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써니트 - 나무위키

써니트

최근(最近) 수정(修正) 시각(時刻):
분류(分類)
[ 펼치기 · 접기 ]
장미(薔薇)
산딸기(山딸기)
벚나무
기타
진달래과
무환자나무과(無患子나무科)
박(朴)과
뽕나무과(科)
선인장(仙人掌)과
포도과(葡萄科)
기타
재배(栽培)
과일
수입(輸入)
과일
: 과채류(果菜類) · 종(種) : 일반적(一般的)으로 과일/견과류(堅果類)보다 종자(種子)에 가까움 · : 일반적(一般的)으로 산지(産地)에 가야 먹을 수 있음
그외(外) 비가공(非加工) 식품(食品) 및 재배(栽培)물 틀: 고기 · 곡물(穀物) · 과일 · 채소(菜蔬) · 해조류(海藻類) · 향신료(香辛料)
[ 펼치기 · 접기 ]
독(毒)?립(立)?종(種)
주(週)?요 원?종(種)
시트론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불수감(佛手柑) · 에트로그
포(抛)멜로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독(毒)?립(立)?종(種)
교(校)?잡?종(種)
주(週)?요 교(校)?잡?종(種)
레몬 (비터오렌지×시트론) · 비터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오렌지 (감귤(柑橘)×포(抛)멜로) · 자몽 (오렌지×포(抛)멜로)
오렌지?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만다린?의 변종(變種) 및 재배품종(栽培品種)
기(基)?타(他) 교(校)?잡?종(種)
감귤(柑橘)의 교잡종(交雜種)
기(基)?타(他)
영귤(英橘) (유자(柚子)×감귤(柑橘)) · 유자(柚子) (의창지(義昌地)×감귤(柑橘)) · 칼라만시(輓詩) | 사계귤(四季橘) (금귤(金橘)×감귤(柑橘))
시트론의 교잡종(交雜種)
키라임 (미크란타(亂打)×시트론)
포(抛)멜로의 교잡종(交雜種)
스위티 (자몽×포(抛)멜로)
레몬의 교잡종(交雜種)
베르가모트 (비터오렌지×레몬) · 페르시아라임 (키라임×레몬)
기타 잡감(雜感)
기타(其他) 분류(分類)?기준(基準)
라임 (형태(形態)) · 만감류(萬感類) (품종(品種) 그룹) · 파페다 (다계통군(契桶軍)) · 오렌지 주스 (음료(飮料)) · 기각(棄却) (한약재(韓藥材))
귤(橘)속 관련(關聯) 문서(文書)
1 . 개요(槪要) 2 . 역사(歷史) 3 . 특징(特徵) 4 . 기타


1. 개요(槪要) [편집(編輯)]

써니트는 서귀포시에 위치(位置)한 한 농가(農家) [1] 에서 품종(品種) 출원(出願)한 국산(國産) 순수(純粹) 만감류(萬感類) 품종(品種)이다.
한 개인(個人)이 품종(品種)의 특허(特許), 로열티를 갖고 있는 매우 드문 케이스이다. 그렇다보니 써니트 묘목(苗木)의 판매처(販賣處) 수(數)가 적으며 100그루 단위(單位)의 판매(販賣)를 주로(主로)하기 때문에 개인(個人)이 개별적(個別的)으로 구매(購買)하기는 쉽지 않다. [2]
2016년(年)에 써니트를 본격적(本格的)으로 홍보(弘報)하면서 온라인 상(上)으로 써니트 묘목(苗木)을 개별(個別) 판매(販賣)도 진행(進行)했던 적이 있지만, 현재(現在)는 오프라인으로 대량(大量) 거래(去來)를 주로(主로)하기 때문에 온라인에 묘목(苗木) 판매가(販賣價) 올려져있다면 가짜(假짜)를 의심(疑心)해봐야 한다.

