]이 탈락해 '오렌지' 비슷한 단어(單語)로 정착(定着)한 것이다. 향긋하다 를 뜻하는 단어(單語)에서 왔다는 주장(主張)이 있고, 감귤계(柑橘系)의 원향(元香)은 중국(中國) 남부(南部) 난링산맥(山脈)인데 이 '낭린'의 변형(變形)에서 온 것이 아닌가하는 설(說)이 있다.

원래(元來) 오렌지와 그 어원(語源)이 되는 단어(單語)는 먼저 전파(傳播)된 비터오렌지 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只今)의 오렌지가 유럽으로 전파(傳播)되면서 뜻이 변(變)하였다.
영어(英語) 'orange'는 1300년대(年代)에 프랑스어(프랑스語) 로부터 유입(流入)되었다. 오늘날에도 영어(英語) , 프랑스어(프랑스語) , 독일어(獨逸語) 로 모두 철자(綴字)가 동일(同一)하다. ' 주황색(朱黃色) '의 색깔(色깔)을 의미하게 된 것은 1540년(年) 경(頃)으로 조금 더 후대(後代) 이다.

흔히 'orange'와 각운(脚韻)이 맞는 단어(單語)는 없다고 알려져있으나, 웨일즈 몬머스셔에 있는 '블로린지'(Blorenge)라는 언덕 이름과 각운(脚韻)이 맞는다.( 각운(脚韻)이 맞는 단어(單語)가 없는 단어(單語)들의 목록(目錄) ) 다만 랩 등(等) 불완전(不完全)한 라임도 허용(許容)하는 장르에선 별문제(別問題) 없이 라임을 만들 수 있다.

서양(西洋)엔 귤(橘) 이 없을 것 같아 (마치 ' '를 'onion' 류(類)로 부르듯이) 귤(橘)도 오렌지로 부르지 않을까 생각할 수 있지만, 영어(英語) 로 귤(橘)은 'mandarin' [22] 또는 'tangerine'이라고 구별(區別)한다. 'mandarin orange'라고도 부른다.

5.1.1. 한국어(韓國語) '오렌지'와의 관계(關係) [편집(編輯)]

한국어(韓國語) 로 [오렌지]를 뜻하는 '오렌지'는 영어(英語) 'orange' > 일본어(日本語) 'オレンジ'(오렌지)에서 온 것이다. 영어(英語) 'orange'의 발음(發音)을 외래어(外來語) 표기법(表記法)대로 표기(表記)하면 '오린지/아린지(芽鱗地)'[?ː??nd?/aː??nd?]가 된다. [23] 일본(日本)에서 중간(中間) 음절(音節)을 ' '로 적은 이유(理由)는 불명(不明)이지만, 'angel'([?e?nd?l], エンゼル)처럼 [e?]인(人) 걸로 오해(誤解)하고 단음(單音) 단(段)으로 적은 것일 가능성(可能性)도 있다. [24] 혹은(或은) 보수적(保守的) 용인발음(龍仁發音) 특유(特有)의 short i 발음(發音)을 '에'에 가깝게 듣고 그대로 옮겼기 때문일 수도 있다.

/image/036/2008/...

이명박(李明博) 정권(政權) 당시(當時) 영어(英語) 몰입(沒入) 교육(敎育)을 정책(政策)으로 수립(樹立)하였는데, 대통령직(大統領職) 인수위원장(引受委員長)이었던 이경숙 숙명여자대학교(淑明女子大學校) 당시(當時) 총장(總長)이 "오렌지가 아니라 어린쥐 로 발음(發音)해야 한다"라고 말해 조롱(嘲弄)을 당(當)했다. 실제로(實際로) 당시(當時) 온갖 짤방(짤防)이나 패러디가 나왔었다. 자세(仔細)한 건 문서(文書) 참고(參考).

사실(事實) 미국식(美國式) 영어(英語) 의 정확(正確)한 발음(發音)에 대(對)해서 이야기하고 싶었다면 애당초(애當初) 오렌지가 대상(對象)이 되지 말았어야 한다. 위에서도 보듯이 오렌지는 영어(英語) 로도 외래어(外來語) 이기(利器) 때문이다.