2. 역사(歷史) [편집(編輯)]

2007년(年) [3] 한라봉 돌연변이(突然變異) 가지가 확인(確認)되었고, 2010년(年)에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에 신고(申告) 접수(接受)가 진행(進行)되었다.
2010-2012년(年) 생육(生育) 및 과실특성(過失特性)을 검정(檢定)하고 2012년(年)에 최종적(最終的)으로 선발(選拔)되었다.
2013년(年) 5월(月) 국립종자원(國立種資源)에 품종보호(品種保護)가 출원되었으며 2016년(年) 3월(月)에 품종(品種) 등록(登錄)이 완료(完了)되었다.

3. 특징(特徵) [편집(編輯)]

  • 나무 수세(守勢)는 중(中). 수형(受刑)은 약간(若干) 직립형(直立型)으로 한라봉보다 숙기(夙起)가 10여일(餘日) 빠르다.
  • 과실(過失) 착색(着色)은 10월(月) 중순(中旬)에 검붉은색을 띄면서 착색(着色)이 시작(始作)되어 12월(月) 상순이 되면 착색(着色)이 완료(完了)된다.
  • 재배(栽培)·병충해(病蟲害) 관리(管理)는 한라봉M16A [4] 품종(品種)과 똑같게 하면 된다.
  • 과실(果實)의 당도(糖度)와 산도(酸度)는 한라봉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다. [5] 제주도(濟州道)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에서 2013년(年) [6] , 2016년(年) [7] 측정(測定) 값을 비교(比較)해보면 13년도(年度)에는 써니트가 미미(微微)한 차이(差異)로 당도(糖度)가 높고 산도(酸度)가 낮았던데 반(反)해, 16년도(年度) 측정(測定) 값에서는 한라봉이 우세(優勢)한 값을 나타내었다.
    요컨데(要컨대), 써니트의 당산도가 한라봉보다 월등하게 우수(優秀)하다기보다는 한라봉이 농가(農家)에 보급(普及)된지 오랜 시간(時間)이 지나면서 올바른 재배(栽培) 방법(方法)이 알려지기 시작(始作)했고, 써니트라는 품종(品種)에 관심(關心)을 갖고 있는 농가(農家)들은 평소(平素)부터 농사(農事) 기술(技術) 향상(向上)에 관심(關心)을 갖는 실력(實力)있는 사람들이었던터라, 이런 이들이 키워서 판매(販賣)를 하다보니 소비자(消費者)들 입장(立場)에선 써니트의 당산도가 훌륭하다고 인정(認定)됐을 가능성(可能性)이 크다. 즉(卽), 이 사람들이 써니트가 아닌 M16A를 키웠더라도 훌륭한 당산도가 나왔을 것이란 이야기이다. 실제로(實際로) M16A 품종(品種)으로도 16-17브릭스에 산도(酸度) 1%미만(未滿)의 한라봉을 만들어내는 명인(名人)들이 존재(存在)한다.
조사(調査)일
품종(品種)
당(黨)도(˚BX)
산함량(山含量)(%)
2013.01.06.
써니트
13.0
0.89
한라봉
12.9
0.92
2016.00.00.
써니트
11.8
0.85
한라봉
12.3
0.81
출처(出處):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
  • 과실(過失) 크기와 모양(模樣)은 한라봉과 같으나, 써니트가 색상(色相)이 좀 더 붉고 [8] 껍질은 비교적(比較的) 얇아서 [9] 손으로 까먹기 쉽다. 껍질 두께 특성(特性)으로 인해 한라봉과 비교(比較)하여 저장성(저장省) [10] 은 떨어진다.
  • 한라봉(M16A)을 변이(變移)한 품종(品種)은 '써니트'뿐만 아니라 '탐나는봉'이라는 순수(純粹) 국산(國産) 품종(品種)도 존재(存在)한다. 해당(該當) 품종(品種)은 한라봉보다 당산도가 좋고 한라봉의 단점(短點) [11] 을 해결(解決)했지만 '3월(月) 하순(下旬)'부터 수확(收穫)이 가능(可能)하다는 점(點) 때문에 국내(國內)에 도입(導入)한 농가(農家)가 많지 않다. [12] 대신(代身)에 로얄티를 받으며 북미(北美)로 수출(輸出)되었고 그곳에서는 '부지화(敷地火) [13] 와의 경쟁(競爭)에서 승리(勝利)하여 큰 돈을 맛보고 있다.

4. 기타 [편집(編輯)]

  • 제주도내(濟州島內) 감귤(柑橘) 농원(農園)들의 과수목(果樹木)들이 고령화(高齡化)되며 경제적(經濟的) 수명(壽命)이 끝남에 따라 '원지정비사업(原紙整備事業)(품종(品種) 갱신(更新))'이 진행(進行)되고 있으며, 품종(品種) 갱신시(更新時) 지자체(地自體)에서 지원금(支援金)이 나오고 있는 상황(狀況)이다. 그러나 '써니트' 품종(品種)은 지원금(支援金) 대상(對象)에서 제외(除外)되어 있는 품종(品種)이라, 이걸로 품종갱신(品種更新)하는 경우(境遇)가 많지는 않은 상황(狀況)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다수(大多數)의 농업인(農業人)들은 입에 풀칠(풀漆)할 정도(程度)의 수익(收益)만을 내고 있는 실정(實情)이기 때문에 한 두 푼이 아쉬운 상황(狀況)이다보니 지원금(支援金)을 포기(抛棄)하면서까지 '써니트'를 고집(固執)하기는 어려운 실정(實情)이기 때문이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농사(農事) 기술(技術)이 뛰어나서 수익(收益)을 크게 내는 여유(餘裕)있는 농가(農家)들만이 지원금(支援金)을 포기(抛棄)하고 우량종인(優良種人) '써니트'를 재식(栽植)하고 있는 실정(實情)이다. [14]
  • 기존(旣存) 한라봉 농가(農家) 중(中)에서 '써니트'로 품종(品種) 갱신(更新)을 진행(進行)해봤는데 측정계 수치(數値)로는 확인(確認)할 수 없는 'M16A'만의 진(津)한 맛이 '써니트'에서는 느껴지지 않는다면서 다시 M16A로 회귀(回歸)한 농가(農家)도 있다는 풍문(風聞)이다. [15]
  • 'M16A'와 유전적(遺傳的)으로는 차이(差異)가 없는 품종(品種)이다보니 원대복귀(原隊復歸)(회귀(回歸))하려는 성질(性質)을 갖고 있어서 써니트가 'M16A'로 되돌아가 버리는 경우(境遇)도 종종(種種) 있다고 한다. [16] 비슷한 사례(事例)로 '유라조생(早生)'이라는 극조생(劇早生) 신품종(新品種)을 심(沈)은 어느 농가(農家)에서 1/3이상(以上)의 과수목(果樹木)들이 '궁천조생(宮千兆生)'이라는 조생(早生) 품종(品種)으로 회귀(回歸)해버리는 바람에 난리(亂離)가 난 사건(事件)을 보도(報道)한 뉴스 도 있었다. 묘목(苗木) 구매시(購買時) 계약(契約) 조건(條件)의 내용(內容)을 보면 품종(品種)이 다를 경우(境遇) 1년생(年生)으로 교체(交替)해준다 는 항목(項目)이 적혀있었기 때문에 피해(被害)는 농가(農家)가 고스란히 떠안게 되는 실정(實情)이다. [17]
[1] 세진농원(農園) 현성익 농부(農夫) [2] 20년(年)도 겨울이 유난히 추워서 묘목업체(苗木業體)의 써니트 묘목(苗木)이 고사(枯死), 냉해(冷害) 피해(被害)를 겪으면서 한동안 공급(供給)에 차질(蹉跌)을 빚기도 했다. [3] 일부(一部) 매체(媒體)에서는 08년경(年頃)이라고 설명(說明)하고 있는데,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의 공식(公式) 기록(記錄)에 따르면 2007년(年)이 맞다. [4] 초기(初期) 한라봉은 묘목(苗木)이 바이러스에 감염(感染)되어 문제(問題)가 있었고, 이후(以後)에 바이러스 내성(耐性)이 있는 M16A 품종(品種)이 보급(普及)되었다. 국내(國內) 한라봉은 대체로(大體로) M16A품종(品種)이다. [5] 써니트 홍보(弘報) 문구(文句)에서는 한라봉보다 우수(優秀)하다고 하지만, 공식기관(公式機關)에서 측정(測定)한 수치(數値)를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6]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 한라봉 재배기술(栽培技術), 발간번호(發刊番號) 79-6500073-000226-01 [7]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농업기술원(農業技術院) 