5.2. 네덜란드 오라녀(女)나사우와의 관계(關係) [편집(編輯)]

네덜란드 의 상징색(象徵色)이 오렌지색(오렌지色)이다. 네덜란드의 왕가(王家) 오라녀(女)나사우(Oranje-Nassau) 가문(家門)의 상징색(象徵色)이 오렌지색(오렌지色)이라 그런 것인데 엄밀히(嚴密히) 얘기하면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 의 '오라녀(女)(Oranje)'와 네덜란드어(語) 주황색(朱黃色) 을 가리키는 '오라녀(女)(oranje)'는 어원(語源)이 다르다.

'주황색(朱黃色)'을 가리키는 '오라녀(女)'가 과일 '오렌지'로부터 유래(由來)하긴 했다. 위에서 설명(說明)한 단어(單語)의 전파(電波) 과정(過程)을 통해 과일 '오렌지'를 가리키던 네덜란드어(語) '오라녀(女)'가 그 과일의 색깔(色깔) '주황색(朱黃色)'을 가리키는 단어(單語)로 자리 잡은 것이다. 그런데 현재(現在) 네덜란드에서는 '주황색(朱黃色)'을 뜻하는 단어(單語) '오라녀(女)'가(街) 여전히(如前히) 남아있는 반면(反面) 정작 그 어원(語源)이 된 과일 '오렌지'는 '시(時)나사펄(sinaasappel)'로 대체(代替)되었다. 이는 'mandarin'처럼 중국(中國) 에서 건너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25]

반면(反面)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의 '오라녀(女)'는 프랑스 남부(南部)에 위치(位置)한 소도시(小都市) ' 오랑주 (Orange)'가 어원(語源)이다. 오랑주는 기원전(紀元前) 36년(年) 고대(古代) 로마인들이 건설(建設)한 도시(都市)인데 이 도시(都市)의 원래(元來) 이름은 '아라우시오(Arausio)'로 켈트 신화(神話) 의 물의 신(神)의 이름에서 유래(由來)한 것이다. 오랑주에는 12세기(世紀) 중반(中盤)부터 도시(都市) 이름에서 유래(由來)한 동명(同名)의 공국(公國)이 들어섰는데 1403년(年) 오랑주 공국(公國)이 네덜란드 브레다 에 자리 잡은 신성(神聖) 로마 제국(帝國)의 나사우 백국(白菊)을 통치(統治)하던 나사우 가문(家門) 의 방계(傍系)인 나사우브레다 가문(家門)에게 넘어갔다. 그 후(後) 약(約) 130년간(年間) 나사우브레다 가문(家門)이 오랑주 공국(公國)을 다스렸는데 1544년(年) 나사우브레다 가문(家門)의 마지막 오랑주 공작(工作) 르네가 프랑스와의 전쟁(戰爭) 도중(途中) 전사(戰死)하면서 그의 영지(領地)가 사촌(四寸)인 나사우딜렌부르크 가문(家門)의 빌헬름에게 넘어갔다. 이 나사우딜렌부르크 가문(家門)의 빌헬름이 바로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을 창시(創始)한 네덜란드의 국부(國富) 빌럼 1세(歲) 이다.

빌럼 1세(歲)가 오랑주 공국(公國)을 물려받으면서 영지(領地) 이름인 '오랑주', 네덜란드어(語) 로 '오라녀(女)'를 성씨(姓氏)에다 붙인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이 창시(創始)되었고 가문(家門)이 창시(創始)될 당시(當時) 네덜란드 에는 ' 주황색(朱黃色) '을 가리키는 동명(同名)의 단어(單語)인 '오라녀(女)'가 있었기 때문에 자연스레(自然스레)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의 상징색(象徵色)은 주황색(朱黃色)이 되었다. 그 후(後)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이 네덜란드 독립전쟁(獨立戰爭) 에서 주도적(主導的) 역할(役割)을 맡았고 이후(以後) 네덜란드 공화국(共和國) 네덜란드 왕국(王國) 을 지배(支配)하면서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의 주황색(朱黃色)은 네덜란드의 상징색(象徵色)이 되었다. 그런고로 각종(各種) 스포츠 종목(種目)에서 네덜란드 대표(代表) 팀은 주황색(朱黃色) 유니폼을 착용(着用)한다. 네덜란드 축구(蹴球) 국가(國家) 대표(代表) 팀의 별명(別名)이 '오렌지 군단(軍團)'인(人)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또한 이 오라녀(女)나사우 가문(家門)의 네덜란드가 독실(篤實)한 칼뱅파 국가(國家)였으며 네덜란드 독립(獨立) 전쟁(戰爭)이나 위그노 전쟁(戰爭) , 명예혁명(名譽革命) 당시(當時)의 아일랜드 원정(遠征) 등(等) 개신교계(改新敎界)를 대표(代表)하여 전쟁(戰爭)을 치렀기 때문에 주황색(朱黃色)은 개신교계(改新敎界)의 상징색(象徵色)이 되었다. 아일랜드 국기(國旗)의 주황색(朱黃色)이 개신교(改新敎)를 상징(象徵)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

네덜란드에는 전쟁(戰爭)을 끝마친 군인(軍人)에게 오렌지 를 보내는 문화(文化)가 있다.

6. 매체(媒體) [편집(編輯)]