한라봉 재배기술(栽培技術), 발간번호(發刊番號) 79-6500073-000249-12 [8] 써니트라는 품종(品種)의 인지도(認知度)가 없을 때에는 '레드한라봉', '홍(洪)한라봉'이라고도 불렸다. [9] 한라봉에 비(比)하면 얇다는 것이지, 온주밀감(溫州蜜柑)처럼 엄청 얇은 게 아니다. [10] 과실(過失) 산도(酸度)↑, 껍질 두께↑ 저장성(저장省) 좋음. [11] 자근 발생(發生) 등(等) [12] 과실(果實)은 명절(名節)에 많이 판매(販賣)되는데 설날과 한참 동떨어져 있기 때문에 판로(販路)가 쉽지 않다. 게다가 한라봉 자체(自體)가 산도(酸度)가 있고 껍질이 두꺼워서 저장성(貯藏性)이 좋으므로 창고(倉庫)에 보관(保管)하며 4-5월(月)에 판매(販賣)도 가능(可能)하기 때문에 경쟁(競爭) 자체(自體)가 되질 않는다. [13] 일본(日本) 한문명(恨文明): 부지화(敷地火). 일본(日本) 발음(發音): 시(時)라누이, 국내명(國內名): 한라봉 [14] 돈 많고 능력(能力)이 뛰어난 농가(農家)들이 심어서 재배(栽培)하니, 당연히(當然히) '써니트'는 맛있게 생산(生産)된다. [15] 과실(果實)에 대(對)한 제주도민(濟州道民)의 입맛과 육지(陸地) 사람들의 입맛의 차이(差異)가 분명하게 존재(存在)한다. 육지(陸地) 소비자(消費者)들 입맛엔 '써니트'의 선호도(選好度)가 높을 수도 있다. [16] 접목(椄木) 과정(過程)에서 회귀(回歸)하는 경우(境遇)이다. 몇 년(年) 간(間) 써니트 과실(過失)이 맺히던 나무에서 갑자기 M16A 과실(過失)이 맺혀지는 경우(境遇)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 [17] 묘목(苗木)이 크게 자라게 하려면 꽃, 열매가 달려선 안된다. 그래서 몇 년(年)에 걸쳐서 나무가 커진 뒤에서야 열매 맺는 모습을 보고선 잘못된 품종(品種)이었음을 확인(確認)하게 되어 막심(莫甚)한 손해(損害)를 입게되는 경우(境遇)가 많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이 저작물(著作物)은 CC BY-NC-SA 2.0 KR 에 따라 이용(利用)할 수 있습니다. (단(但), 라이선스가 명시(明示)된 일부(一部) 문서(文書) 및 삽화(揷畵) 제외(除外))
기여(寄與)하신 문서(文書)의 저작권(著作權)은 각(各) 기여자(寄與者)에게 있으며, 각(各) 기여자(寄與者)는 기여(寄與)하신 부분(部分)의 저작권(著作權)을 갖습니다.

나무위키는 백과사전(百科事典)이 아니며 검증(檢證)되지 않았거나, 편향적(偏向的)이거나, 잘못된 서술(敍述)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위키는 위키위키입니다. 여러분이 직접(直接) 문서(文書)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意見)을 원(願)할 경우(境遇) 직접(直接) 토론(討論)을 발제(發題)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  
  •  
  •  
  •  
  •  
  •  
  •  
  •  
  •  
  •  
  •  
  •  
  •  
  •  
  •  
더 보기
  • Operado por umanle S.R.L.
  • Hecho con ?? en Asuncion, Republica del Paraguay
  • Su zona horaria es GMT
  • Impulsado por the seed engine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 This site is protected by hCaptcha and its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