[1] '오렌지'라는 단어(單語)는 고대(古代) 영어(英語) 의 고유어(固有語) ?eolur?ad(yellow-red에 해당(該當))를 몰아내고 현대(現代) 영어(英語)에서 '주황색(朱黃色)'을 뜻하는 단어(單語)가 되었다. [2] 오렌지주스 자체(自體)는 대단히 흔했는데, 델몬트 썬키스트 등(等) 다국적(多國籍) 거대(巨大) 기업(企業)이 한국(韓國)에서도 사업(事業)을 하고 있었던데다가, 델몬트의 파트너는 국내(國內)에서 가장 큰 음료(飮料) 사업(事業)체인 롯데칠성음료(롯데七星飮料) , 썬키스트의 경우(境遇)는 해태음료 였기 때문에 시장(市場) 점유율(占有率)도 매우 높았다. [3] 불가리아 출신(出身) 셰프 미카엘 아쉬미노프 는 "1990년(年)이 되어서야 바나나 를 처음 구경"했다고 방송(放送) 에서 밝혔다. [4] 대부분(大部分)의 내용(內容)을 독일어(獨逸語) 매체(媒體)인 슈피겔 이나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같은 데서 보고 그것을 만화(漫畫)로 그렸는데, 작가(作家)인 이원복 교수(敎授)가 독일(獨逸) 유학파(留學派)였기 때문이다. [5] 한국(韓國) 수입(輸入) 명칭(名稱)은 4개입(個入) 오렌지 소르벳. [6] 크림을 섞지 않고 만드는 법(法). 뚜껑만 따주고 속은 스푼으로 긁어낸다. 반(半)으로 가를 경우(境遇) 칼로 긁어낸다. 생(生)크림 (헤비 크림)을 오렌지 갈아서 걸러낸 즙(汁)에 섞어서 얼려도 된다. [7] 각각(各各) 중세(中世) 시대(時代) 영주의 병사(兵士)들과 이에 맞서 혁명(革命)을 일으킨 민중(民衆)을 상징(象徵)한다고 한다. [8] 이 경우(境遇) 껍질에 곰팡이 핀 오렌지를 먹어볼 때 약간(若干)이나마 상(傷)한 맛이 날 확률(確率)이 높다. 곰팡이 포자(胞子)가 표면(表面)에 잡힐 정도(程度)라면 이미 보이지 않는 균사(菌絲)가 내부(內部)까지 침투(浸透)해서 그 음식(飮食)을 상(傷)하게 만들었을 확률(確率)이 높다. 이런 곰팡이 핀 음식(飮食)을 겉보기에 멀쩡하다고 먹었다가 자칫하면 배탈(배頉) 날 수도 있고 더 심(甚)한 식중독(食中毒) 에 걸릴 우려(憂慮)도 있다. [9] 오렌지 껍질 겉면(겉面)에 묻어있을 수 있는 곰팡이 포자(胞子)를 제거(除去)하기 위해서이다. [10] 스페인어(스페인語)로 오렌지 'Naranja'의 어원이기도 하다. [11] 태국(泰國) 토종(土種) 품종(品種)으로 종자(種子)의 외부(外部) 유출(流出)을 태국(泰國) 정부(政府)에서 강력(强力)하게 막고 있다. [12] 이런 식(式)으로 고급화(高級化)로 재미를 본 사례(事例) 중(中) 하나가 미네소타 대학교(大學校)의 식품(食品)/농업(農業)/원료과학부(原料科學部)(College of Food,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 Sciences)에서 개발(開發)해 미국(美國)의 사과(謝過) 시장(市長)에 혁신(革新)을 일으킨 HoneyCrsip 품종(品種)이다. 보존성(保存性)과 겉보기에 너무 집중(集中)한 나머지 야생(野生) 시절(時節) 사과(謝過)로 되돌아간 듯한 끔찍한 맛을 자랑하는 여러 품종(品種)들로 오염(汚染)된 미국(美國) 사과(謝過) 시장(市場)의 꿈과 희망(希望)과 같은 품종(品種)이다. 그러나 유통(流通) 사업(事業)에서 밀린 탓에, 요즘은 잘 안 키우는 편(便)이다. 미국(美國)에서 사과(謝過)를 솎아서 관리(管理)하는 품종(品種)은 HoneyCrisp 말고는 없다시피 하다. [13] 아랍어(아랍語) 고형(固形) ????? (n?ranj)를 통(通)해 유입(流入) 된 것으로 보인다. [14] 포르투갈 상인(商人)을 통해 유럽과 아랍권(圈)에 오렌지가 전파(傳播)되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여기서도 과일 오렌지가 색깔(色깔) 오렌지 와 통용(通用)된다. [15] 중국(中國) 대륙(大陸) [16] 대만(臺灣) [17] 중국(中國)(Sina)와 사과(謝過)(appel)의 합성어(合成語). oranje(오라녀(女))는 위의 핀란드어 처럼 그냥 색깔(色깔)을 가리킨다. [18] 프랑스어(프랑스語) 에서 유래(由來). [19] 교회(敎會) 라틴어(語)는 '아란치움' [20] 이탈리아어(語) pomarancia에서 유래(由來). [21] oranssi는 주황색(朱黃色) 을 가리킨다. [22] 영미권(圈)에서는 이를 이용(利用)한 언어유희(言語遊戱)가 있는데, Mandarin이 중국어(中國語) 를 뜻하기도 해서 어떤 사람인 한 중국인(中國人)에게 "Do you speak Mandarin?"이라고 물어보려다 귤(橘)을 뜻하는 또 다른 단어(單語) tangerine과 실수(失手)로 혼용(混用)해 버려 "Do you speak tangerine? "이라고 물어봤다는 조크가 있다. [23] 어말(語末)의 [?], [d?]를 '지'로, [dz]와 [z]를 '즈'로 적게 되어있다. 실제로(實際로)는 모음(母音)이 없고, 한국어(韓國語) /ㅈ/는 이미 모두 [d?]로 구개음화(口蓋音化) 가 일어났기 때문에 '오린ㅈ'가 가까울 수 있다. 다만 'mage'( 메이지 ), 'edge'( 에지 ) 등(等) [d?]를 '지'로 적는 데 큰 논란(論難)은 없는 편(便)이다. 거기에 치경(治經) 접근음(接近陰)인 [?]이 표기(表記)만 치경음(齒莖音) 일 뿐, 실제로(實際로)는 후치경(頃) 접근음(接近陰)인 [??]이고 마찬가지로 [d?]도 후치경음(後齒莖音)이기 때문에 때문에 한국인(韓國人)들의 귀에는 '오륀쥐'처럼 들릴 수는 있다. [24] 비슷하게 'money'의 말음(音)을 [m?ne?]로 오해(誤解)하여 'マネ?'로 적었으리라는 설(說)이 있다. [25] 북유럽(北유럽) 에서 'Apelsin' 비슷하게 부르는 단어(單語)들도 여기서 유래(由來)한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